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의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상의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세계 육상 경기의 역사


1)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육상

2) 중세 유럽의 육상

3) 근대 유럽의 육상

4) 미국이 리드하는 20세기 육상


2. 우리나라 육상경기의 역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락 스포츠, 특히 달리기는 문화적, 의학적,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우리 삶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현대의 육체적 움직임을 줄이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일의 성격과, 증대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여가시간이 육체적 활동을 통해 균형을 찾고자 하는 경향을 이끌었다. 의사들은 건강을 해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은 현대인들의 운동 부족의 결과라는 것을 인지해 왔다. 정치인들이 사람들의 건강을 위한 대책을 강조하는 것은 60년대 이후 알려진 그러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 전부터 특히나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에 있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달리기를 취미로 즐기고 있다. 20.000명 이상이 참가하는 달리기 행사들이 더 이상 낯설지만은 않다. 이제 인류가 수천 년 간 간직해 온 달리기의 꿈을 이루면서, 사람들은 그들의 본래의 천부적인 재능과 능력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즉, 건강은 운동과, 재생, 그리고 활동을 통해서만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2. 우리나라 육상 경기의 역사
우리나라의 각종 운동경기는 갑오경장 이후 신교육령에 의해 현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체조가 학과에 정식과목으로 채택되어, 운동회 같은 학교행사를 통하여 각종운동경기가 시작되었으며, 일반에 공개, 보급되게 되었다.
청음(靑陰)은 소풍을 겸한 것으로서 화류회라 하였는데, 최초의 화류회는 1896년 5월 2일 삼선평(三仙坪, 현 삼선교) 에서 헛치슨 등의 영국인 교사들의 지도로 거행되었다. 이는 주로 육상경기종목을 중심으로 거행된 영어학교 화류회인데 바로 학교운동회의 시초가 되기도 하였다.
이후 현재의 육상경기대회에 가까운 대운동회는 1897년 6월 16일 훈련원(현 서울운동장)에서 거행된 영어학교 대운동회로서 터너 등 4인의 영국인 교사들에 의해 진행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매년 각급학교에서 대소의 운동회가 개최되고 학교대항의 연합대운동회로 발전되어 각 지방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광무 9년 (1905년)부터 융희 3년 (1909년) 까지 운동회 전성시대를 이루었고 1906년 6월 10일 일반인 40여명이 중심이 되어 우리나라 최초의 조직적 체육단체인 대한체육구락부(大韓體育俱樂部)가 발족되어 학교체육이 일반체육으로 성장 발전하는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이때의 대표적인 운동회로는 1906년 관내 한성고등학교 추계연합대운동회와 1908년 성내 관사립학교 비원운동회, 1909년 한성내 각관사립학교 연합대운동회를 들 수 있는데, 그중 한성내 각관립학교 연합대운동회는 일제침략에 따른 국가의 운명과 함께 일제간보(日帝干?)에 의해 학부(당시 문교부)가 주관하는 마지막 운동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운동회시대의 마지막 운동회는 1912년 5월 10일 경성시내 사립중등하교 8개교의 청파연합대운동회(靑坡聯合大運動會)로 진행상의 과오로 일대 혼란이 발생하였고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각급 연합대운동회는 물론 모든 운동회가 중단되었다.
전반적으로 각종 운동회는 처음 영국인 교사들이 주로 계획하고 진행하였으며, 운동회에 따라서는 선수의 자격시비, 심판의 자질, 경기운영의 미비, 내용의 유치함을 느낄 수 있으나 대부분 현재의 각종경기대회와 유사한 것이었다. 이와 관련 경기종목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종목이 육상경기였던 관계로 운동회의 발전과정은 곧 육상경기의 발전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육상경기가 대회로서 조직되어 선을 보인 것은 1920년의 일이다.
“뜀박질이라 천시하는 봉건의 때를 벗지 못한 채 축구, 야구, 농구 등의 경기보다 뒤늦게 육상경기가 이 땅에서 비롯된 것은, 1920년에 그것도 일본인 체육기관인 조선체육협회에 의해 서울의 용산연변장(군대를 훈련시키기 위한 운동장 같은 넓은 곳)에서 열린 대회에서였다” (대한체육회사).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점하고 있었던 암흑시대에는 오늘날의 대한육상경기연맹에 해당하는 우리의 육상경기단체가 없었고, 다만 일본인 체육단체인 조선체육협회 산하기관인 조선육상경기협회만이 있었다. 일제시대에 한국육상은 마라톤의 손기정과 남승룡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함으로써 온 세계의 주목을 끌었다. IAAF의 공인대상종목은 아니지만 손기정이 1935년 11월에 도쿄서 기록한 2시간 26분 42초는 당시의 세계최고기록으로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의 스포츠주간지인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가 해마다 내놓고 있는 “스포츠연감”에도 실려있을 정도다.
지금까지 한국선수가 마라톤의 세계최고기록을 마크한 것은 두 차례로, 손기정에 이어 서윤복이 1947년 4월 보스턴에서 마크한 2시간 25분 39초가 세계최고기록이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으로 조국광복이 이루어지자 그 해 9월 23일 조선육상경기연맹이 창설됐고, 10월 27일부터 나흘동안 서울운동장에서 해방경축종합체육대회가 치러졌다.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자 체육단체를 포함한 각 사회체육단체도 명칭을 “조선”에서 “대한”으로 바꾸어 “조선체육회”가 “대한체육회”로, “조선육상경기연맹”이 “대한육상경기연맹”이 됐다.
우리나라의 육상경기는 1869년 영국인 교사 허치슨에 의해 처음 선 보였으며, 그 후 1920년 조선체육회가 설립되면서 우리육상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1929년에는 조선 종합 육상경기대회가 열려 본격적으로 육상이 발전하게 되었다.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대회에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경기에 출전 세계신기록으로 우승, 금메달을 차지하여 우리민족의 울분을 대변하였고, 그 이후 우리육상은 해방과 더불어 활기를 띄어 여러 올림픽대회에서 마라톤 한국을 과시했으나, 1965년 이후 우리 육상은 침체되어 별다른 발전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활발한 국제교류를 통해 기술을 습득, 우리 육상의 중흥을 힘차게 외치며 '92년 23회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황영조 선수가 우승을 하고, '96년 24회 아틀란타 올림픽에서 이봉주선수가 준우승을 하면서 한국 마라톤의 새 도약과 긍지를 펼치고 있다.
**참고문헌**
http://www.classroom.re.kr/ 교수학습개발센터
박준기, 「육상경기」, 도서출판 금광,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0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