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기간
2.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의 심사 대상
3. 부당해고 구제신청과 부당노동행위 성립과의 관계
2.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의 심사 대상
3. 부당해고 구제신청과 부당노동행위 성립과의 관계
본문내용
준용되는 것은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하고 노동위원회가 이를 심사하는 “절차”에 관한 규정이지, 구제대상행위의 “실체적 요건”에 관한 것이 아님이 명백하므로, 위와 같은 준용규정이 있다고 하여 위 부당해고 등의 구제신청이 인정되기 위하여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대법원 1992. 5. 22. 선고 91누5884 판결)
추천자료
중앙노동위원회의 권한에 대하여
이랜드 사태 발표
[판례][판례 모음][해고사유 판례][영업양도와 근로승계 판례][재개발 판례][환경법 판례][영...
부당해고의 법적 구제 (행정적구제 및 사법적 구제)
노동법상 노동위원회의 권한
[해고][경영상해고][경영상해고 판정 사례]해고의 정의, 해고의 분류, 해고의 정당성 기준, ...
노동위원회를 통한 권리분쟁 해결의 문제점
우리나라 부당해고구제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근로자 해고의 승인에 대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중재의 대상과 관련한 판례 연구
불이익취급의 성립 사유 (부당노동행위)
부당해고 구제 등 전반에 대한 법적 연구
부당해고 구제 제도 PPT
부당해고와 부당해고 구제방법에 관한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