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잡가의 생성기반과 담론 특성
3. 잡가의 사설엮음원리와 실현양상
4. 맺는 말
2. 잡가의 생성기반과 담론 특성
3. 잡가의 사설엮음원리와 실현양상
4. 맺는 말
본문내용
스트들을 낯설게 연결하여 자극을 주는 수법을 활용하고 있다.
4. 맺는 말
장르 성향이나 담화 방식에 있어서 다잡성과 착종 현상을 보이는 잡가의 정체성을 제대로 온당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잡가의 컨텍스트를 이루는 생성기반과 텍스트의 진술을 구체화하는 담론 특성에 대해 세심히 살펴야 한다. 이 점을 유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대중음악
잡가의 생성 기반은 음악 문화에 있어서 아/속의 2분 체계 즉, 17 8세기 이래로 여항 혹은 시정을 중심으로 상업도시로의 발달과 함께 새로이 부상하기 시작한 대 중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문화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이다.
2) 독자적인 제3의 문화
잡가는 제3의 문화로서의 독자성을 갖는 3분 체계 시대의 대중문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그것을 판소리, 타령, 민요 등과 함께 민속악의 하나로 간주하는, 그리하여 단순히 상층의 고급음악 장르와 대립되는 서민계층의 음악으로 이해하는 종래의 이 해 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3) 주체: 도시의 대중
잡가가 뿌리를 두고 있는 대중문화는 그 문화의 주체가 상층도 하층도 그렇다고 중간층도 아닌 도시의 대중이므로 특정의 신분계층에 국한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로 보아야 한다.
4. 맺는 말
장르 성향이나 담화 방식에 있어서 다잡성과 착종 현상을 보이는 잡가의 정체성을 제대로 온당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잡가의 컨텍스트를 이루는 생성기반과 텍스트의 진술을 구체화하는 담론 특성에 대해 세심히 살펴야 한다. 이 점을 유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대중음악
잡가의 생성 기반은 음악 문화에 있어서 아/속의 2분 체계 즉, 17 8세기 이래로 여항 혹은 시정을 중심으로 상업도시로의 발달과 함께 새로이 부상하기 시작한 대 중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문화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이다.
2) 독자적인 제3의 문화
잡가는 제3의 문화로서의 독자성을 갖는 3분 체계 시대의 대중문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그것을 판소리, 타령, 민요 등과 함께 민속악의 하나로 간주하는, 그리하여 단순히 상층의 고급음악 장르와 대립되는 서민계층의 음악으로 이해하는 종래의 이 해 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3) 주체: 도시의 대중
잡가가 뿌리를 두고 있는 대중문화는 그 문화의 주체가 상층도 하층도 그렇다고 중간층도 아닌 도시의 대중이므로 특정의 신분계층에 국한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