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조성에 대한 해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체조성에 대한 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제지방

체중

골격근량

BMI

체지방률

WHR

본문내용

록)기초대사율(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모율)이 높습니다.
★체중(weight) 체지방량+제지방량
쉽게 말하면 자신의 몸무게를 말한다.
크게 체지방체중과 제지방체중으로 나눌 수 있다. 체지방체중이란 일상적인 생활에서 섭취하는 음식물이 인체의 피하지방이나 내장지방에 저장되는 체중. 유산소운동을 할때나 저항성운동을 할때,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체중이 아니라 살을 만들어내는 체중. 비만이라 함은 총 체중에서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체지방율이라 하며 30%이상일때 여자는 비만이라 한다. 제지방체중은 총 체중에서 체지방체중을 제외한 체중. 일상적인 생활에서 호흡을 할때나 순환을 할때 에너지를 직접 만들어내는, 즉 칼로리를 소비하는 체중. 식이요법이나 운동과 같은 방법으로 체중을 줄일때는 체지방체중을 줄이고 제지방체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
★골격근량(skeletal muscle mass) - 뼈대근육
골격을 움직이는 근이 골격근인데, 이는 수의근(voluntary muscle)이라고도 하며, 횡문근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단일골격근은 2개 혹은 그 이상의 근부착부가 있으며, 움직임이 적은 부착부가 그 근의 기시(origin)부에, 움직임이 많은 부착부가 같은 근의 정지(insertion)에 해당된다. 그러나, 근의 부착부에 대해 움직임의 대소관계가 역전되는 경우도 있어서 근의 기시와 정지의 호칭이 서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근이 팽륜된 부위를 근복이라고 한다. 근의 말단은 건(tendon)으로 뼈인대연골 등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편평한 근이 강인한 섬유성 결합조직의 막인 건막(aponeurosis)에 부착되기도 한다. 편평한 근의 말단부를 이루는 건 조직이 서로 얽혀 봉선(raphe)이라고 불리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근의 동작에 따라서는 주동근(prime mover muscle), 길항근(antagoinst muscle), 고정근(fixing muscle), 협동근(synergist muscle) 로 구분할수 있다.
주동근 : 어떤 하나의 동작을 일으키기 위한 주요인이 되는 힘을 발생시키는 근, 또는 그러한 근군을 구성하는 근이다. 예를 들면, 대퇴사두근은 슬관절을 신전시키는 동장에서 주동근이다.
길항근 : 주동근의 작용에 대립되는 기능을 하는 근으로, 슬관절신전시에 대퇴사두근에 대립하는 대퇴 이두근이 그 예이다. 주동근이 수축하기 전에 길항근의 이완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것은 신경성 억제반사에 의해 발생한다.
고정근 :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장력만 발생시키는 등척성 수축(isomatrical contracation)에 의해 주동근의 기시부를 지탱하고 그 활동을 효과 있게 만드는 근이다. 예를들면 상지대를 체간에 연결시키는 근군은 삼각근이 견관절에 작용할 때 수축하여 고정근 역할을 한다.
협동근 : 다관절성 근(2개 이상의 관절을 사이에 두고 기시부와 정지부를 갖는 근)이 주동근일 때 여분의 관절움직임을 방지하여 주동근의 정지부 기능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근이다. 수근굴근 및 수근신근은 모두 수축에 의해 손목관절을 움질일 때의 협동근이 된다.
각 골격근에는 형상, 크기, 근두와 근복의 수, 체내에서의 위치와 깊이, 부착부위, 기능 등을 알 수 있는 명칭이 붙어있다.
★BMI(body mass index) - 신체질량지수
BMI = 체중(kg) / 신장(m)²
BMI(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는 의학적으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다체중, 비만으로 나누는 중요한 지표.
BMI는 미터로 환산한 신장의 제곱에 체중을 나눈 값으로 산출되며 BMI는 높으면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BMI와 체지방률은 비례관계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나 BMI에서 체지방률을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체지방량은 적고 근육이나 골량이 평균 이상으로 초과될 때에도 비만으로 잘못 분류하기 때문이다.
운동선수나 Body Builder의 경우는 근육량에 따라 BMI의 수치가 높아지므로 예외가 된다. BMI는 근육량이나 체격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므로 당신의 근육이 많거나 체격이 큰 편에 속한다면 BMI 수치가 더 많이 나가게 될 수 있다.
BMI가 17 이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추운날씨에 대한 내성의 저하, 머리털이 빠지고 피부의 노화, 골다공증, 월경이상(무월경증), 갑상선 기능의 저하.
BMI는 성장중인 어린이나 연로한 노인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체지방률(%fat) = 체중에 대한 체지방 중량의 비율(%로 표시)
체지방률의 정상범위 = 성인남자 15~20%정도, 성인여자 20~25%정도
체지방 1Kg의 열량은 약7200kcl
체지방 1kg을 감량하기 위해서는 조깅 16시간 정도에 해당하는 칼로리 소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체지방 감소는 단기간보다 장기간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복부지방율 (WHR ; waist-hip ratio) = 허리둘레 (inch)/엉덩이둘레(inch)
복부형 비만은 둔부형 비만보다 성인병의 위험이 더욱 높다.
복부비만율의 계산은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누면 된다.
남자의 경우 0.95~1 여성의 경우 0.7~0.85사이가 정상이고 비율이 높을수록 복부형비만으로 인한 성인병의 위험이 있다.
이 측정법은 복강 내의 장기의 지방과 연관이 있으며, 복부비만에 대한 좋은 척도로 활용된다. 총제지방률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축적된 지방의 분포에 따라 형태적인 차이를 보일뿐만 아니라, 지방이 어느 곳에 침착되어 있는가가 중요하다. 복부지방은 간에서 유리지방산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해를 감소시키고 중성지방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복부비만형(상체비만형)은 사지비만형(하체비만)에 비해서 동일한 체지방을 가질 경우 고혈압,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고지혈증, 관상동맹 질환 등의 위험과 갑작스런 사망의 위험이 증가된다.
WHR가 높은 여성은 임신율이 낮고, 기생충이 있을 수 있으면, 월경불순, 다모증, 당뇨병, 고혈압, 심근경색, 뇌일혈, 자궁암, 난소암, 유방암 등의 걸릴 확률도 높게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에도 WHR가 높으면 내장 비만의 위험성이 높아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2.05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