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기본간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실 기본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억제대

▣ 감염관리

▣ 무균술

▣ 활력징후(vital sign, v/s)

▣ 개인위생

▣ 위관영양

▣ 섭취량과 배설량(I/O)

▣ 배설돕기

▣ 흡인간호

▣ 기관절개관 간호

▣ 온냉요법

▣ 투약

▣ 상처간호

본문내용

간호시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알코올
의치간호
- 칫솔과 치약으로 의치를 양치질하고 흐르는 미온수로 헹군다. (뜨거운물 금한다)
- 의치를 보관할 때는 뚜껑있는 컵에 물이나 봉산수에 잠기게 하여 보관
- 의치를 빼야할 경우 : 수술, 무의식일 때, 경련환자, 수면시 = 질식우려가 있으므로
- 용기바닥에 거즈나 타월을 깔아서 의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3. 발간호(특히 당뇨병이나 말초혈관질환이 있는 환자)
- 발을 매일 씻고 발가락사이를 잘 건조시킨다.
- 씻는 동안 피부를 잘 관찰하고 발을 담그기 전 40도씨 넘지 않게 물의 온도를 점검한다.
- 피부에 수분을 주는 크림 로션을 사용하고 매일 깨끗한 면양말을 신는다.
- 발톱은 일자로 자르며 자르는 것보다는 다듬는 것이 좋다.
- 발을 따뜻하게 하고 발에 맞는 양말 신발을 신는다.
- 하루에 수차례 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운동을 한다.
- 꼭끼는 의복이나 다리를 꼬고 앉는 것은 혈액순환을 감소시키므로 피한다.
4. 욕창간호
- 정의 : 뼈 돌출 부위 피부의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한 국소순환장애로 조직손상이 유발된 상태
(국소빈혈 -발적- 수포및 찰과상 -궤양-괴사)
- 호발환자
: 무의식환자, 마비환자, 실금환자, 영양실조 및 탈수환자, 노인환자, 부종환자, 피부저항력이 약한 환자, 쇠약한 환자, 당뇨환자, 비만환자, 열성질환자
- 호발부위 : 천골, 미골, 견갑골, 후두부, 팔꿈치, 발꿈치, 장골
- 욕창예방간호
① 매일 침대 목욕과 등마사지를 해 준다.
② 발적, 피부수포등 조기증상을 관찰한다.
③ 체위를 2시간마다 변경해 준다.
④ 환자의 피부와 침구를 깨끗하게 건조하게 한다.
⑤ 침구를 편평하게 잡아당겨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⑥ 호발부위에 반창고를 바르지 않는다.
⑦ 양모피 물침대 공기매트리스 교대압력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압력을 제거한다.
⑧ 솜 스폰지는 사용하지 않는다.
- 욕창치료간호
① 1시간마다 체위변경
② 작은 궤양이 커지지 않도록 주의
③ 무균술 적용. 베타딘, H2O2, 식염수, 붕산수, 증류수로 소독(알코올 사용않음)
④ 초자외선, 적외선 등 전열을 사용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건조시킨다.
⑤ 항생제. 페니실린 설파제를 사용하여 2차 감염을 막는다.
⑥ 고탄수화물, 고단백, 고비타민 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⑦ 외과적 처치, 데브리망 봉합, 피부이식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5. 식사돕기
- 식사의 종류
① 일반식이 : 입원환자에게 제공되는 일반식이
② 정식 : 소화가 잘 되도록 간단하게 조리한 음식
③ 연식 : 많이 씹을 필요없고 섬유질이 적게 들어 있는 음식(위장계 질환 수술 후 회복기 환자에게 좋다)
④ 유동식 : 맑은 국물, 차류, 탄산음료 등과 같이 당질과 물로만 구성되어 갈증해소(수분공급의 목적 으로 한다. 장기간 사용금물)
⑤ 제한식(치료식) : 치료 목적에 따라 특정 성분을 제한한 음식
▣ 위관영양
- 주로 사용되는 튜브 : 레빈튜브
- 위관삽입길이 : (코 → 귀) + (귀 → 검상돌기)
- 음식물의 온도 : 체온보다 약간 높게
- 위관튜브 삽입방법
① 위관을 삽입할 때는 수용성 윤활제로 물을 사용(고무튜브 - 얼음물 /실리콘튜브 - 더운물)
② L-TUBE를 약간 강직되게 하고 앉은 자세나 머리에 베게를 베어 반듯이 눕게 하여 입으로 숨을 쉬 게 하면서 턱을 아래로 내리고 자주 삼키라고 한다.
③ 음식물은 중력에 의해 천천히 내려가도록하며,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④ 음식물 주입 전후 물 20~30cc 정도를 주입한다.
⑤ 주입후 30분간 반좌위나 오른쪽으로 눕힌다.
- 위관삽입 후 확인법
① 관끝을 물그릇에 넣고 확인 공기방울이 생기면 기도로 들어간 것이므로 다시 삽입한다.
② 위관에 주사기로 공기를 넣어서 공기의 흐름소리를 청진기로 듣는다.
③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잘못 들어간 것이고 만일 트림을 한다면 식도에 있는 것이므로 조금 더 밀 어 넣어 준다.
④ 위액을 빼내 본다.
⑤ 말을 시켜본다. (잘못 들어갈 시 말을 하지 못한다.)
- 위관삽입환자간호
① 튜브고정 구강간호 비강간호 가습기 제공
- 위관영향합병증
: 탈수, 장경련, 설사, 오심, 구토, 음식물의 기도흡입, 복부통증 및 팽만
위관세척
① 위의 출혈을 멈추기 위해
② 위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③ 약물중독 및 독성물질을 먹었을 때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④ 위 수술환자의 수술준비로 위장을 비위기 위해
- 위관세척시주의사항
① 위장수술 환자는 무균술을 사용한다.
② 세척액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며 사용한 위관은 고압증기 멸균법으로 소독해야 한다.
③ 세척 도중 출혈이 되면 흡입을 멈추고 의사에게 즉시 보고
▣ 섭취량과 배설량(I/O)
- 섭취량 : 정맥주입, 수혈, 경구 투여되는 액체
- 배설량 : 소변, 구토, 설사, 상처 배액량, 과도호흡, 심한 발한, 젖은 드레싱
(정상대변 객담 정상호흡등으로 인한 소실은 포함되지 않는다.)
- (I/O)의 측정은 8시간마다 매 근무시간이 끝날 때 기록하고 24시간 총량은 night번 간호사가 기록하 여 이상시 보고한다.
- 평균정상소변량 : 약 1.000 ~ 1500cc (일회 : 50cc/hr)
- 의사에게 보고해야 할 경우 : 600cc 이하 (일회 : 25cc/hr 이하일 경우)
- 요비중 : 1.0515 ~ 1.030 / PH : 4.5 ~ 5.5
- I/O측정목적
① 정상요구량, 수분을 적절히 섭취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② 증가 또는 제한된 수분 섭취량을 확인하기 위해
③ 체액균형을 사정하기 위해
④ 배뇨습관과 비뇨기계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⑤ 배뇨량을 증가시키는 약의 효과를 사정하기 위해
- I/O를 측정해야 하는 대상자
① 수술 후 환자, 심한 화상 또는 상처받은환자, 금식환자, 정맥주입환자, 이뇨제 복용환자, 특별한 배 액장치 또는 위장관 흡입환자, 신부전, 당뇨, 폐쇄성 폐질환과 암등의 만성질환자, 유처도뇨관 삽입 환자, 수분제한 또는 수분정체환자, 수분요구량에 비해 부족한 노령환자, 수분소실이 과잉 또는 섭 취량이 증가한 경우의 환자
▣ 배설돕기
배뇨돕기
- 자연배뇨돕기
① 물 흐르는 소리를 낸다(수돗물 틀어놓는다)
② 변기의 둔부 밑에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10.3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