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글로벌 현지화 전략 사례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K에너지 글로벌 현지화 전략 사례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 기 업 소 개
1) SK 그룹 소개
2) SK 에너지 소개

2. 본 론
(1) SK 에너지의 환경 분석 및 SWOT 분석
1) SK에너지 환경 분석
2) SWOT 분석
➀ SK 에너지의 강점 분석
➁ SK 에너지의 약점 분석
➂ SK 에너지의 기회 분석
➃ SK 에너지의 위협 분석
(2) Marketing 현지화 정책 분석 ( 제품별 )
(3) SK 에너지의 연구개발 실적 분석
(4) SK 에너지 성과 분석

3. 결론
(1) SK 에너지의 전망
(2) SK 에너지의 시사점
(3) SK 에너지의 평가

본문내용

튬이온 전지의 핵심부품인 세퍼레이터를 독자 개발했다.
독일 다임러그룹의 글로벌 하이브리드센터는 지난 10월 24일 미쓰비시 후소사의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장착될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SK에너지를 선정했다. 이번 선정에서 SK에너지는 세계 3번째로 상업화에 성공한 리튬이온 전지 분리막(LiBS) 소재 제조기술을 포함해, 박막 코팅 기술, 배터리 팩·모듈 제조기술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전지 분리막, 배터리 팩, 모듈 등 소재와 전지·배터리 팩 제조의 핵심기술을 동시에 보유한 업체는 세계에서 SK에너지가 유일하다.
SK에너지는 향후 다임러그룹의 다양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프로젝트에 협력업체로 우선 참여할 수 있다.
이로써 SK에너지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종합에너지 회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 확보에 투자하는 회사”라는 글로벌기업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3) SK 에너지의 연구개발 실적 분석
(단위 : 천원)
과 목
제3기(2009년 3분기)
제2기(2008년 3분기)
제1기(2007년 하반기)
원 재 료 비
8,140,638
7,622,488
4,004,641
인 건 비
23,207,648
21,825,874
22,387,661
감 가 상 각 비
17,489,676
12,421,477
6,429,108
위 탁 용 역 비
11,696,462
10,407,913
3,951,132
기 타
6,050,701
5,904,433
3,620,131
연구개발비용 계
66,585,125
58,182,185
40,392,673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66,585,125
58,182,185
40,392,673
제조경비
-
-
-
개발비(무형자산)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25%
0.16%
0.27%
1) ATA 촉매/공정 기술
ATA (Advanced Trans Alkylation) 기술은 SK에너지가 자체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트랜스알킬화 촉매를 적용하여, 저가의 Toluene과 중질 방향족 유분(C9+ Aromatics)을 고부가가치의 Xylene과 Benzene으로 전환시키는 새로운 촉매/공정 특허기술입니다. ATA 특허기술은 세계적인 촉매회사인 미국의 Zeolyst와 협력하여 전 세계에 라이센싱을 진행하고 있으며, 2002년 대만에 라이센싱한 이후 수출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2) APU 촉매/공정 기술 APU (Advanced Py-Gas Upgrading) 기술은 에틸렌 분해공정(Ethylene Cracker)에서 나오는 저가의 부산물인 Py-Gas (Pyrolysis Gasoline)를 원료로 석유화학 주요제품인 BTX(Benzene, Toluene, Xylene) 및 LPG(Liquefied Petroleum Gas)를 생산하는 SK에너지 고유의 특허 촉매/공정입니다. 이 기술은 저가인 반제품의 고부가가치화는 물론, 복잡하고 값 비싼 용제추출공정을 거치지 않고 BTX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신기술이며, SK에너지는 프랑스의 Axens와 함께 세계 시장에 라이센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YUBASE 기유 SK에너지는 합성유 등급의 최고급 윤활기유인 YUBASE 기유를 생산하는 공정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YUBASE 기유는 초고점도지수 기유(VHVI, Very High Visco-sity Index)에 해당하며, 미국석유협회(API) 분류기준으로 Group III 에 속하는 것으로, 고성능 윤활유의 원료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현재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30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API Group III 기유 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울산CLX에 제1, 제2공장이 있으며,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회사인 Pertamina와 합작으로 인도네시아 현지에 제3공장을 건설 했습니다.
4) 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는 경유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촉매를 통해 제거하는 경유매연 저감장치로, SK에너지는 1994년부터 석유화학사업을 통해 축적된 촉매기술을 기반으로 1990년대 말 국내 최초로 DPF를 개발하였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매연제거 성능을 가진 경유매연저감장치 \'Econix\'는 2003년부터 일본에 수출하였고, 2005년부터 국내에 보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및 유럽 등 세계 각국으로의 수출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5) LiBS 소재 기술 LiBS는 리튬 이차전지의 주요 소재로,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미세다공성 고분자 필름입니다. SK에너지는 LiBS 생산기술을 국내 최초 및 세계 3번째로 독자 개발하여 상업화에 성공했습니다. 2005년 상업1호 라인을 가동한 데 이어 2007년에 상업2호 라인을 가동하였습니다. SK에너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우수한 제품과 고객 맞춤형 제품에 대한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 일본업체에 의존하던 국내 LiBS 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LiBS는 향후 국하던차세대 성장동력인 이차전지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리튬 이차전지의 꾸준한수요증대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산업입니다. 6) PE-RT (Polyethylene-Rais입니다.emperature) PE-RT는 건물의 온수 및 난방용 파이프의 소재로서 기존의 동파이프와 XLPE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분자 소재입니다. PE-RT 소재는 건물의 수명에 해당하는 50년의 내구성능 뿐만 아니라 식품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위생성 및 재활용이 가능한 가공성을 가진 유망 소재로, SK에너지는 PE-RT 소재를 독자 개발하였으며, PE-RT를 기준으로 ISO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우리나라의 온돌이 Well be 수명 난방서 식으로 새롭게 인식되는 추세와 함께 PE-RT의 수요가 기로 으로 확산 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유럽, 미국, 중국 등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7) Opportunity Tdmlude 처리 기술 가격이 낮지만 공정에 문제를 발생시켜 처리
  • 가격2,1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