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수업지도안 - Ⅲ. 통치구조와 정치 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사 수업지도안 - Ⅲ. 통치구조와 정치 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명 및 개관

2. 단원설정의 이유

3. 단원학습목표

4. 학습계획 (2차시)

5. 자료 및 준비

6. 본 차시의 학습 목표

7. 수업의 전개

8. 평가

본문내용

한다.
3) 근세의 정치
- 조선의 정치적 변천에서 근세 국가의 모습을 확인한다.
- 18세기 이후 조선 사회에서 나타난 근대적 요소를 다각적으로 탐구한다.
4) 정치 상황의 변동
- 근현대 한국 사회의 정치활동에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4. 학습계획 (2차시)
단원명
주요내용
차시
1) 고대의 정치
3. 삼국의 발전과 통치 체제
삼국의 정치적 발전 - 고구려, 백제, 신라의 발전 과정
1/3
삼국 간의 항쟁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전성기
2/3
삼국의 통치 체제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중앙집권체제 확립
3/3
5. 자료 및 준비
- 교과서
- 파워포인트
- 지도
6. 본 차시의 학습 목표
1.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삼국간의 경쟁관계를 통해 한강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4,5,6세기에 삼국이 각각 어떤 과정을 거쳐 성장했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7. 수업의 전개
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학습자료 및
지도상유의점
시간배당
교사
학생
도입
주의 집중 및
학습 환경
정리
- 학생들과 인사를 한다.
-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확인한다.
- 선생님과 인사를 한다.
- 주변 정리정돈과 학습을
위한 준비를 한다.
- 준비상황확인
- 자율적 학습
분위기 조성
5분
전 차시 학습내용
확인
- 전 차시에 배웠던 삼국의 정치적 발전에 대해서 간 단히 정리를 하며 확인한 다.
- 전 차시에 배웠던 삼국 의 정치적 발전에 대한 내용을 떠올리며 이해한 다.
- PPT를 통해 전 차시에 배 웠던 내용을 간단하게 요 약정리하여 제시한다.
동기유발 및
오늘 배울
내용 소개
- 3. 삼국의 발전과 통치체 제에서 삼국간의 항쟁부분 을 학습할 것임을 알린다.
-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싸웠던 가장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질문한다.
- 삼국이 한강을 두고 싸운 것을 아이돌 그룹의 팬클 럽들이 콘서트장에서 자리 를 두고 싸운 것에 비유하 여 한강의 지리적 이점에 따른 중요성에 대해 설명 한다.
- 3. 삼국의 발전과 통치체 제에서 삼국간의 항쟁부분 을 학습할 것임을 안다.
- 질문에 답한다.(한강유역 의 지배권을 두고 싸웠 음)
- 설명을 듣고 한강의 중요 성에 대해 이해한다.
- 학습자가 질문 에 대한 답을 생각함으로서 학습내용에 대 한 궁금증 및 동기유발
전개
삼국간의 항쟁-(백제)
- 4세기 백제의 전성기시대 때의 지도를 제시한다.
- 지도를 보면서 백제는 4 세기 중반 근초고왕 때에 전성기를 이루어 남으로는 마한을 병합하여 전라도 남해안과 낙동강 유역의 가야지역까지, 북으로는 황해도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였고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요서, 산둥지방과 일본의 규슈지방까지 진출 하는 등 활발한 정복활동 과 대외 활동을 벌였음을 설명.
- 백제가 이렇게 활발한 정 복 활동과 영토확장을 이 룰 수 있던 배경은 무엇인 지 질문한다.
- 백제는 한강유역을 지배 함으로서 한강의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하여 해외진출 을 하는 등 전성기를 이룰 수 있었음을 설명한다.
- 4세기에는 백제가 한강유 역을 지배하면서 전성기를 이루었음을 학습한다.
- 질문에 답한다.(백제는 한 강유역을 지배함으로서 전 성기를 이룰 수 있었음)
- PPT를 이용 하여 4세기백 제의 전성기 때의 지도제 시
30분
삼국간의
항쟁-(고구려)
- 고구려의 왕 중에서 제일 먼저 생각나는 왕이 누군 지 질문한다.
- 드라마 \'태왕사신기\'에서 광개토대왕 역할을 맡은 배용준의 사진과 5세기 고구려 전성기 때의 사진 을 제시한다.
- 5세기 광개토대왕과 장수 왕 때에 고구려가 북으로 는 만주지방까지 세력을 넓히고 남으로는 백제를 몰아내고 한강유역을 차지 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음을 설명.
- 이러한 전성기 때의 모습 은 광개토대왕릉비와 중원 고구려비에 잘 나타나 있 음을 설명한다.
- 광개토대왕이라고 답한다.
- 5세기에는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차지함으로서 전성 기를 이룰 수 있었음을 학 습한다.
- 질문을 통해 주의 환기 및 집중을 유도 한다.
- 학생들에게 익 숙한 드라마 속 연예인의 모습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한 다.
- 광개토대왕릉 비와 중원고구 려비의 사진과 위치가 나와 있는 지도를 제시한다.
백제의 부흥
- 백제 동성왕때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를 견제하다.
- 성왕 때 도읍을 부여로 옮기고 관제를 개편, 중흥의 발판을 마련하여 신라와
함께 일시적으로 한강유역을 차지하였다.
- 한강유역을 다시 신라에게 빼앗기고 성왕도 전투중 전사하였음을 설명한다.
- 백제의 부흥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한강유역에 대해 중요성을 다시금 이해한다.
삼국간의
항쟁-(신라)
○ 신라 진흥왕 때 국력이 향상된 이유를 설명한다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여 군사력이 강해졌음을 설명한다(ppt에 화랑 이미지를 올려 부연설명한다)
-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다
○ 진흥왕 때 영토가 확장되는 과정과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 백제와 연합하여 한강유역을 차지하여 경제기반을 강화함과 동시에 중국진출 교두보를 확보하다. 이후 백제 성왕을 전사시키고 한강 이남까지 차지하다
(ppt에 진흥왕 이전의 신라영토를 비교하는 이미지를 올린다)
- 고구려의 내분을 틈타 함경도 지역으로 진출하였다(당시 고구려는 왕위계승다툼 중)
- 사다함을 시켜 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였다(여기서 화랑도에 대해 설명한다. 화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상태에서 동기유발을 위해 몇 가지 일화를 소개한다)
- 4개 순수비와 단양적성비를 세워 위세를 떨쳤다
흥미 유발을 위해 4개 순수비를 맞추는 퀴즈를 낸다.
○ 진흥왕 이후 삼국통일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 선덕여왕 때는 여왕즉위에 따른 정치적 혼란기로 내란이 일어나고 백제와의 전쟁이 잦았다. (드라마 ‘선덕여왕’을 보는 학생이 몇 명인지 파악한 후 드라마에 대한 내용을 언급한다)
- 진덕여왕 이후 성골이 끊어져 김춘추가 진골최초의 왕이되었고, 김유신 등의 도움을 받아 삼국을 통일하였다.
- 칼과 활을 찬 화랑의 이미지를 보며 군사적 기능이 강했음을 안다
- 국가 내부이념 수습에 종교적 이념이 사용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22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