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들어가며 ------------------------------------ p. 2
2. 박두진의 생애 ------------------------------- p.2~3
3. 작품탐구 ------------------------------------ p.4~9
4. 마치며 ------------------------------------ p.9~10
참고문헌 ------------------------------------ p. 10
1. 들어가며 ------------------------------------ p. 2
2. 박두진의 생애 ------------------------------- p.2~3
3. 작품탐구 ------------------------------------ p.4~9
4. 마치며 ------------------------------------ p.9~10
참고문헌 ------------------------------------ p. 10
본문내용
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3&eid=MlxqTq9DDZP4N/BvFT6+svk96OD0Mtws&qb=67CV65GQ7KeE&enc=utf8
조지훈의 시들은 이 시들은 회고적이고 민속적인 것을 소재로 민족적 정서와 전통에 대한 향수를 읊은 것이다. 조지훈의 <승무>는 그의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시로 그가 섬세한 미의식과 불교세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 시이다.
마지막으로 박두진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시인이 가져야 할 비판정신을 제시하고 지켜야 할 자세를 손수 실천하며 일제말기 시인들의 본보기가 됨은 물론 사람들에게는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은 시인이다.
공통적으로는 이들 모두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자연을 제재로 인간적 염원과 가치를 추구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박두진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역사적인 시련과 고통 속에서도 인간에 대한 구원과 사랑 그리고 믿음을 제시하려 부단히도 노력한 시인이기에 그를 탐구하기로 하였다.
이제부터 박두진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작품 경향이 잘 드러나 있는 시를 탐구해 보기로 하겠다.
2. 박두진의 생애
박두진은 1916년 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분지 지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글을 썩 잘하며 지나치게 겸허했고, 건강한 체격에 유교적 덕목을 가진 인자한 사람이었다. 얼굴이 전체로 웃고 우는 정 많은 아버지는 박두진의 무릎을 베고 78세가 되던 1948년 봄날 세상을 떠나게 된다. 어머니는 무학이었으나 사리가 밝고 엄하게 자식을 교육시켰다.
박두진은 1939년 6월 문장 제5집에 <향현>, <묘지송> 두 작품으로 정지용의 추천을 받고 문단에 그 첫발을 내디뎠다. 그와 비슷한 시기에 박목월과 조지훈 등도 문장을 통해 문단에 발을 들인 시인으로 후일 <청록집> 발간을 계기로 3인을 청록파로 불리게 된다.
박두진은 8살 때 고장치기로 이사하게 되는데 이곳은 ‘나의 인간됨의 바탕과 사상과 정서감정의 질과 기반이 마련된 전기적이며 운명적인 의미를 갖는 곳이라’ 는 평가와 함께 인간에 대한 결정적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해준 원체험의 고향 이라는 평가를 했다. 여기서 경험한 그의 원체험은 강렬했다.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눈뜨는 경험’울 한 번쯤 하게 된다. 박두진이 최초로 경험한 눈뜸은 대륙적인 햇볕, 쩔쩔 끓는 해였다. 빛의 강렬함은 그에게 결정적인 원체험을 제공하였다. 박두진은 유년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경험하게 된다. 극빈한 형편과 일제시대라는 가혹한 압박감은 그를 기질적으로 섬약하게 했고 그로 인해 철저한 배일 민족감정의 축적이 이루어졌다. 답답하기만 했던 소년 박두진은 더욱 근본적인 것을 찾고 싶었고 서울로 향하게 된다. 이때부터 문장에 추천을 받기까지의 기간은 그에게 문학과 동시에 인생참여의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서울로 간 까닭은 문학보다는 생계를 위해서였다. 그러나 외로움 속에서 문학을 느끼게 되고 그러는 와중 그는 기독교를 만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영향을 준 인물은 그의 누님 만순이였다. 그녀는 박두진에게 두 가지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첫째는 기독교이고 둘째는 글쓰기 이다. 기독교는 박두진에게 있어서 근원적이 힘이 되었고 비관적인 현실을 넘어설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누나는 그에게 문학적 자각을 주었고 박두진에게 있어 유일한 독자이자 비평가이자 협조자였다. 박두진은 이러한 누나의 후원을 바탕으로 전문학교 과정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다.
20대에 이른 그는 자살과 독립운동 이라는 결심을 하게 되지만 실현은 하지 못한다. 썬다 싱은 이즈음 박두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었다. 썬다 싱과 박두진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첫째는 어린 시절 성경책을 없애버린 일이였고 두 번째는 어린 시절에 형의 죽음을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자연 특히 빛에 대한 친화력도 우수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박두진의 인생참여 1기는 예술관으로 자연을, 인생관으로는 민족과 인간을, 종교관으로는 기독교를 선택하면서 마무리된다. 아울러 이 시기의 중요성은 글쓰기의 맹아가 준비되었다는 점이다. 즉, 그는 자신도 모르게 글쟁이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예로는 <북으로 가는 열차>라는 시와 <무제>가 활자화 되는 것을 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그는 자신도 모르게 문학이 좋아지기 시작하였다.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2004, pp.16~26.
3. 작품탐구
해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맑
조지훈의 시들은 이 시들은 회고적이고 민속적인 것을 소재로 민족적 정서와 전통에 대한 향수를 읊은 것이다. 조지훈의 <승무>는 그의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시로 그가 섬세한 미의식과 불교세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 시이다.
마지막으로 박두진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시인이 가져야 할 비판정신을 제시하고 지켜야 할 자세를 손수 실천하며 일제말기 시인들의 본보기가 됨은 물론 사람들에게는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은 시인이다.
공통적으로는 이들 모두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자연을 제재로 인간적 염원과 가치를 추구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박두진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역사적인 시련과 고통 속에서도 인간에 대한 구원과 사랑 그리고 믿음을 제시하려 부단히도 노력한 시인이기에 그를 탐구하기로 하였다.
이제부터 박두진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작품 경향이 잘 드러나 있는 시를 탐구해 보기로 하겠다.
2. 박두진의 생애
박두진은 1916년 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분지 지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글을 썩 잘하며 지나치게 겸허했고, 건강한 체격에 유교적 덕목을 가진 인자한 사람이었다. 얼굴이 전체로 웃고 우는 정 많은 아버지는 박두진의 무릎을 베고 78세가 되던 1948년 봄날 세상을 떠나게 된다. 어머니는 무학이었으나 사리가 밝고 엄하게 자식을 교육시켰다.
박두진은 1939년 6월 문장 제5집에 <향현>, <묘지송> 두 작품으로 정지용의 추천을 받고 문단에 그 첫발을 내디뎠다. 그와 비슷한 시기에 박목월과 조지훈 등도 문장을 통해 문단에 발을 들인 시인으로 후일 <청록집> 발간을 계기로 3인을 청록파로 불리게 된다.
박두진은 8살 때 고장치기로 이사하게 되는데 이곳은 ‘나의 인간됨의 바탕과 사상과 정서감정의 질과 기반이 마련된 전기적이며 운명적인 의미를 갖는 곳이라’ 는 평가와 함께 인간에 대한 결정적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해준 원체험의 고향 이라는 평가를 했다. 여기서 경험한 그의 원체험은 강렬했다.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눈뜨는 경험’울 한 번쯤 하게 된다. 박두진이 최초로 경험한 눈뜸은 대륙적인 햇볕, 쩔쩔 끓는 해였다. 빛의 강렬함은 그에게 결정적인 원체험을 제공하였다. 박두진은 유년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경험하게 된다. 극빈한 형편과 일제시대라는 가혹한 압박감은 그를 기질적으로 섬약하게 했고 그로 인해 철저한 배일 민족감정의 축적이 이루어졌다. 답답하기만 했던 소년 박두진은 더욱 근본적인 것을 찾고 싶었고 서울로 향하게 된다. 이때부터 문장에 추천을 받기까지의 기간은 그에게 문학과 동시에 인생참여의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서울로 간 까닭은 문학보다는 생계를 위해서였다. 그러나 외로움 속에서 문학을 느끼게 되고 그러는 와중 그는 기독교를 만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영향을 준 인물은 그의 누님 만순이였다. 그녀는 박두진에게 두 가지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첫째는 기독교이고 둘째는 글쓰기 이다. 기독교는 박두진에게 있어서 근원적이 힘이 되었고 비관적인 현실을 넘어설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누나는 그에게 문학적 자각을 주었고 박두진에게 있어 유일한 독자이자 비평가이자 협조자였다. 박두진은 이러한 누나의 후원을 바탕으로 전문학교 과정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다.
20대에 이른 그는 자살과 독립운동 이라는 결심을 하게 되지만 실현은 하지 못한다. 썬다 싱은 이즈음 박두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었다. 썬다 싱과 박두진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첫째는 어린 시절 성경책을 없애버린 일이였고 두 번째는 어린 시절에 형의 죽음을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자연 특히 빛에 대한 친화력도 우수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박두진의 인생참여 1기는 예술관으로 자연을, 인생관으로는 민족과 인간을, 종교관으로는 기독교를 선택하면서 마무리된다. 아울러 이 시기의 중요성은 글쓰기의 맹아가 준비되었다는 점이다. 즉, 그는 자신도 모르게 글쟁이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예로는 <북으로 가는 열차>라는 시와 <무제>가 활자화 되는 것을 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그는 자신도 모르게 문학이 좋아지기 시작하였다.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2004, pp.16~26.
3. 작품탐구
해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