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소 시나위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소 시나위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태평소
Ⅲ. 시나위
Ⅲ-1. 시나위란?
Ⅲ-2. 시나위의 어원과 유래
Ⅲ-3. 악기편성
Ⅲ-4. 장단
Ⅲ-5. 선법과 악조
Ⅲ-6. 연주방식
Ⅳ. 태평소 시나위
Ⅴ. 결론

본문내용

추기 이전 단계의 음악이다. 선율이나 리듬은 산조와 비슷하나 단, 산조는 다 악장 형식으로 짜여져 있으나 시나위는 중중모리와 자진모리, 또는 중모리와 중중모리의 한, 두 악장으로 짜여져 있고 주로 남도계면조로 이루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내가 봐 온 시나위는 모두 합주형태의 시나위였다. 태평소 시나위라는 게 있는지도 몰랐고 독주로 하는 시나위가 있다는 것조차 생소했고 독주로 하는 시나위를 산조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내가 접해본 태평소는 창작관현악곡의 태평소밖에 없었기 때문에 태평소로 불 수 있는 곡이 얼마 없다고 생각했었다. 나는 그만큼 편협한 음악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제를 하면서 시나위와 산조의 다른 점도 알 수 있었고, 여러 가지의 태평소 곡을 접할 수 있었고, 태평소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태평소가 독주 악기로는 매력이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태평소 시나위를 들으며 그 생각이 싹 사라졌다. 흥을 돋우는 역할에서는 어느 악기에 뒤지지 않는 태평소. 아직 어느 대학에도 태평소전공이 없는 것이 나에겐 참 놀라웠다. 물론 피리전공 사람들이 태평소를 함께 연주하긴 하지만, ‘태평소’ 라 하면 단소나 가야금처럼 대중화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인들은 대부분 아는 악기이다. (‘피리’하면 모른다.) 그런데도 전공이 없다는 것은 적어도 나에게는 전문화되지 않은 악기로밖에 다가오지 않는다. 태평소의 활용범위를 조금만 더 개발하고, 전문적인 태평소연주자를 만든다면 태평소는 더욱 많은 음악에 사용되고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대중적인 악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신성희, 『클래식을 알면 퓨전이 보인다』, 문예마당, 2003
★서한범, 『개정판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1999
★김달성, 『새로운 음악통론』, 세광음악출판사, 1986
학위논문
★정남근, 석사학위논문 『불교의식과 태평소에 관한 연구』, 동국대, 2001
★최인숙, 석사학위논문 『경기시나위 선율 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 1980
★조정욱, 석사학위논문 『시나위의 구조의 관한 연구』, 연세대, 1980
★유경수, 석사학위논문 『한국 전통음악의 연구-박범훈류 피리산조, 대풍류, 태평소 시나위를 중심으로』, 중앙대, 1998
★이경준, 석사학위논문 『시나위 합주의 선율 분석』, 한양대, 1989
★윤지선, 석사학위논문 『남도제 시나위굿거리 장단의 음악구조-피리선율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0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