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권의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극권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태극권 개요
1. 태극권이란?
2. 태극권의 유래와 발전
3. 태극권의 종류

Ⅱ. 태극권의 기본 요소
1. 태극권의 기본요소
2. 태극권의 수련요결

Ⅲ. 태극권의 특성과 효과
1. 태극권의 특징
2. 태극권의 효과

Ⅳ. 태극권 기초 실기
1. 시작 전 유의사항
2. 기본 자세
3. 간화(24식)태극권

Ⅴ.관절염과 태극권

참고문헌

본문내용

812~1880)은 하북 사람으로 처음에는 양로선에게 배웠고, 진가구의 진장흥에게 가르침을 구하였으나80세 고령인 진장흥이 가르칠 수 없어 그의 아들 경운에게 부탁하였지만 산동에 나가있어 배울 수 없었다.
무우양은 다시 진청평을 소개받아 가르침을 받았다.
진청평은 진유본에게 배웠으며 자세와 동작이 작고 긴밀하여 소가로 불렸다. 무우양은 진청평에게 몇 달 수업을 받고 무가태극권을 창시하였다.
무씨는 집안이 매우 부유하여 집안의 친척에게만 무가 태극권을 가르치고 외부인에게 적극 보급하지 않아 밖으로는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친척 한 명이 혁위진에게 전하였고, 혁은 그의 아들 월여, 월여는 소여에게 전하여 혁씨 태극권이 되는데 빠르고 가벼운 동작을 주로 한다.
품격은 진가태극권의 노가, 신가, 양식의 대가와 소가 등과도 틀리며, 형이 작고 활발하고 보법이 경쾌하고 허실이 분명하게 되어 있는 등 독자적이다.
⑤ 손가(孫家)태극권
손록당(1861~1932)에 의해 창시 됐다.
그는 일찍이 형의권의 명가 곽운심에게 형의권을, 팔괘장의 명가 정정화에게 팔괘장을 배운 북경의 유명한 고수였다. 동시기에 무가 태극권의 대가인 혁위진이 북경에서 큰 병을 얻었는데 손록당의 도움으로 완쾌하였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혁위진에게 무가태극권을 배우게되며, 형의권, 팔괘장, 태극권의 정수만을 모아 손가 태극권을 창시하게 된다.
저서로는《형의권학》,《팔괘권학》,《권의술진》등이 있다.
개합이 반복되며 전진후퇴를 되풀이 하고 보법이 활발, 동작이 예민하다.
동작의 특징때문에 개합 태극권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무가태극권과 유사 하나 자세가 다른 태극권보다 높은 것이 특징이다.
Ⅱ. 태극권의 기본요소
1. 태극권의 기본요소
1) 조신(調身) : 바른자세
태극권은 원래 무술이기 때문에 부정확한 자세로는 방어와 공격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바른 자세가 요구된다.
① 머리, 목, 척추가 항상 일직선으로 몸의 균형을 유지하며
② 허리가 주축이 되므로 항상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고
③ 하체는 정지해 있을 때는 뿌리가 내린 듯이, 이동시는 나비같이 움직임 으로써 바른 자세 유지 및 강한 하체의 힘을 축적하게 되어 운동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2) 조식(調息) : 자연스러운 호흡
태극권에서 호흡은 매우 중요하다. 호흡은 지극히 자연스러우면서도 아무런 힘을 들이지 않고 해야 하며, 편안하고 단정한 마음으로 행한다.
초보자는 가볍게 입을 다물고 길게 입 또는 코로 내쉬고 들숨은 꼭 코로 쉬는 자연 호흡을 각 동작에 맞춰 행한다. 숙련됨에 따라 점차 기를 단전에 침잠시 키는 결과를 낳게 되어 \'기공 및 단전호흡의 효과\'가 있다.
3) 조심(調心) :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마음
태극권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동작을 자연스레 유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태극권을 수행하다 보면 머리는 더 없이 맑아지고 평화로운 깨달음의상태를 체험하게 된다. 즉, 유연한 동작으로 공기를 물과 같이 느끼면서 그 속에서 헤엄을 치는 듯한 상태가 되어 온몸으로 평형과 조화로움을 맛보다
보면 명상의 효과를 만끽하게 될 것이다.
2. 태극권의 수련요결 - 태극권 연권십요
태극권 연권십요는 10가지의 주요 수련 원칙으로 태극권의 모든 동작의 기준지침과 같이 적용된다. 양가태극권의 양징보(楊澄甫)가 체계화한 원칙이다.
1) 허령정경(虛靈頂勁)
일명 정두현(頂頭懸)이라고도 한다. 머리의 자세를 바르게 하고, 힘을 넣지않는다. 힘이 들어가 면 목이 굳어지고 기혈이 유통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2)함흉발배(含胸拔背)
함흉은 가슴부위의 힘을 빼고 안쪽을 들여 넣는 듯한 동작으로, 함흉이되면 저절로 자연스럽게 등이 펴진 발배가 된다.
3)침견추주(枕肩墜)
침견수주라고 하기도 한다. 침견은 어깨를 이완시켜 아래로 내리는 것이다.
어깨가 뜨면 상기되며, 전신에 힘이 없어진다. 추주는 팔꿈치를 이완시켜 아래로 내리는 것이다. 팔꿈치가 들리면 어깨가 들리고, 경력이 끊긴다.
4) 송요(腰)
허리는 상하를 연결시키는 교량역할을 하기 때문에 허리의 긴장을 풀고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회전운동을 원활히하여 중심을 가라앉혀서 두발에 힘이 생기게 하고 하반신을 견고해지도록 한다.
5) 분허실(分虛實)
허실분청, 허실분명이라고도 한다. 태극권에서 허(虛)와 실(實)의 변화는 공격과 방어의 원동력이 된다. 즉, 허실이 분명히 구분되어야 동작과 방향전환이 가볍고 원활해지며 힘의 낭비가 없다.
6)용의불용력(用意不用力)
용의(用意)는 신체의 모든 활동을 의식(意識)으로 조정한다는 뜻이며, 의식은 정신작용을 가리키는 말이다. 부용력(不用力)은 졸력(拙力)을 사용하지말라는 뜻이다. 즉, 의(意)를 사용하고 력(力)을 사용하지 않으며 몸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벌리며 조금의 졸경(拙 勁)을 사용해서도 안된다는 뜻이다.
7)상하상수(上下相隨)
\'상하상수\'라는 것은 권법 수련시 손,허리,다리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 번 움직일 때 모든 것이 함께 움직이고(一動全動), 한번 안정할 때 모든것이 함께 안정하는(一靜全靜) 것을 말한다.
8)내외상합(內外上合)
의식의 주체가 되어 몸이 그의 지시에 따르게 한다. 따라서 정신이 제기되어야 행동이 가볍고 영활해진다. 투로에서 수족이 개(開)이면 심의(心意)도 개(開), 수족이 합(合)이면 심의도 합(合)이 되어야 한다.
9)상련부단(上連不斷)
상련부단은 태극권의 모든 동작에서 \'의식의 집중\'과 \'경의운경(運勁)\'이 연속되어 끊임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태극권은 시작부터 끝까지 일식(一式)에 이어 다시 일식이 이어져서 전체가 하나의 기(氣)로써 이루어진다.
10)동중구정(動中求靜)
동중구정은 태극권 수련시 정신을 편안하게 진정시키고 동작을 완만하게 하면서 침착하고 안정됨을 추구하는 것이다. 의식을 내면으로 수렴하여 집중함으로써 머리 속의 온갖 잡념을 제거하고, 오관(五官)의 작용을 초월해 이른바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입정(入靜)과 허무(虛無)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Ⅲ. 태극권의 특성과 효과
1. 태극권의 특징
1) 동작의 연속성
태극권 동작은 시작부터 끝까지 시종일관 이어진다. 즉 한동작의 완성은 다음동작의 시작이기
  • 가격6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11.2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