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rt (MI, Angina, PTCA, IABP)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2 간호사정
- subjective data
- objective data
- Pex
- diagnostic study
- cardiac catherization
- 기타

3 Ischemic Heart Disease
- stable angina
- unstable angina
- variant angina
- silent ischemia

4 Myocardial Infarction

5 PTCA

6 IABP

본문내용

·arrhythmia, re stenosis
5. Procedure ① skin prep.
② 부분 마취 : 2% lidocain, Rt. inguinal 마취한 후 마취여부 확인
③ vein puncture : 0.5cm incision을 넣고 puncture needle로
Rt. femoral vein puncture.
④ pacing cath insert
·wire를 needle속으로 넣은 후 needle은 빼고 vein sheath cath를 insert한 뒤
wire는 다시 뺀다.
·pacing cath를 insert하여 RV apex에 넣었는지를 fluoroscope로 확인하고
pacing cath를 generator에 연결한다.
·generator를 on하여 rate, sense, output를 조절한 다음 EKG monitor를 확인
하고 다시 off한다.
⑤ Rt femoral a. puncture하여 PTCA guiding cath에 wire를 끼워 sheath cath를
통해 삽입한 후 manifold와 연결한다.
⑥ 조영제를 소량씩 주입하여 fluoroscope를 확인하면서 cath를 병변이 있는 혈관에
진입시켜 좁아진 부분을 확인하고 그 정도를 측정한다.
⑦ PTCA dilatation cath를 guide wire를 통해 삽입하여 coronary artery lesion에
도달하게 한다.
⑧ dilatation cath가 정확한 위치를 잡으면 희석된 조영제를 주입하여 적합한 압력
을 가한다(반복)
⑨ 압력을 가하는 동안 흉통을 호소하거나 심전도, 혈압등의 변화를 확인한다.
(NTG, isoket fluid, O2, morphine 투여)
⑩ dilatation이 끝나면 혈관조영술을 하여 형성술한 vessle을 확인한다.
⑪ PTCA가 끝나면 cath는 제거하고 sheath cath는 suture한채로 압박 dressing하
고 ABR 교육후 ICU로...
⑫ PTCA 중 dilatation 하다가 vessle rupture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응급 수
술 동의서 blood X-matching, typing의 여부를 확인해 놓고 CS team의 대기가 필요하다.
《before》 《after》
Ⅵ. IABP(Intra Aortic Balloon Pump)
1. 개요 : IABP는 순환부전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시성 기계적 순환 보조기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IABP의 치료적 효과는 이완기의 증폭과 후부하 감소의 혈역학적 원리에 근거한다.
2. Indication
·AMId에서 cardiogenic shock
·open heart surgery 후 심근장애에 따른 좌심부전
·중증 판막증 수술후의 심부전
·관상동맥 우회수술중·술후의 심부전
·심실중격천공에 의한 심부전
3. contraindication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합병증
·대동맥류
·유아, 소아
4. 효과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심장후방 부하 감소
·심박출량 증가
·좌심실작업량 감소
5. IABP timing
balloon의 팽창은 대동맥 판막이 닫힌 후 이완기 동안에 일어나도록 정해져 있다.
일단 balloon이 팽창되면 관상 동맥의 관류와 심근 산소 공급을 증가하기 위해 대동 맥궁내의 혈류는 후향성으로 대동맥 기시부를 향해 재위치된다. 풍선의 위치 아래 대동맥내의 혈량은 말초 혈관계에 관류하기 위해 앞으로 밀어낸다. 풍선 수축은 대 동맥 판막의 개방직전의 수축기동안에 일어나도록 되어있다. 이완기
counterpulsation은 좌심실 분출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심실 배출을 촉진시켜 심근
산소 요구를 감소시킨다.
6. Nursing Management
(1) 부정맥의 관리
풍성 반대 박동의 시간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와 동맥압이 지속적으로
감시된다. 부정맥은 풍선의 팽창과 수축의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리듬 장애를 발견하고 빨리 교정해야 한다. 이상적으로 평균 동맥압이 80mmHg
정도 유지된다.
(2) 다리 허혈의 예방
IABP의 주요한 합병증은 삽입된 쪽의 다리에 부가적으로 대퇴동맥의 폐색, cath
자체나 풍선에 생긴 혈전으로부터 색전등으로 인한 허혈이다. 결과적으로 cath 삽
입부위의 원위부 말초 맥박의 질과 색깔, 온도 그리고 모세혈관 충전시간을 자주
사정한다. 만약 맥박 촉지가 약하다면 doppler를 사용한다. 관류저하의 증상은 즉
각 notify한다. 다른 혈관 합병증은 급성 대동맥 박리, 가성 대동맥류등이 있다.
또 balloon cath가 원위부로 이동해서 좌측 쇄골하 동맥을 막거나 신혈류를 방해
할 수 있다. 그러므로 radial pulse와 소변량의 세심한 사정이 필요하다. balloon
cath의 탈위치의 사고 에방은 환자의 ABR, 30°이상의 침상머리 상승 금지, 삽
입된 다리의 굴곡 예방이 필요하다.
(3) Thrombocytopenia의 감시
이는 풍선의 pumping작용에 의한 PLT의 기계적 파괴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혈소판 검사가 세심하게 시행되어야 하고 간호사는 환자에게 출혈의 경
향이 있는지를 관찰해야 한다.
(4) 감염의 예방
삽입부위 자체가 오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소독을 매일 철저히 한다.
(5) IABP로부터의 weaning
최소한의 약물로 혈역학적 안정이 이루어지면 풍선으로부터 환자의 weaning이
된다. weaning은 IABP의 support를 1:2나 1:3의 비율로 낮추거나 풍선의 용량을
줄인다. 풍선 표면에 혈전의 생성을 막기 위해 cath는 환자 내부에 고정된 채로
남겨져서는 안된다. 심각한 심장 손상의 증거인 48hr 이상의 의존은 불량한 예후
를 보인다.
(6) 환자와 가족의 교육
◈ 참 고 문 헌 ◈
1. 성인 간호학 - 현 문 사 -
2. 생리학 - 정 문 각 -
3. Internal power medicine - 군자출판사 -
4. 약리학 - 수 문 사 -
5. 진단검사와 간호 - 현 문 사 -
6. 심도자실 manual
7. 심전도 - 현 문 사 -
8. internet - heartpoint.com
적십자간호대학(EKG)

키워드

MI,   ANGINA,   PTCA,   IABP,   Myocardial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8.03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