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생) 도시농업 활성화의 필요성과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대생) 도시농업 활성화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시농업의 개념

2. 도시농업의 가치와 효과
2.1 식량확보
2.2 환경적 가치
2.3 사회문화적 효과

3. 도시농업의 현황
3.1 해외의 도시농업
3.2 국내의 도시농업

4. 국내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5. 결론

본문내용

1일자
그러나 제도와 지원이 전부는 아니다. 제도와 병행하여, 혹은 제도 이전에 사회적 인프라가 필요하다. 도시농업에 대한 시민사회의 축적된 경험과 역량, 농업에 대한 관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인력 등이다. 김진덕 운영위원장은 \"모델과 활동사례가 축적되면, 그 경험을 살려 법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엉뚱한 방향으로 만들어지기 쉽다. 텃밭 일구는 사람이 아닌 조경회사가 이득을 보고, 주말농장을 겨냥한 대토지 소유자들만 유리하게 돼버리는 식이다. 한 번 잘못 만들어진 제도는 바꾸기도 어렵다.\"며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로써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도시농부학교\' 와 \'생태텃밭 강사 양성\' 등을 통해 도시농업을 실천할 뿐만 아니라 실천할 사람을 교육할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인력양성과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은 정부와 시민사회가 협력해야 할 과제다. 예컨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텃밭에서의 생태교육을, 급식교육과 연계시킬 수 있다. 희망근로를 응용해 노인들이 농장에서 일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캐나다의 \'푸드쉐어\' 같이 커뮤니티 가든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최근의 경향상 부모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많은 형태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민들의 인식개선도 필요하다. 장동헌(2007)의 조사에서는 도시에서 영농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생산환경 제약요인\'을 질문했을 때, \'쓰레기 투척\' 을 꼽는 사람이 32%로 1위를 차지했다. 도시농업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홍보로 시민의식이 개선되었을 때 이런 어려움이 사라질 것이다.
5. 결론
지금까지 식량, 자원, 환경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21세기의 큰 조류가 되었다. 도시농업이 이 문제들에 대처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또한 고령화와 도시의 공동체 붕괴 등 사회문화적인 문제 역시 일정 부분 치유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논하였듯, 세계 각국은 도시농업의 장점을 중요하게 평가해 \'도시의 농업화\'에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국 역시 미래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선진국을 소극적으로 뒤따라가는 자세에서 벗어나 도시농업의 중요성을 재발견하고 확산시키려는 노력을 속히 이루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 시민단체와 개인들의 역할이 같은 정도로 중요하게 요구된다. \'생태적인 도시\'의 길은 어느 때보다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및 논문
권오상 외(2003), <농업 및 농촌의 유지에 의한 도시혼잡비용 감소효과의 계측>, 한국농업경제학회
라즈 파텔(2007), 식량전쟁, 영림카디널
브라이언 핼웨일(2006),《로컬푸드》, 시울
빌 로스(2007),《예술가들의 채소밭》, 눈과마음
서정근(2000),《원예치료학》, 단국대학교출판부 41
송미령 외(2008), <살기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오대민, 최영애(2005),《도시농업》, 학지사
장동헌, 소순열(2005), <도시농업의 경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농업을 사례로 ->,《농업생명과학연구》제36호,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장동헌(2007), <도시농업의 영농실태와 존속 가능성 모색>, 《지역사회연구》 제15권, 한국지역사회학회
장동헌(2009),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산업경제연구 제22권, 한국산업경제학회
조현길 외(2003), <도시녹지의 대기환경 개선효과>, 한국조경학회 31(3)
요시다 타로(2004),《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들녘
Hynes & Howe(2004), Urban Horticulture in the contemporary united states personal and community benefit, ISHS Acta Horticulture 643, 200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2005), , Cambridge University Press
Sawio.C.J. 외(2001), Waste Composing for Urban and Peri-urban Agricultural, CABI republishing
보도자료 및 웹 자료
강찬호, <‘도시농업’을 지원하는 조례가 발의된다>, 《광명시민신문》2009.11.29일자
강홍균, <[학교 무료급식 시대를 열자](4) 텃밭 가꾸는 학교들>,《경향신문》 2009.6.8일자
김갑봉, <왜 지금 도시농업인가?>,《부평신문》2008.6.20일자
김갑봉, <도시농업, 일본은 지금>,《부평신문》2008.8.24일자
김갑봉, <도시의 대안, 도시농업으로 가는 길>,《부평신문》2008.10.1일자
김미영, <착한 채소 웰빙 인생 \'시티파머\'가 좋다>, 《한겨레21》제783호, 2009.10.30
김준기, <식량자급률 49.2% \'위기의 식탁\' 식량안보 위협>,《경향신문》2009.11.23일자
박혜민, <보기 좋은 잔디밭 갈아 먹기 좋은 채소밭 만든다. 미국·영국서 ‘텃밭 가꾸기’ 열풍>,《중앙Sunday》제120호, 2009.6.28
이창우, <녹색으로 갈아입는 세계의 도시들>,《한겨레 21》제783호, 2009.10.30
최준호, <“캠퍼스 텃밭 165㎡가 환경교육·소통의 장”>,《중앙일보》2009.6.9일자
하성규, <도시에서 농사를 짓자>,《세계일보》2008.12.18일자
<도심 빌딩안에서 벼 수확>,《한겨레》, 2006.1.11일자
<코난의 시대>, SBS TV, 2008.11.26 방영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
온라인 행정학 전자사전 http://www.epadic.com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http://cafe.naver.com/dosinongup
전국귀농운동본부 http://211.115.218.173/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