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목사직
제 3 장 목사직과 그 준비
제 4 장 목사직의 소명
제 5 장 목사의 목사지와 임기
제 6 장 목사의 고난과 상급
제 7 장 목사와 건강 관리
제 8 장 목사와 정신 생활
제 9 장 목사와 사교 생활
제 10 장 목사와가정 생활
제 11 장 목회의 계획
제 12 장 심 방
제 13 장 목사와 당회
제 14 장 목사와 예배
제 15 장 목사와 성례
제 16 장 목사와 예식
제 17 장 목사와 부흥회
제 18 장 목사와 교회 음악
제 19 장 목사와 기독교 교육
제 20 장 목사와 사회문제
제 21 장 목사와 교회 재정
제 22 장 목사와 매스컴
제 23 장 목사와 교회 분쟁
제 24 장 목사와 상회
제 25 장 목사와 타교파
제 26 장 목사와 선교 사업
제 27 장 목사와 교회당 신축
제 28 장 농촌 교회 목회론
제 29 장 도시 교회 목회론
제 2 장 목사직
제 3 장 목사직과 그 준비
제 4 장 목사직의 소명
제 5 장 목사의 목사지와 임기
제 6 장 목사의 고난과 상급
제 7 장 목사와 건강 관리
제 8 장 목사와 정신 생활
제 9 장 목사와 사교 생활
제 10 장 목사와가정 생활
제 11 장 목회의 계획
제 12 장 심 방
제 13 장 목사와 당회
제 14 장 목사와 예배
제 15 장 목사와 성례
제 16 장 목사와 예식
제 17 장 목사와 부흥회
제 18 장 목사와 교회 음악
제 19 장 목사와 기독교 교육
제 20 장 목사와 사회문제
제 21 장 목사와 교회 재정
제 22 장 목사와 매스컴
제 23 장 목사와 교회 분쟁
제 24 장 목사와 상회
제 25 장 목사와 타교파
제 26 장 목사와 선교 사업
제 27 장 목사와 교회당 신축
제 28 장 농촌 교회 목회론
제 29 장 도시 교회 목회론
본문내용
한다. 그리고 이미 배운 방법을 실습하여야 한다. 신학교에서 목회 실습이나 인근 교회의 봉사를 통하여 실습하여야 한다.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목회를 위하여 많은 연단과 경험이 있어야 하고,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적 경험을 통하여 바른 연구를 하여야 한다.
제2장 목사직(牧師織)
목사직의 기원은 “아론이 백성을 향하여 손을 들어 축복함으로 속죄제와 번제(燔祭)와 화목제(和睦祭)를 필하고 내려오니라(레9:22)” 목사직은 하나님께서 부르심으로 하나님의 양들을 돌보게 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세우신 직분이다. 구약에서의 목사직은 제사장과 선지자(先知者)들의 행적(行蹟)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제사장은 백성들이 하나님께 제사하기 위하여 하나님께 제물을 바칠 때에 그 제사의식에 종사(從事)하였고, 선지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백성들에게 전하여 마땅히 행할 길을 제시해 주었으며 때로 죄를 책망(責望)하여 하나님 앞에 회개케 하였다.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26:19-20)”고 명하셨다. 신약에서의 목사직은 예수님께서 제자를 세우시고 지상선교를 명령하심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 목사는 성도를 위하여 기도(祈禱)하고 예배를 주관(主管)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선포(宣布)하는 일을 하고 있으므로 구약시대의 제사장과 선지자의 직분을 감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목사가 구약시대의 제사장이나 선지자와 동일시된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구약시대의 제사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희생으로서 완성되고 종료되었기 때문이다(히7:26-27). 그러므로 목사직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창설하신 직분이다. 다른 일반 직종은 그 사회의 문명발달의 척도에 따라 존재 가치가 있으나 목사직은 이에 상관없이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셨다. 예수께서 12제자를 선택하시고, 그들의 세속적 직업에서 부르시고 전도 사업이 그들의 직업이 되는 새로운 사명을 주고,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셨다.
목사직의 목적은 그리스도에 의하여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자기의 개인적 소원이나 이익을 버리고 인간을 죄에서 구원하는 신성한 사업을 하게 하는데 있다. 목사로 부름을 받은 사람은 자기 개인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남을 위하여 헌신하고 봉사하는 희생정신(犧牲精神)이 있어야 한다.
목사직의 성질은 엡4:11에 보면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전하는 자로 혹은 교사로 주셨으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약성경에서 예수는 ‘양떼의 목자’(마9:36;25:32;막6:34;눅2:8,15,18,20;요10:2) 또는 ‘양떼의 큰 목자’(히13:20)로 기록되었다. 그러므로 목사직은 인도하는 지도자이다. 목사직을 받은 사람이 이 일을 감당할 수 없거나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 직분을 받지 말아야 한다. 예수께서 12제자를 선택하시고 3년간 훈련시키신 것은 후일 제자들이 지도자로서의 직분을 감당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지도자에 대한 의미는 “지도”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전제나 강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목사 중에는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장대로 교인을 다스리려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것은 맹목적인 일부 사람들의 지지를 받을지 모르나 많은 교인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낳는 일이 있기 때문에 주의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도자는 지도자의 자세와 아량이 있어야 한다. 지도자로서 항상 교회의 일들을 기획 연구하고, 교단이나 사회의 어려운 일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의견이 자기의 의견보다 나을 때 항상 이를 수정하고 남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는 아량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목사는 스스로 연구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남의 의견을 수납할 수 있는 아량이 겸비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교회에 따르게 된다.
목사는 영적 지도자(靈的指導者)이기 때문에 가장 필요한 지도자적(指導者的) 자세가 필요하다. 현대사회(現代社會)와 교회도 목사에게 관리, 행정, 경영 등의 일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것은 제2차, 제3차의 일이다. 오직 목사는 신령한 은사를 사모하여 교회와 교인을 영적으로 육성시키는데 있다.
교육 지도자적 목사직은 설교하는 사람인 동시에 교육하는 사람이다. 바른 교육을 통하여 신앙을 파수하고 교회를 육성시킬 필요가 있다. 루터와 칼빈은 교육을 통하여 종교개혁(宗敎改革)과 바른 신앙 전수에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적 지도자의 영역은 오늘의 급변하는 시대는 목사로 하여금 지도자(指導者)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활동적인 영역을 확장케 하고 있다. 첫째. 설교를 통하여서 목사는 복잡한 이 시대에 설교를 통하여 바른 지도를 하게 한다. 조직적(組織的)이고 체계 있는 설교는 교인들의 영혼을 보다 풍성하게 하며 오늘의 시대를 이기게 한다. 둘째, 심방을 통하여서는 목사가 신자 개개인과의 접촉을 통하여 신자의 영적 성장을 도모한다. 그러므로 목사는 신자, 불신자, 입교를 원하는 자 등 각양의 사람들을 만나 그들을 말씀으로 위로하고 바른 길을 보여줄 능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육을 통하여 목사는 각종 교육을 통하여 지도자의 임무를 다하게 된다. 교회, 가정, 학교 그리고 교회 안의 각급 교육 기관을 통괄하므로 교육의 지도자(指導者)가 된다. 넷째, 사회봉사를 통하여 교회는 사회의 도덕적(道德的) 사건에도 지도자(指導者)의 임무를 다하게 된다. 각종 사회봉사(社會奉仕)를 통하여 교회의 임무를 다하며 목사는 이 분야에 대하여 지도자(指導者)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도를 통하여 교회의 성장은 전도에 있다. 목사는 전도 활동을 통하여 지도자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여섯째, 연합 사업을 통하여 국내외 교회의 연합 사업을 통하여 목사는 지도자의 사명을 다하게 되는데 각종 사업을 서로 협력하고 도우므로 바른 지도자적 역량을 발휘한다. 일곱째, 관리를 통하여 본 교회와 지 교회의 각종 단체와 회의를 잘 관리하므로 교회의 정상적인 성장을 가져오게 하며 나아가서 목사와 지도적(指導的)\\ 역할을 다하게 된다. 여
제2장 목사직(牧師織)
목사직의 기원은 “아론이 백성을 향하여 손을 들어 축복함으로 속죄제와 번제(燔祭)와 화목제(和睦祭)를 필하고 내려오니라(레9:22)” 목사직은 하나님께서 부르심으로 하나님의 양들을 돌보게 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세우신 직분이다. 구약에서의 목사직은 제사장과 선지자(先知者)들의 행적(行蹟)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제사장은 백성들이 하나님께 제사하기 위하여 하나님께 제물을 바칠 때에 그 제사의식에 종사(從事)하였고, 선지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백성들에게 전하여 마땅히 행할 길을 제시해 주었으며 때로 죄를 책망(責望)하여 하나님 앞에 회개케 하였다.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26:19-20)”고 명하셨다. 신약에서의 목사직은 예수님께서 제자를 세우시고 지상선교를 명령하심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 목사는 성도를 위하여 기도(祈禱)하고 예배를 주관(主管)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선포(宣布)하는 일을 하고 있으므로 구약시대의 제사장과 선지자의 직분을 감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목사가 구약시대의 제사장이나 선지자와 동일시된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구약시대의 제사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희생으로서 완성되고 종료되었기 때문이다(히7:26-27). 그러므로 목사직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창설하신 직분이다. 다른 일반 직종은 그 사회의 문명발달의 척도에 따라 존재 가치가 있으나 목사직은 이에 상관없이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셨다. 예수께서 12제자를 선택하시고, 그들의 세속적 직업에서 부르시고 전도 사업이 그들의 직업이 되는 새로운 사명을 주고,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셨다.
목사직의 목적은 그리스도에 의하여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자기의 개인적 소원이나 이익을 버리고 인간을 죄에서 구원하는 신성한 사업을 하게 하는데 있다. 목사로 부름을 받은 사람은 자기 개인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남을 위하여 헌신하고 봉사하는 희생정신(犧牲精神)이 있어야 한다.
목사직의 성질은 엡4:11에 보면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전하는 자로 혹은 교사로 주셨으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약성경에서 예수는 ‘양떼의 목자’(마9:36;25:32;막6:34;눅2:8,15,18,20;요10:2) 또는 ‘양떼의 큰 목자’(히13:20)로 기록되었다. 그러므로 목사직은 인도하는 지도자이다. 목사직을 받은 사람이 이 일을 감당할 수 없거나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 직분을 받지 말아야 한다. 예수께서 12제자를 선택하시고 3년간 훈련시키신 것은 후일 제자들이 지도자로서의 직분을 감당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지도자에 대한 의미는 “지도”라고 하는 것은 반드시 전제나 강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목사 중에는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장대로 교인을 다스리려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것은 맹목적인 일부 사람들의 지지를 받을지 모르나 많은 교인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낳는 일이 있기 때문에 주의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도자는 지도자의 자세와 아량이 있어야 한다. 지도자로서 항상 교회의 일들을 기획 연구하고, 교단이나 사회의 어려운 일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의견이 자기의 의견보다 나을 때 항상 이를 수정하고 남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는 아량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목사는 스스로 연구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남의 의견을 수납할 수 있는 아량이 겸비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교회에 따르게 된다.
목사는 영적 지도자(靈的指導者)이기 때문에 가장 필요한 지도자적(指導者的) 자세가 필요하다. 현대사회(現代社會)와 교회도 목사에게 관리, 행정, 경영 등의 일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것은 제2차, 제3차의 일이다. 오직 목사는 신령한 은사를 사모하여 교회와 교인을 영적으로 육성시키는데 있다.
교육 지도자적 목사직은 설교하는 사람인 동시에 교육하는 사람이다. 바른 교육을 통하여 신앙을 파수하고 교회를 육성시킬 필요가 있다. 루터와 칼빈은 교육을 통하여 종교개혁(宗敎改革)과 바른 신앙 전수에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적 지도자의 영역은 오늘의 급변하는 시대는 목사로 하여금 지도자(指導者)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활동적인 영역을 확장케 하고 있다. 첫째. 설교를 통하여서 목사는 복잡한 이 시대에 설교를 통하여 바른 지도를 하게 한다. 조직적(組織的)이고 체계 있는 설교는 교인들의 영혼을 보다 풍성하게 하며 오늘의 시대를 이기게 한다. 둘째, 심방을 통하여서는 목사가 신자 개개인과의 접촉을 통하여 신자의 영적 성장을 도모한다. 그러므로 목사는 신자, 불신자, 입교를 원하는 자 등 각양의 사람들을 만나 그들을 말씀으로 위로하고 바른 길을 보여줄 능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육을 통하여 목사는 각종 교육을 통하여 지도자의 임무를 다하게 된다. 교회, 가정, 학교 그리고 교회 안의 각급 교육 기관을 통괄하므로 교육의 지도자(指導者)가 된다. 넷째, 사회봉사를 통하여 교회는 사회의 도덕적(道德的) 사건에도 지도자(指導者)의 임무를 다하게 된다. 각종 사회봉사(社會奉仕)를 통하여 교회의 임무를 다하며 목사는 이 분야에 대하여 지도자(指導者)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도를 통하여 교회의 성장은 전도에 있다. 목사는 전도 활동을 통하여 지도자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여섯째, 연합 사업을 통하여 국내외 교회의 연합 사업을 통하여 목사는 지도자의 사명을 다하게 되는데 각종 사업을 서로 협력하고 도우므로 바른 지도자적 역량을 발휘한다. 일곱째, 관리를 통하여 본 교회와 지 교회의 각종 단체와 회의를 잘 관리하므로 교회의 정상적인 성장을 가져오게 하며 나아가서 목사와 지도적(指導的)\\ 역할을 다하게 된다. 여
키워드
추천자료
탈인습적 기독교 교육
개화기 기독교가 한국근대교육에 미친 영향-긍정및부정
21세기를 향한 기독교 교육
영성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접근
기독교 교육개론 정리
청소년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기독교 부모교육] 교회학교 부모교육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발달심리학 이론과의 관계
기독교 교육
토마스 그룸의 “기독교 신앙을 위한 교육” 이론을 통해서 본
[기독교교육론] 솔로몬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솔로몬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원천, 영...
『돈과 경제와 그리스도인』 _ 조성국 저 [기독교인간학과교육, 인간학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