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해야한다.
⑥ 환자 대변의 측면
⑦ 결정자적 측면 - 간호사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 과정을 통해 결정하고 차단하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⑧ 재활자적 측면 - 재활이란 대상자가 잃었던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하는 과정이다.
⑨ 의사소통자적 측면 - 의사소통을 통해서 적절한 간호를 행하며, 대상자 및 가족들과 상담, 보호하고,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⑩ 상담자적 측면 - 대상자를 도와 그들 자신의 느낌을 의식하도록 하고 이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다루도록한다.
⑪ 역할 모델 측면 - 간호사가 건강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사람들이 보게되면 간호사는 좋은 모델로서 역할 을 하는 것이 된다.
Ⅱ. 건강 사정
활력징후
1. 활력징후를 정의한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하며 신체 기능변화에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이를 주요 증상이라 한다.
2. 활력징후 측정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활력징후는 신체의 향상성을 반영하며, 전신적 생리상태나 신체 기관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주므로 대상자의 문제 규명이나 상태의 감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다른 생리적인 측정과 함께 임상문제를 판단하는 기초가 된다.
3. 활력징후 측정이 필요한 상황을 안다.
활력징후 측정은 간호과정의 한 부분으로 기초자료 수집 방법이다.
활력징후: 체온
1. 체온계의 종류를 열거한다.
① 수은 체온계 -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높다.
② 전자 체온계 - 측정이 편리, 가격이 비싸고, 정확도가 낮다.
③ 1회용 체온계
④ 구강 체온계
⑤ 항문 체온계
⑥ 액와 체온계
부위
장점
단점
구강
가장 간편하고 환자에게 불편감이 적게 준다.
파손의 위험이 높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므로 대상자에 제한을 받는다.
항문
비교적 정확하다.
측정시 번거럽고 대상자가 제한된다.
액와
체내에 삽입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측정이 간편하다.
외부영향을 받기 쉽고 정확성이 가장 낮다.
2. 체온 측정부위를 열거한다.
3. 체온을 화씨와 섭씨로 환산할 수 있다.
체온은 화씨 Fahrerheit(℉) 또는 섭씨 celsius(℃)로 나타낸다.
F=(C×9/5)+32 C=(F-32)×5/9
4. 체온에 영향은 미치는 요인을 설명한다.
① 외적 온도 : 환경온도가 체온에 영향을 미친다.
② 연령 : 나이 많은 사람들이 다른 연령층보다 체온이 낮다.
③ 24시간 주기 혹은 1일 변동 : 인간의 내부 변화
④ 신체 부위별 온도 차이 : 큰 혈관이 지나는 부위에서 체온을 측정해야 하며, 측정부위에 따라 액와보다 구강 체 온이 약 0.5도씨 낮고 구강보다 항문 체온이 0.5도씨 더 높다.
⑤ 홀몬의 영향 : 여성들은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배란 수일전에 0.3도씨 정도 낮아지고 배란 즉시 체온이 0.6 도씨 올라간다.
⑥ 스트레스 : 심리적 신체적 자극원인 신경중추와 홀몬 활동을 자극하여 체온을 상승시킨다.
5. 체온측정부위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한다.
항문에 측정이 외부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짧은 시간에 내부온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 그러나 대상자에 따라 번거럽고 수치심을 동반하므로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사용 되지 않고 6세 이하 어린이들의 체온측정시 사용. 그 외에 액와나 구강으로 측정할 수 없는 대상자들 즉 의식이 없는 환자, 정신병 환자, 구강 및 코 수술을 받은 환자, 기침이 심한 환자, 비강으로 산소 공급을 받고 있는 환자의 체온 측정시 이용. 설사나 변비환자, 항문에 염증이 있거나 항문과 회음부 수술환자는 항문 체온측정을 피해야 하며, 심장질환이 잇는 사람은 항문 체온 측정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심박동수에 영향을 주므로 피한다.
측정 부위 선택시에 고려 할 점은 큰동맥이 근접되고 외부에 영향을 적게 받아 정확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환자의 일반적 상태, 연령, 손상 유무등을 고려해야 하며 어느 부위를 선택하든 측정시 체온계의 수은구가 각 부위의 점막 및 피부와 접촉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
6. 부위별 체온의 정상과 비정상범위를 구별한다.
ㆍ구강 37℃(98.6℉)
ㆍ항문 37.5℃(99.6℉)
ㆍ액와 36.4℃-36.7℃(97.6℉-98℉)
7. 부위별 체온 측정 시간을 구별한다.
ㆍ구강 3-5분
ㆍ항문 2-3분
ㆍ액와 8-10분
8.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관리한다.
<체온기 관리>
매번 깨끗하고 부드러운 화장지를 사용하여 체온기를 닦은 후 한번 사용한 휴지는 버리고
체온기마다 다른 휴지로 닦아서 교차감염을 방지한다.
체온기의 윗 쪽에서 수은구 쪽으로 꼬는 듯이 돌려서 닦아 내린다.
세제나 비누로 체온기를 문질러 훔쳐 씻는다.
더운물은 수은을 팽창시키므로 반드시 흐르는 찬물에 헹군다.
물기가 남아 있으면 소독액을 희석시킬 수 있으므로 체온기를 건조시킨다.
각 기관의 규정에 따라서 사용하는 소독용액에 담가둔다.
소독후에는 물로 체온기를 헹군다.
지시된 곳에 깨끗하게 보관한다.
9.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대상자를 준비한다.
ㆍ구강체온 측정시 - 이를 닦았을 때나 뜨겁거나 찬 음료를 마셨을 때에는 15분간 기다렸다가 잰다. 입안에 상처 가 없는지 확인
ㆍ항문체온 측정시 - 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항문이 보이도록 대퇴부를 벌린후에 체온계를 삽입하기 쉽게 윤활제 를 사용한다.
ㆍ액와체온 측정시 - 액와는 건조한 상태여야 하므로 부드럽게 겨드랑이를 닦아낸다.
10. 부위별 체온을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ㆍ구강체온 측정
손을 씻는다.
수은주를 털어 내린다.
반드시 환자의 이름을 불러서 확인할 후 환자에게 체온측정을 한다고 설명한다.
환자가 15분 이내에 무엇을 먹었거나 마셨거나 담배를 피웠거나 이를 닦았는지 확인한다.
환자 혀 밑에 수은구 끝이나 probe를 넣는다. 환자에게 입술을 다물게 하고 깨물지 않도록 이야기 해준다.
3-5분간 그대로 두고 기다리는 동안 시간을 유용하게 하기 위해 맥박, 호흡 등을 잰다.
체온계를 꺼내어 눈금을 읽는다.
기록한다.
ㆍ항문체온 측정
항문용 체온기의 수은구 쪽에 윤활제를 발라준다.
환자를 옆으로 눕힌다. 그리고 항문이 보이도록 대퇴부를 벌린 후에 체온계를 질장 내로 4cm정도 삽입하여 빠 지지 않도록
⑥ 환자 대변의 측면
⑦ 결정자적 측면 - 간호사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 과정을 통해 결정하고 차단하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⑧ 재활자적 측면 - 재활이란 대상자가 잃었던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하는 과정이다.
⑨ 의사소통자적 측면 - 의사소통을 통해서 적절한 간호를 행하며, 대상자 및 가족들과 상담, 보호하고,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⑩ 상담자적 측면 - 대상자를 도와 그들 자신의 느낌을 의식하도록 하고 이를 건설적인 방법으로 다루도록한다.
⑪ 역할 모델 측면 - 간호사가 건강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사람들이 보게되면 간호사는 좋은 모델로서 역할 을 하는 것이 된다.
Ⅱ. 건강 사정
활력징후
1. 활력징후를 정의한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의미하며 신체 기능변화에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이를 주요 증상이라 한다.
2. 활력징후 측정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활력징후는 신체의 향상성을 반영하며, 전신적 생리상태나 신체 기관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주므로 대상자의 문제 규명이나 상태의 감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다른 생리적인 측정과 함께 임상문제를 판단하는 기초가 된다.
3. 활력징후 측정이 필요한 상황을 안다.
활력징후 측정은 간호과정의 한 부분으로 기초자료 수집 방법이다.
활력징후: 체온
1. 체온계의 종류를 열거한다.
① 수은 체온계 -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높다.
② 전자 체온계 - 측정이 편리, 가격이 비싸고, 정확도가 낮다.
③ 1회용 체온계
④ 구강 체온계
⑤ 항문 체온계
⑥ 액와 체온계
부위
장점
단점
구강
가장 간편하고 환자에게 불편감이 적게 준다.
파손의 위험이 높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므로 대상자에 제한을 받는다.
항문
비교적 정확하다.
측정시 번거럽고 대상자가 제한된다.
액와
체내에 삽입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측정이 간편하다.
외부영향을 받기 쉽고 정확성이 가장 낮다.
2. 체온 측정부위를 열거한다.
3. 체온을 화씨와 섭씨로 환산할 수 있다.
체온은 화씨 Fahrerheit(℉) 또는 섭씨 celsius(℃)로 나타낸다.
F=(C×9/5)+32 C=(F-32)×5/9
4. 체온에 영향은 미치는 요인을 설명한다.
① 외적 온도 : 환경온도가 체온에 영향을 미친다.
② 연령 : 나이 많은 사람들이 다른 연령층보다 체온이 낮다.
③ 24시간 주기 혹은 1일 변동 : 인간의 내부 변화
④ 신체 부위별 온도 차이 : 큰 혈관이 지나는 부위에서 체온을 측정해야 하며, 측정부위에 따라 액와보다 구강 체 온이 약 0.5도씨 낮고 구강보다 항문 체온이 0.5도씨 더 높다.
⑤ 홀몬의 영향 : 여성들은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배란 수일전에 0.3도씨 정도 낮아지고 배란 즉시 체온이 0.6 도씨 올라간다.
⑥ 스트레스 : 심리적 신체적 자극원인 신경중추와 홀몬 활동을 자극하여 체온을 상승시킨다.
5. 체온측정부위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한다.
항문에 측정이 외부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짧은 시간에 내부온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 그러나 대상자에 따라 번거럽고 수치심을 동반하므로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사용 되지 않고 6세 이하 어린이들의 체온측정시 사용. 그 외에 액와나 구강으로 측정할 수 없는 대상자들 즉 의식이 없는 환자, 정신병 환자, 구강 및 코 수술을 받은 환자, 기침이 심한 환자, 비강으로 산소 공급을 받고 있는 환자의 체온 측정시 이용. 설사나 변비환자, 항문에 염증이 있거나 항문과 회음부 수술환자는 항문 체온측정을 피해야 하며, 심장질환이 잇는 사람은 항문 체온 측정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심박동수에 영향을 주므로 피한다.
측정 부위 선택시에 고려 할 점은 큰동맥이 근접되고 외부에 영향을 적게 받아 정확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환자의 일반적 상태, 연령, 손상 유무등을 고려해야 하며 어느 부위를 선택하든 측정시 체온계의 수은구가 각 부위의 점막 및 피부와 접촉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
6. 부위별 체온의 정상과 비정상범위를 구별한다.
ㆍ구강 37℃(98.6℉)
ㆍ항문 37.5℃(99.6℉)
ㆍ액와 36.4℃-36.7℃(97.6℉-98℉)
7. 부위별 체온 측정 시간을 구별한다.
ㆍ구강 3-5분
ㆍ항문 2-3분
ㆍ액와 8-10분
8.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관리한다.
<체온기 관리>
매번 깨끗하고 부드러운 화장지를 사용하여 체온기를 닦은 후 한번 사용한 휴지는 버리고
체온기마다 다른 휴지로 닦아서 교차감염을 방지한다.
체온기의 윗 쪽에서 수은구 쪽으로 꼬는 듯이 돌려서 닦아 내린다.
세제나 비누로 체온기를 문질러 훔쳐 씻는다.
더운물은 수은을 팽창시키므로 반드시 흐르는 찬물에 헹군다.
물기가 남아 있으면 소독액을 희석시킬 수 있으므로 체온기를 건조시킨다.
각 기관의 규정에 따라서 사용하는 소독용액에 담가둔다.
소독후에는 물로 체온기를 헹군다.
지시된 곳에 깨끗하게 보관한다.
9.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대상자를 준비한다.
ㆍ구강체온 측정시 - 이를 닦았을 때나 뜨겁거나 찬 음료를 마셨을 때에는 15분간 기다렸다가 잰다. 입안에 상처 가 없는지 확인
ㆍ항문체온 측정시 - 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항문이 보이도록 대퇴부를 벌린후에 체온계를 삽입하기 쉽게 윤활제 를 사용한다.
ㆍ액와체온 측정시 - 액와는 건조한 상태여야 하므로 부드럽게 겨드랑이를 닦아낸다.
10. 부위별 체온을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ㆍ구강체온 측정
손을 씻는다.
수은주를 털어 내린다.
반드시 환자의 이름을 불러서 확인할 후 환자에게 체온측정을 한다고 설명한다.
환자가 15분 이내에 무엇을 먹었거나 마셨거나 담배를 피웠거나 이를 닦았는지 확인한다.
환자 혀 밑에 수은구 끝이나 probe를 넣는다. 환자에게 입술을 다물게 하고 깨물지 않도록 이야기 해준다.
3-5분간 그대로 두고 기다리는 동안 시간을 유용하게 하기 위해 맥박, 호흡 등을 잰다.
체온계를 꺼내어 눈금을 읽는다.
기록한다.
ㆍ항문체온 측정
항문용 체온기의 수은구 쪽에 윤활제를 발라준다.
환자를 옆으로 눕힌다. 그리고 항문이 보이도록 대퇴부를 벌린 후에 체온계를 질장 내로 4cm정도 삽입하여 빠 지지 않도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