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및 시약
3. 실험원리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2. 실험기구 및 시약
3. 실험원리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Biuret reaction
뷰렛반응은 Dipeptide bond 이상의 단백질을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gelatin과 난백에서 선명한 자색으로 변하여 didpeptide 결합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Ninhydrin reaction
닌히드린 반응은 α-amino acid, peptide, protein 확인 반응이다. 실험 후 결과를 보자면 가열 후 색의 진하기는 glycine> 타이로신>난백>gelatin> 우유 의 순이었고 maltose와 citric acid는 변화가 없었다. glycine> 타이로신>난백>gelatin 까지는 색의 진하기가 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우유는 옅은 보라색을 나타내었다. 이는 우유가 단백질 외에 수분, 지방 등의 물질을 함유하기 때문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
3) Millon reaction
이 실험은 Phenol성 OH기를 가진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확인 반응이다. 먼저 tyrosine은 맑은 적자색을 보였고, gelatine은 윗부분이 적색으로 변하였다. tryptophan은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였고, 난황은 아래쪽에 약간 적색을 띠며 엉킨 모양의 침전이, 우유는 적색의 엉킨 침전이 위로 부유하며 떠있었고, glycine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이 상이한 결과에 대해 고찰을 한 결과 밀론시약을 시료에 첨가하면, 단백질이 있는 경우는 백색침전이 생기고, 이것을 60∼70℃로 가열하면 벽돌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반응은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인 티록신 ·디옥시페닐알라닌 등의 페놀고리가 수은화합물을 만들고, 아질산에 의해 착색된 수은착염으로 되기 때문이다.
4) Xanthoprotein reaction
Aromatic amino acid (Try, Trp, Phe 등) 확인하는 실험방법이다. 색의 순서로 따지면 tryptophan>tyrosine>gelatin>난황의 순서로 적색 빛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glycine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리는 시료에 소량의 질산을 가하여 몇 분간 가열하면 황색이 되며, 다시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알칼리성으로 하면 색이 진하게 되어 주황색에 가깝게 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의 벤젠고리가 질산에 의해 니트로화되어 황색의 니트로화합물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을 함유하지 않는 단백질인 경우는 이러한 발색은 일어나지 않는다.
------------------------------------------------------------------------------------------------------------------------
7. 참고문헌
1. 식품화학실험 11th
2. 한국식품과학교수협의회(2009), 식품(산업)기사, 경기파주, 지구문화사
3. http://mediver.com/bbs/view.php?id=biochemistry&no=23
4. http://blog.naver.com/gamble0726?Redirect=Log&logNo=140064845936
뷰렛반응은 Dipeptide bond 이상의 단백질을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gelatin과 난백에서 선명한 자색으로 변하여 didpeptide 결합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Ninhydrin reaction
닌히드린 반응은 α-amino acid, peptide, protein 확인 반응이다. 실험 후 결과를 보자면 가열 후 색의 진하기는 glycine> 타이로신>난백>gelatin> 우유 의 순이었고 maltose와 citric acid는 변화가 없었다. glycine> 타이로신>난백>gelatin 까지는 색의 진하기가 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우유는 옅은 보라색을 나타내었다. 이는 우유가 단백질 외에 수분, 지방 등의 물질을 함유하기 때문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
3) Millon reaction
이 실험은 Phenol성 OH기를 가진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확인 반응이다. 먼저 tyrosine은 맑은 적자색을 보였고, gelatine은 윗부분이 적색으로 변하였다. tryptophan은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였고, 난황은 아래쪽에 약간 적색을 띠며 엉킨 모양의 침전이, 우유는 적색의 엉킨 침전이 위로 부유하며 떠있었고, glycine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이 상이한 결과에 대해 고찰을 한 결과 밀론시약을 시료에 첨가하면, 단백질이 있는 경우는 백색침전이 생기고, 이것을 60∼70℃로 가열하면 벽돌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반응은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인 티록신 ·디옥시페닐알라닌 등의 페놀고리가 수은화합물을 만들고, 아질산에 의해 착색된 수은착염으로 되기 때문이다.
4) Xanthoprotein reaction
Aromatic amino acid (Try, Trp, Phe 등) 확인하는 실험방법이다. 색의 순서로 따지면 tryptophan>tyrosine>gelatin>난황의 순서로 적색 빛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glycine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리는 시료에 소량의 질산을 가하여 몇 분간 가열하면 황색이 되며, 다시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알칼리성으로 하면 색이 진하게 되어 주황색에 가깝게 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의 벤젠고리가 질산에 의해 니트로화되어 황색의 니트로화합물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을 함유하지 않는 단백질인 경우는 이러한 발색은 일어나지 않는다.
------------------------------------------------------------------------------------------------------------------------
7. 참고문헌
1. 식품화학실험 11th
2. 한국식품과학교수협의회(2009), 식품(산업)기사, 경기파주, 지구문화사
3. http://mediver.com/bbs/view.php?id=biochemistry&no=23
4. http://blog.naver.com/gamble0726?Redirect=Log&logNo=140064845936
추천자료
킬달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두유를 이용한 단백질의 응고현상(두부생성)
지방·단백질·탄수화물대사
[A+ 레포트]단백질의 변성에 대하여
두부 제조와 대두 단백질
DNA 에서 단백질까지
[생물]단백질에 대해서...
분자생명공학을 이용한 인간 콜라겐 단백질 생산
(A+ 레포트) 단백질의 변성에 대하여
(A+ 레포트) 단백질의 변성에 대하여
[실험보고서] 단백질정량 bradford 실험 - 예비와 결과 보고서
[화학실험]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 column chromatography의 준비로서의 buffer 만들기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요약, 한 분자의 글루코오스가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