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농장과 공장의 갈등은 불가피했는가?
2. 미국 자본주의 성장의 3가지 형태
3. 전쟁 원인의 설명 논리
4. 혁명의 추진력과 그 실패
5. 전쟁의 의미
2. 미국 자본주의 성장의 3가지 형태
3. 전쟁 원인의 설명 논리
4. 혁명의 추진력과 그 실패
5. 전쟁의 의미
본문내용
남부의 “융커들”이 노예 소유주의 위치에서 벗어나서 점차로 도시의 기업적 색체를 띠게 되고 북부의 자본가들이 급진적인 노동자의 소요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이들 사이에는 전형적인 보수주의적 연합이 이룩될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제 2의 미국혁명”을 무산시킨 테르미도르 현상이 일어났다.
5. 전쟁의 의미
남북 전쟁은 혁명이었는가? 분명히, 억압자에 대한 민중의 저항이라는 관점에서는 혁명이라고 할 수 없다. 혁명이 갖는 하나의 의미는 한 사회의 기존 정치 제도를 폭력적으로 파괴하여 새로운 길을 가게끔 하는 데에 있다. 남북전쟁 이후 산업자본주의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렇다면 산업 자본주의의 폭발적인 성장이 남북 전쟁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의 자유를 위한 기여라는 점에서는 어떠했는가? 국가가 개인의 생명과 자유와 재산을 침해할 수 없다는 헌법 제 14조 수정 조항은 이 모호성을 집약적으로 표현한다. 이 14조 수정 조항은 흑인들을 보호하는 데는 별로 의미가 없었고 단지 사기업의 활동을 보호하는 내용을 장황하게 규정하고 있었다. 결국, 남북 전쟁을 평가하는 방법은 현대 미국 사회에서의 자유를 어떻게 평가하며, 선진 산업 자본주의의 제도와 남북 전쟁의 연관성을 어떻게 인식하느가에 달려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몇몇 중요한 정치적 변동이 북부의 승리에 수반되어 일어났다. 연방정부는 자산가들의 성채가 되었으며, 그것도 주로 거대한 자산가의 점유물이 되었다. 이러한 성채는 무엇보다 먼저 연방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이다. 미연방은 남북 전쟁 이후 서부에 사람들이 들어차게 되자 세계에서 가장 큰 국내 시장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그것은 또한 현재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고율의 관세로 보호되는 시장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앙 은행 제도의 확립과 정화 지불 제도의 재개를 통해 통화제도의 건전한 발판이 마련되었다. 철도건설은 정부의 거대한 금융 지원을 받았으며 공유지의 처분은 목재업에서나 광산업에서의 축재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공장에서 이런 식으로 유츌되는 노동력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연방 정부는 계속해서 이민의 문호를 개방했다. 결국 플란테이션 경제의 질곡을 무너뜨린 산업 자본주의의 승리는 피와 철을 요구했지만 무척 설득력을 갖는다.
남북 전쟁은 산업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혁명적인 승리이며 이러한 승리를 얻기 위해 필요했다는 논리에 대하여 반대 의견을 표명한 주장을 볼 수 있다. 즉 남부와 북부의 겨
5. 전쟁의 의미
남북 전쟁은 혁명이었는가? 분명히, 억압자에 대한 민중의 저항이라는 관점에서는 혁명이라고 할 수 없다. 혁명이 갖는 하나의 의미는 한 사회의 기존 정치 제도를 폭력적으로 파괴하여 새로운 길을 가게끔 하는 데에 있다. 남북전쟁 이후 산업자본주의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렇다면 산업 자본주의의 폭발적인 성장이 남북 전쟁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의 자유를 위한 기여라는 점에서는 어떠했는가? 국가가 개인의 생명과 자유와 재산을 침해할 수 없다는 헌법 제 14조 수정 조항은 이 모호성을 집약적으로 표현한다. 이 14조 수정 조항은 흑인들을 보호하는 데는 별로 의미가 없었고 단지 사기업의 활동을 보호하는 내용을 장황하게 규정하고 있었다. 결국, 남북 전쟁을 평가하는 방법은 현대 미국 사회에서의 자유를 어떻게 평가하며, 선진 산업 자본주의의 제도와 남북 전쟁의 연관성을 어떻게 인식하느가에 달려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몇몇 중요한 정치적 변동이 북부의 승리에 수반되어 일어났다. 연방정부는 자산가들의 성채가 되었으며, 그것도 주로 거대한 자산가의 점유물이 되었다. 이러한 성채는 무엇보다 먼저 연방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이다. 미연방은 남북 전쟁 이후 서부에 사람들이 들어차게 되자 세계에서 가장 큰 국내 시장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그것은 또한 현재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고율의 관세로 보호되는 시장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앙 은행 제도의 확립과 정화 지불 제도의 재개를 통해 통화제도의 건전한 발판이 마련되었다. 철도건설은 정부의 거대한 금융 지원을 받았으며 공유지의 처분은 목재업에서나 광산업에서의 축재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공장에서 이런 식으로 유츌되는 노동력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 연방 정부는 계속해서 이민의 문호를 개방했다. 결국 플란테이션 경제의 질곡을 무너뜨린 산업 자본주의의 승리는 피와 철을 요구했지만 무척 설득력을 갖는다.
남북 전쟁은 산업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혁명적인 승리이며 이러한 승리를 얻기 위해 필요했다는 논리에 대하여 반대 의견을 표명한 주장을 볼 수 있다. 즉 남부와 북부의 겨
추천자료
'남북정상회담 600일'을 읽고
베트남전쟁
[남북 통일론] 남북관계의 현황과 특징, 동향, 본질 및 성격과 나아갈 방향 제언 (2007년 ★★★...
남북 문제(통일방안, 대북정책, 동북아질서, 세계정세)
한국전쟁과 6자회담에서의 중국의 역할
[한국전쟁][6 25전쟁]한국전쟁(6 25전쟁)의 발발, 한국전쟁(6 25전쟁)의 원인, 한국전쟁(6 25...
[한반도평화체제][한반도평화체제 구축][한반도평화][한반도][남북관계]한반도평화체제의 위...
7.4 남북 공동 성명
[악의 축][북한]악의 축과 북한의 반응, 악의 축과 한반도정세, 악의 축과 이라크, 악의 축과...
[통일인사이드 공통] 2015년은 광복 70주년이자 남북 분단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다음 2가지...
사회문제론E형]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있으며 사...
사회문제론 E형 남북대화와 이산가족 70년의 기다림
[세계의역사]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