Pneumonia(폐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neumonia(폐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폐렴의 종류
▣ 임상 증상
▣ 진단 검사
▣ 치료와 간호

본문내용

있는지?
* 공조 설비는 갖추고 있는지?
* 의료 기구와 기재의 청소 및 관리는 적절한지?
♤ 간호 계획의 요점
* 감염증에 의한 염증 질환이기 때문에 호흡기능의 개선을 꾀함과 동시에 염증
증상 및 호흡기능 저하에서 일어나는 고통의 환화에 노력한다.
* 고령자, 의식 장애가 있는 환자, 장기 침상 환자, 인공호흡기 사용 중인 환자 등 환기 능력이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폐렴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한다.
* 폐렴 치료는 항생제의 투여가 치료 상 불가결하지만, 동시에 항생제 투여에 의해 일어나는 각종 증상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목표의 설정
* 염증 상태의 악화를 예방한다.
* 고통 증상을 완화한다.
* 폐렴의 이환을 예방한다.(2차 감염의 예방)
* 질병과 그 치료 과정에 생기는 각종 제한(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에 의 한 개별적인 구체적 문제를 해결한다.
♤ 치료의 실제
♡ 치료상의 평가
* 폐렴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 호흡기능의 저하는 어느 정도인가?
* 염증 반응은 일어나고 있는가?
* 순환 상태에 대한 영향은 없는가(탈수, 우심부전)?
* DIC의 발생은 없는가?
* 폐렴의 유발 인자는 없는가 : 흡인, 침습성 폐렴, 흡인 조치
♡ 치료 방침
① 약물 요법(항생제, 면역 억제제, 소염제)
② 기도 확보, 산소 요법(PaO2 6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③ 안정
④ 대증 요법
* 해열, 진통
*진해제 및 거담제 투여
* 수액요법 : 노인은 폐렴에 걸려도 발열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불감 증세가 심해지기 때문에 늦게 발견하면 심한 탈수증에 빠져 있는 경우가 있다.
⑤ 기존 질환에 대한 치료 : 당뇨병, 만성 간질환, 알코올 의존증 등은 감염되기 쉽고 난치성 폐렴이나 폐 화농증과 농흉 등으로 진행하기 쉬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폐기종이나 폐섬유증에 폐렴이 동반된 경우에는 급성 호흡부전 증 상에 빠져 예후가 불량한 경우도 있다.
⑥ 합병증에 대한 치료 : 폐수종, 농흉, 위막성 대장염, 발진 등
⑦ 원내 감염의 예방
♡ 치료의 실제
① 항생제
기본적으로는 입원 치료가 필요 하지만 경증의 경우는 외래 치료도 가능하다. 항생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경우가 많지만, 투여 전에 객담의 세균 배양을 시쥑ㅇ한다.
폐렴 치료의 효과 판정을 할 경우에는 항생제 투여 후 3일째에 시행한다. 3일째에 해열 경향이 있으면 항생제는 그대로 계속 투여한다. 객담 원인균의 감염성이 판명되면 감수성이 가장 높은 항생제로 변경한다. 세파계 항생제는 일상 진료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놓고 그 종류도 많다. 감염증의 종류, 병태, 중증도에 따라서 나누어 쓸 필요가 있다.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폐렴 등의 비정형적 폐렴이 의심될 때는 에리스로마이신이나 미노마이신을 투여한다.
② 부가적 치료
상황에 라 산소 요법과 수분 공급 등을 한다.
♤ 간호의 실제
♡ 고통의 완화
① 발열
* 알코올 마사지를 한다.
* 보온한다.
* 해열제를 투여한다.
* 수분을 공급한다.
② 호흡곤란
③ 기침
* 양치질을 한다.
* 실내 건조를 막는다.
* 급격한 신체 이동은 금한다.
* 진해제를 투여한다.(습성의 기침으로 객담이 다량으로 있는 경우에는 쉽게
기도 폐쇄를 일으키므로 원칙적으로 복용하지 않는다.)
④ 투통
* 얼음을 넣은 베개나 얼음 주머니를 사용한다.
* 진통제를 투여한다.
⑤ 흉통
* 습포를 부착한다.
* 안정을 취한다.
* 진해제를 복용한다.
⑥ 권태감
* 수분을 공급한다.
* 안정을 취한다.
* 안락한 체위를 취한다.
♡ 2차 감염에 의한 폐렴의 예방
① 자주 환기를 한다.
* 심호흡을 한다.
* 체위를 바꾼다.
* 흉통에 의한 호흡 억제를 막는다.
② 객담의 배출을 촉진한다.
* 양치질을 한다.
* 체위를 변환한다.
* 등을 두드리거나 체위 배액을 시행한다.
* nebylizer를 사용한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 거담제를 사용한다.
③ 구강 내를 청결히 한다.
* 구강 치료를 시행한다.
* 양치질을 한다.
④ 충분한 영양을 섭취한다.
* 고단백,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한다.
* 소화가 잘되고, 흡수가 잘되는 것을 섭취한다.
* 식욕이 없는 경우에는 원하는 음식을 준비한다.
* 경구 섭취가 곤란한 경우에는 수분을 공급한다.
♡ 원내 감염의 예방
① 손씻기를 권장한다.
② 실내를 환기시킨다.
③ 흡인시 청결을 철저히 한다.
④ 기재류의 소독을 철저히 한다.
⑤ nebulizer는 다른 환자와 병용하지 않는다.
⑥ 환자는 1인실을 사용한다.
♡ 항생제에 따른 부작용이 치료
① 위막성 대장염
♧ 복통을 완화한다.
* 복부 온열법
* 안락한 체위를 취한다.(반좌위, 측와위)
* 지사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탈수를 예방한다.
* 배설량 및 수분 섭취량을 측정한다.
*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 수분을 공급한다.
♧ 청결을 유지한다.
* 배설 후에는 항문 주위를 따뜻한 물로 깨끗이 닦는다.
* 더러워진 환자복은 재빨리 교환한다.
* 여러 회에 걸쳐서 배설을 도와주는 등의 청결 유지는 환자의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
vancomycine 복용 후에는 구내염, 설염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구순에 구강 주위를 청결히 해준다.
* 불안을 완화한다.
▷ 대장염 증상에 대해서 의사에게 설명을 들었는지 확인한다.
▷ 증상이 점점 좋아지고 있는 것을 설명한다.
▷ 배설시에는 재빨리 도와주고 환자의 수치심을 조장하지 않도록 배려 한다.
② 발진
♧ 발생 부위의 확인
* 환자가 발적이나 가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는 옷을 벗기고 전신을 관찰한 다.
* 호흡곤란 등 그 외 알레르기 증상, 기분 저하가 없는지 확인한다.
* 항생제는 일단 중지하고 재빨리 의사의 지시를 받는다.
♧ 가려움의 완화
* 발진부의 가려움이 있는 경우는 처방된 연고를 바른다.
* 피부의 건조는 가려움을 늘린다. 미온탕에서 1일 수회 깨끗이 닦아서
청결을 유지한다.
♡ 일상생활에 대한 추가 사항
* 지나친 음주와 흡연 등의 생활 습관을 바로 잡는다.
* 당뇨병이나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복용 등으로 감염되기 쉬운 경우에는 양치질 을 권장한다.
* 고령자, 뇌졸중 후유증, 누워 지내는 환자는 흡인에 주의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2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