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olution이 시료속에 들어있는 단백질들과 반응을 하면서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을수록 점점 짙은 푸른색을 띄게 되는데 이로 인해 BSA양이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점점 증가하여 이번 실험에서는 전체적으로 이론값과 비슷하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마지막 BSA 50μL 의 시료에서 흡광도가 낮아지는 것이 보여지는데 이것은 96 well plate에 피펫으로 시료를 넣을 때 plate 안쪽에 공기방울이 발생을 하여 흡광도를 낮게 만들어서 전체적인 평균이 내려가 평균 흡광도가 낮게 측정이 되었다. 에탄올을 이용하여 공기방울을 없애야 하지만 실험 전에 이러한 것을 숙지하지 못하여 신경을 쓰지 못한 것 같다. 전체적인 오차를 생각을 해보면 실험을 시작할 때 손에 묻어있는 단백질들이 기구에 묻거나 시약들과 반응을 할 수 있는데 생각을 하지 못하고 맨손으로 기구를 만졌던 것이 약간의 오차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 또한 Bradford method 실험을 하면서 BSA 시약들에 Bradford solution을 넣고 vortex mixer에 섞어줘야 하는데 vortexing 할때의 시간이 오래 걸려 단백질이 약간의 변이가 생기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게다가 실험 도중에 완충액 등 여러 시약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참고문헌
1. 네이버 블로그, Bradford method, 2013.01.27.,
http://blog.naver.com/withcoffee67?Redirect=Log&logNo=70157521263
2. 생명과학대사전, 브래드퍼드법, 2008.5.01., 강영희, 243P
* 참고문헌
1. 네이버 블로그, Bradford method, 2013.01.27.,
http://blog.naver.com/withcoffee67?Redirect=Log&logNo=70157521263
2. 생명과학대사전, 브래드퍼드법, 2008.5.01., 강영희, 243P
키워드
추천자료
킬달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켈달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단백질 정량, SDS-PAGE의 원리 및 SDS-polyacrylamide gel의 제조
[생물체생체내 아미노산분리 실험]생물체생체내 아미노산분리 실험제목, 생물체생체내 아미노...
기기분석및분석실험_3_SDS-PAGE
[식품화학실험] 유지의 비누화가, 요오드가 측정
단백질 정량
실습보고서 - 단백질 정량법 : 브래드 퍼드법
분석화학실험 - 복사선 흡수법
단백질 정량 레포트
영양생화학)단백질 정량 (BCA법)
【식품화학실험】 10 - 환원당(reducing sugar) : Bertrand법을 이용한 환원당 측정
단백질 정량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