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목차
위생긱구
위생기구의 재질 및 부속
위생기구의 통기배관
위생기구의 선정
위생기구의 설치높이
위생기구의 종류
세척급수방식
장애자용 위생기구
위생기구의 재질 및 부속
위생기구의 통기배관
위생기구의 선정
위생기구의 설치높이
위생기구의 종류
세척급수방식
장애자용 위생기구
본문내용
이상을
조합한 형태를 띄고 있다.
공급
수압
[kgf/㎠]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kPa]
49
98
147
196
245
294
343
392
441
490
수압별 토수유량
[ℓ/min]
5.30
7.50
9.19
10.6
11.9
13.0
14.0
15.0
15.9
16.8
6.36
9.00
11.0
12.7
14.2
15.6
16.8
18.0
19.1
20.1
6.72
9.50
11.6
13.4
15.0
16.5
17.8
19.0
20.2
21.2
71%
100%
122%
141%
158%
173%
187%
200%
212%
224%
<동일 수도꼭지에서 수압 변화에 따른 토수유량의 변화 >
2. 대변기의 절수 방식
1) 절수기기 사용 방식 : 기존 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부속을 설
치하는 방식
(1) 사용수량(使用水量) 조절형 : 기존 설치된 로탱크에 설치해 대변 세척에 필요
한 적정 사용수량만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수하는 방식이다.
중력식 절수기
사이펀 덮개
방호벽
물주머니
예) 중력식 절수기, 사이펀 덮개, 방호벽, 물주머니 등
<사용수량 조절형 대변기 절수기기의 예>
(2) 대ㆍ소변 구별형 : 대변ㆍ소변별로 사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절수기
기를 설치한 방식이다.
예) 대ㆍ소변 구별형 로탱크용 절수기기, 대ㆍ소변 구별형 세척밸브
대ㆍ소변 구별형 로탱크용 절수기기
절수 세척밸브
<대ㆍ소변 구별형>
시판되고 있는 대변기 절수기기는 ①‘사용수량 조절’ 방식 또는 ②‘대ㆍ소변 구별’ 방식 중 한 가지를 채택한 형태를 띄고 있다.
2) 사용수량 저감형 변기 방식
적은 양의 물로도 대ㆍ소변의 세척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변기의 세척 구조를 달리한 방식이다. 일반 대변기는 세척시 사용수량이 13~15ℓ이나 이 방식의 절수형 대변기는 사용수량이 6~9ℓ이다.
예) 적정 사용수량 6~9ℓ의 좌변기, 적정 사용수량 3L 이하의 소변기
종류
사용수량
설치가능 절수기기
사용수량 [ℓ]
대변후 작동시
소변후 작동시
로탱크형 좌변기
절수형(6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6
3.5
절수형(9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8~9
4.5~5
일반형(13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13~15
8~9
사용수량 저감형
11~13
11~13
세척밸브형 좌변기
절수형(9ℓ형)
절수 세척밸브
9
5
일반형(15ℓ형)
절수 세척밸브
15
9
세척밸브형 동양식 변기
일반형(15ℓ형)
절수 세척밸브
15
9
<일반 및 절수형 대변의 사용수량 >
10. 설비유닛
건축의 콘크리트치기공사가 완료된 후 복잡한 설비공사를 일괄하여 공장에서 유닛(unit)으로 완성하여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함으로써 현장작업의 간략화를 꾀하고 있다.
설비의 유닛화에 따른 장점은 공기(工期)의 단축, 공정(工程)의 단순화, 시공의 정도(精度 -품질) 향상, 현장 작업공간의 절감, 안정성의 향상, 재료ㆍ노동력절감에 따른 노무비 등 비용 절감, 보수ㆍ갱신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건축의 정밀치수가 요구되며, 제작과정이 획일적이어서 개인의 기호에 따른 요구에 불충분한 단점이 있다.
위생설비 유닛화의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현장에서 조립과 설치가 간단할 것
② 경량이며 운반에 편리한 형상으로 견고한 구조일 것
③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대량 생산성이 높을 것
④ 본관과의 배관접속이 용이하고 유닛내부의 배관도 단순할 것
⑤ 방수마감이 필요한 경우 완전할 것
1. 유닛의 종류
위생설비 유닛에는 일반적으로 욕실, 화장실, 세면실을 유닛(unit)화 한 새니터리 유닛(sanitary unit)과 업무용 건물의 화장실에 채용되고 있는 토일릿 유닛(toilet unit) 등이 있다.
종 류
구 성
적용 대상건물
새니터리 유닛
단체(單體)유닛
욕실(B) 유닛
변소(T) 유닛
세면실(L) 유닛
공동주택, 단독주택, 병원 등
집합(集合)유닛
BT, BL, TL, BLT
공동주택, 병원, 호텔 등
복합(複合)유닛
BTC, BLC, TLC, BLTC
토일렛 유닛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세면기 유닛
청소싱크 유닛
각종 업무용 건물, 학교 등
세면 화장대
세면기+급탕기
공동주택, 학교 등
<위생설비 유닛의 종류>
1) 시공형태에 따른 분류
(1) 패널식(panel type) - 녹다운형(knock down type)
공장에서 적당한 패널로 분할된 각 부재의 부품(천정, 벽, 바닥 등)을 미리 제작 해서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다.
(2) 큐비클식(cubicle type) - 패키지형(package type)
공장에서 유닛을 입체적으로 제작(건축적 실내마감, 위생기구, 전기설비 환 기설비, 배관 등 모두 구비)해서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프리 패브(pre-fab)로서 가장 이상적인 방식이나 크기와 무게에 따른 운반, 반입 구 등 반입방법에 어려움이 따른다.
(3) 패널-큐비클식(panel-cubicle type)
절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패널 방식) (큐비클 방식)
<유닛 방식>
<패널방식의 현장시공 공정도>
2. 새니터리 유닛(sanitary unit)
(1) 복합 유닛
일반적으로 욕실 유닛(UB ; unit bathroom)에 많이 사용된다. 욕조 이외에 대변기와 세면기를 설치한 서양식 욕실이다. 패널방식이 주로 채용되며, 수송ㆍ반입ㆍ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호텔, 주택, 원룸 등에 이용된다.
(2) 단체(單體) 유닛
욕실 유닛, 화장실 유닛, 세면실 유닛, 샤워실 유닛 등이 있다.
<욕실유닛의 예>
3. 토일릿 유닛(toilet unit)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청소싱크 유닛, 장애자용 유닛 등이 있다. 각각의 기구 개수에 따라 단식, 2연식, 3연식, 4연식 등이 있으며, 화장실 설계에 따라 조합하여 배치한다.
급ㆍ배수 배관을 프레임으로 고정하고 표면에 장식용 판재를 붙이고 위생기구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업무용 건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소변기) (청소싱크) (대변기)(세면기)
<토일릿 유닛의 종류>
<신체장애자용 유닛의 예>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4. 세면화장대
세면기와 거울, 수납장을 조합한 화장대를 유닛화한 것이다.
조합한 형태를 띄고 있다.
공급
수압
[kgf/㎠]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kPa]
49
98
147
196
245
294
343
392
441
490
수압별 토수유량
[ℓ/min]
5.30
7.50
9.19
10.6
11.9
13.0
14.0
15.0
15.9
16.8
6.36
9.00
11.0
12.7
14.2
15.6
16.8
18.0
19.1
20.1
6.72
9.50
11.6
13.4
15.0
16.5
17.8
19.0
20.2
21.2
71%
100%
122%
141%
158%
173%
187%
200%
212%
224%
<동일 수도꼭지에서 수압 변화에 따른 토수유량의 변화 >
2. 대변기의 절수 방식
1) 절수기기 사용 방식 : 기존 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부속을 설
치하는 방식
(1) 사용수량(使用水量) 조절형 : 기존 설치된 로탱크에 설치해 대변 세척에 필요
한 적정 사용수량만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수하는 방식이다.
중력식 절수기
사이펀 덮개
방호벽
물주머니
예) 중력식 절수기, 사이펀 덮개, 방호벽, 물주머니 등
<사용수량 조절형 대변기 절수기기의 예>
(2) 대ㆍ소변 구별형 : 대변ㆍ소변별로 사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절수기
기를 설치한 방식이다.
예) 대ㆍ소변 구별형 로탱크용 절수기기, 대ㆍ소변 구별형 세척밸브
대ㆍ소변 구별형 로탱크용 절수기기
절수 세척밸브
<대ㆍ소변 구별형>
시판되고 있는 대변기 절수기기는 ①‘사용수량 조절’ 방식 또는 ②‘대ㆍ소변 구별’ 방식 중 한 가지를 채택한 형태를 띄고 있다.
2) 사용수량 저감형 변기 방식
적은 양의 물로도 대ㆍ소변의 세척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변기의 세척 구조를 달리한 방식이다. 일반 대변기는 세척시 사용수량이 13~15ℓ이나 이 방식의 절수형 대변기는 사용수량이 6~9ℓ이다.
예) 적정 사용수량 6~9ℓ의 좌변기, 적정 사용수량 3L 이하의 소변기
종류
사용수량
설치가능 절수기기
사용수량 [ℓ]
대변후 작동시
소변후 작동시
로탱크형 좌변기
절수형(6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6
3.5
절수형(9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8~9
4.5~5
일반형(13ℓ형)
대ㆍ소변 구분형
13~15
8~9
사용수량 저감형
11~13
11~13
세척밸브형 좌변기
절수형(9ℓ형)
절수 세척밸브
9
5
일반형(15ℓ형)
절수 세척밸브
15
9
세척밸브형 동양식 변기
일반형(15ℓ형)
절수 세척밸브
15
9
<일반 및 절수형 대변의 사용수량 >
10. 설비유닛
건축의 콘크리트치기공사가 완료된 후 복잡한 설비공사를 일괄하여 공장에서 유닛(unit)으로 완성하여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함으로써 현장작업의 간략화를 꾀하고 있다.
설비의 유닛화에 따른 장점은 공기(工期)의 단축, 공정(工程)의 단순화, 시공의 정도(精度 -품질) 향상, 현장 작업공간의 절감, 안정성의 향상, 재료ㆍ노동력절감에 따른 노무비 등 비용 절감, 보수ㆍ갱신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건축의 정밀치수가 요구되며, 제작과정이 획일적이어서 개인의 기호에 따른 요구에 불충분한 단점이 있다.
위생설비 유닛화의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현장에서 조립과 설치가 간단할 것
② 경량이며 운반에 편리한 형상으로 견고한 구조일 것
③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대량 생산성이 높을 것
④ 본관과의 배관접속이 용이하고 유닛내부의 배관도 단순할 것
⑤ 방수마감이 필요한 경우 완전할 것
1. 유닛의 종류
위생설비 유닛에는 일반적으로 욕실, 화장실, 세면실을 유닛(unit)화 한 새니터리 유닛(sanitary unit)과 업무용 건물의 화장실에 채용되고 있는 토일릿 유닛(toilet unit) 등이 있다.
종 류
구 성
적용 대상건물
새니터리 유닛
단체(單體)유닛
욕실(B) 유닛
변소(T) 유닛
세면실(L) 유닛
공동주택, 단독주택, 병원 등
집합(集合)유닛
BT, BL, TL, BLT
공동주택, 병원, 호텔 등
복합(複合)유닛
BTC, BLC, TLC, BLTC
토일렛 유닛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세면기 유닛
청소싱크 유닛
각종 업무용 건물, 학교 등
세면 화장대
세면기+급탕기
공동주택, 학교 등
<위생설비 유닛의 종류>
1) 시공형태에 따른 분류
(1) 패널식(panel type) - 녹다운형(knock down type)
공장에서 적당한 패널로 분할된 각 부재의 부품(천정, 벽, 바닥 등)을 미리 제작 해서 현장에 반입하여 조립하는 방식이다.
(2) 큐비클식(cubicle type) - 패키지형(package type)
공장에서 유닛을 입체적으로 제작(건축적 실내마감, 위생기구, 전기설비 환 기설비, 배관 등 모두 구비)해서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프리 패브(pre-fab)로서 가장 이상적인 방식이나 크기와 무게에 따른 운반, 반입 구 등 반입방법에 어려움이 따른다.
(3) 패널-큐비클식(panel-cubicle type)
절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패널 방식) (큐비클 방식)
<유닛 방식>
<패널방식의 현장시공 공정도>
2. 새니터리 유닛(sanitary unit)
(1) 복합 유닛
일반적으로 욕실 유닛(UB ; unit bathroom)에 많이 사용된다. 욕조 이외에 대변기와 세면기를 설치한 서양식 욕실이다. 패널방식이 주로 채용되며, 수송ㆍ반입ㆍ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호텔, 주택, 원룸 등에 이용된다.
(2) 단체(單體) 유닛
욕실 유닛, 화장실 유닛, 세면실 유닛, 샤워실 유닛 등이 있다.
<욕실유닛의 예>
3. 토일릿 유닛(toilet unit)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청소싱크 유닛, 장애자용 유닛 등이 있다. 각각의 기구 개수에 따라 단식, 2연식, 3연식, 4연식 등이 있으며, 화장실 설계에 따라 조합하여 배치한다.
급ㆍ배수 배관을 프레임으로 고정하고 표면에 장식용 판재를 붙이고 위생기구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업무용 건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소변기) (청소싱크) (대변기)(세면기)
<토일릿 유닛의 종류>
<신체장애자용 유닛의 예>
<대변기 유닛>
<소변기 유닛>
4. 세면화장대
세면기와 거울, 수납장을 조합한 화장대를 유닛화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