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약개발연구 동향
* 제2차(‘06 -‘10년)「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발표
2. 약효평가법
* 기관별 효능 검색법의 예시
* 신약개발과 허가과정
3. 신약개발연구로 인한 현재와 미래
* 제2차(‘06 -‘10년)「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촉진계획」발표
2. 약효평가법
* 기관별 효능 검색법의 예시
* 신약개발과 허가과정
3. 신약개발연구로 인한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중 치료제 개발 연구에 대한 1차 임상실험을 마치고, 2차 임상실험에들어갔다.
2001년 10월 이 회사는 세계적인 하이테크 분야 투자침체기에도 불구하고미국과 이스라엘에서 활동 중인 모건 스탠리 벤처파트너사를 비롯한 국제적인벤처캐피탈사들로부터 3천만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다.이 회사가 중점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중추신경질환, 암, 자가면역질환(AutoimmuneDisease)을 치료하기 위한 혁신적인 제약 디자인과 개발이다. 이 회사는 간질병,쌍극성장해(Bipolar Disorder) 및 편두통 치료제 개발을 위해 ShirePharmaceuticals에게 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센싱을 부여하기도 했다. 종업원 96명 중 60% 이상이 의약분야의 석·박사급 연구진과 유기화학, 컴퓨터 분자모델링, 생화학 및 약리학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이 현재 개발 중인기술은 1단계 임상실험까지 마친 간질병과 뇌졸중 치료제를 비롯해 임상실험 직전단계(Preclinic)에 파킨슨, 마른버짐, 암 치료제이고, 현재 연구개발(R&D) 단계에 있는 연구는 알츠하이머, 바이러스 전염 및 정신병리학에 대한 것이 있다. 미국에서 매년 50만명 이상의 뇌졸중환자가 발생하고, 歐·美·日에서 55세 이상인구의 2% 이상이 치매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이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치료제의 응용분야나 가능성 등은 폭이 넓을 것으로 평가된다.
뇌졸중 치료제의 개발: MAP kinase 저해제의 개발동향
뇌졸중시 신경세포 사멸 기전: necrosis vs apoptosis 신경세포의 사멸은 형태학적으로 크게 necrosis와 apoptosis로 분류 할 수가 있다. necrosis 는 세포외부로 부터 강한 물리화학적 자극에 의해서 세포막이 손상되어 세포사멸이 일어나며 허혈성 상태에서는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인 glutamate가 과도하게 분비되어 신경세포의 과흥분을 일으키고 세포내로 칼륨 및 칼슘 이온의 과다한 유입을 초래하여 necrosis를 통한 신경세포사멸을 유발함이 잘 알려져 있다. Necrosis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나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진 및 다른 연구진의 최근의 연구 결과 calpain의 활성화나 clusterin 이라는 단백질의 신경세포 내 축적이 신경세포의 necrosis에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Apoptosis는 동물의 발생 및 성장 과정이나 면역세포 등에서 불필요한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세포사멸 과정이다. 또한 질병 상태하에서 영향을 받은 세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apoptosis가 일어나게 된다. Caspase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현재까지 13 종류의 이성단백질이 발견이 되었으며 세포사멸 신호를 세포 밖에서 부터 세포내로 매개하는 역할과 세포내 단백질을 직접 분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caspase-3는 신경세포 apoptosis 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caspase 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면 퇴행성뇌질환 (치매, 파킨슨씨병, 뇌졸중 등)에서는 caspase-3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반면에 대부분 신경세포는 caspase-3 활성화와 관련이 없는 과정을 통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MAPK 는 세포외 자극을 세포막에서부터 세포내 핵까지 전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경로로 잘 알려져있다. MAPK 는 성장홀몬, cytokine, stress 등의 수용체로부터 활성화된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여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MAPK 는 크게 1) ERK (the extracellular signal-activated kinases), 2) JNK (the c-JUN N-terminal kinase), 3) p38 MAPK 세 가지로 분류를 할 수가 있다 ERK (ERK1/2)는 성장홀몬의 신호전달에 주로 관여하며 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에 stress kinase로 분류되는 p38 MAPK 와 JNK는 이름 그대로 세포외부의 스트레스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 되며 염증반응, 세포사멸 등을 매개함이 알려져 있다. 이들 MAPK와 뇌신경세포 사멸과의 연관성은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아울러 이들 MAP kinase 저해제를 이용하여 뇌손상 치료제 개발이 전임상시험 단계에 있다.
항Influenzavirus 세포체계 약효시험법 확립
CPE 저해법을 이용한 항Flu 약효평가체계 구축 (FluA: H1N1, H3N2; FluB viruses); 372 개 시료 약효평가
ERK 신호전달경로 저해제의 개발동향ERK1/2 신호전달경로 저해제는 ERK1/2 의 윗 단계 kinase인 MEK1/2 저해제의 개발이 가장 앞서있다. 1세대 MEK1/2 저해제로서는 PD98059 와 U0126를 들 수가 있으며 이 물질들은 MEK1/2 단백질과 ATP 간의 결합을 비상경적으로 억제한다. 2세대 MEK1/2 저해제로는 PD184352를 들 수가 있고 1세대 저해제에 비하여 생체 이용율이 개선 된 물질로서 현재 항암작용에 대한 임상1상시험이 진행중에 있다. 이밖에도 Wyeth-Ayerst사, Merck 사, Roch 사-AyerMEK1/2 저해제를 개발 중에 있다. P38 MAPK 저해제의 개발동향 1988 년에 pyrimidine imidazole 구조를 갖는 SKF86002 발견 이후 이 유도체들이 p38 MAPK 를 억제함이 알려졌으며 1995년에 SB203580 이 개발된 이후 최근까지도 이 물질이 p38 MAPK 신호전달경로 연구 목적에 가장 광범 게 사용되고 있다. P38 MAPK 가 P38 M사멸 뿐만이 아니라 염증반응 및 ye반응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있에 유효함이 알려지고 나서부터 p38 MAPK 저해제의 개발이 MAPK 저해제 개발 중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 15개 제약회사에서 약 47
2001년 10월 이 회사는 세계적인 하이테크 분야 투자침체기에도 불구하고미국과 이스라엘에서 활동 중인 모건 스탠리 벤처파트너사를 비롯한 국제적인벤처캐피탈사들로부터 3천만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다.이 회사가 중점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중추신경질환, 암, 자가면역질환(AutoimmuneDisease)을 치료하기 위한 혁신적인 제약 디자인과 개발이다. 이 회사는 간질병,쌍극성장해(Bipolar Disorder) 및 편두통 치료제 개발을 위해 ShirePharmaceuticals에게 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센싱을 부여하기도 했다. 종업원 96명 중 60% 이상이 의약분야의 석·박사급 연구진과 유기화학, 컴퓨터 분자모델링, 생화학 및 약리학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이 현재 개발 중인기술은 1단계 임상실험까지 마친 간질병과 뇌졸중 치료제를 비롯해 임상실험 직전단계(Preclinic)에 파킨슨, 마른버짐, 암 치료제이고, 현재 연구개발(R&D) 단계에 있는 연구는 알츠하이머, 바이러스 전염 및 정신병리학에 대한 것이 있다. 미국에서 매년 50만명 이상의 뇌졸중환자가 발생하고, 歐·美·日에서 55세 이상인구의 2% 이상이 치매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이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치료제의 응용분야나 가능성 등은 폭이 넓을 것으로 평가된다.
뇌졸중 치료제의 개발: MAP kinase 저해제의 개발동향
뇌졸중시 신경세포 사멸 기전: necrosis vs apoptosis 신경세포의 사멸은 형태학적으로 크게 necrosis와 apoptosis로 분류 할 수가 있다. necrosis 는 세포외부로 부터 강한 물리화학적 자극에 의해서 세포막이 손상되어 세포사멸이 일어나며 허혈성 상태에서는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인 glutamate가 과도하게 분비되어 신경세포의 과흥분을 일으키고 세포내로 칼륨 및 칼슘 이온의 과다한 유입을 초래하여 necrosis를 통한 신경세포사멸을 유발함이 잘 알려져 있다. Necrosis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나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정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진 및 다른 연구진의 최근의 연구 결과 calpain의 활성화나 clusterin 이라는 단백질의 신경세포 내 축적이 신경세포의 necrosis에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Apoptosis는 동물의 발생 및 성장 과정이나 면역세포 등에서 불필요한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세포사멸 과정이다. 또한 질병 상태하에서 영향을 받은 세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apoptosis가 일어나게 된다. Caspase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현재까지 13 종류의 이성단백질이 발견이 되었으며 세포사멸 신호를 세포 밖에서 부터 세포내로 매개하는 역할과 세포내 단백질을 직접 분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caspase-3는 신경세포 apoptosis 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caspase 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면 퇴행성뇌질환 (치매, 파킨슨씨병, 뇌졸중 등)에서는 caspase-3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반면에 대부분 신경세포는 caspase-3 활성화와 관련이 없는 과정을 통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MAPK 는 세포외 자극을 세포막에서부터 세포내 핵까지 전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경로로 잘 알려져있다. MAPK 는 성장홀몬, cytokine, stress 등의 수용체로부터 활성화된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여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MAPK 는 크게 1) ERK (the extracellular signal-activated kinases), 2) JNK (the c-JUN N-terminal kinase), 3) p38 MAPK 세 가지로 분류를 할 수가 있다 ERK (ERK1/2)는 성장홀몬의 신호전달에 주로 관여하며 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에 stress kinase로 분류되는 p38 MAPK 와 JNK는 이름 그대로 세포외부의 스트레스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 되며 염증반응, 세포사멸 등을 매개함이 알려져 있다. 이들 MAPK와 뇌신경세포 사멸과의 연관성은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아울러 이들 MAP kinase 저해제를 이용하여 뇌손상 치료제 개발이 전임상시험 단계에 있다.
항Influenzavirus 세포체계 약효시험법 확립
CPE 저해법을 이용한 항Flu 약효평가체계 구축 (FluA: H1N1, H3N2; FluB viruses); 372 개 시료 약효평가
ERK 신호전달경로 저해제의 개발동향ERK1/2 신호전달경로 저해제는 ERK1/2 의 윗 단계 kinase인 MEK1/2 저해제의 개발이 가장 앞서있다. 1세대 MEK1/2 저해제로서는 PD98059 와 U0126를 들 수가 있으며 이 물질들은 MEK1/2 단백질과 ATP 간의 결합을 비상경적으로 억제한다. 2세대 MEK1/2 저해제로는 PD184352를 들 수가 있고 1세대 저해제에 비하여 생체 이용율이 개선 된 물질로서 현재 항암작용에 대한 임상1상시험이 진행중에 있다. 이밖에도 Wyeth-Ayerst사, Merck 사, Roch 사-AyerMEK1/2 저해제를 개발 중에 있다. P38 MAPK 저해제의 개발동향 1988 년에 pyrimidine imidazole 구조를 갖는 SKF86002 발견 이후 이 유도체들이 p38 MAPK 를 억제함이 알려졌으며 1995년에 SB203580 이 개발된 이후 최근까지도 이 물질이 p38 MAPK 신호전달경로 연구 목적에 가장 광범 게 사용되고 있다. P38 MAPK 가 P38 M사멸 뿐만이 아니라 염증반응 및 ye반응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있에 유효함이 알려지고 나서부터 p38 MAPK 저해제의 개발이 MAPK 저해제 개발 중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 15개 제약회사에서 약 47
추천자료
지역사회 관광개발의 개념체계에 관한 연구
도하개발 아젠다
신약에 대한 보도 분석
[관광개발]문화관광산업으로써 농촌관광의 가능성 및 모델사례
[북한 과학기술정책][북한 과학기술 개발현황][북한 대외 과학기술협력][북한 과학기술 발전 ...
[하이브리드자동차]하이브리드카(Hybrid Car)의 이해(정의, 분류, 부품, 기술), 하이브리드 ...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기본원리 및 개발현황
[바이오칩]바이오칩(생체칩)의 주요 특징 및 장점과 활용 분야 소개, 바이오칩(biochip)의 기...
바이오신약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의 중요성,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과 항공우주산업, 우주개발(우주개...
경력개발제도(CDP) - CJ 주식회사와 중앙인사관리위원회 비교사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몬테소리프로그램, 프로젝트프로그램, 레지오에밀리아 프로그램,...
[기술개발, CDMA, 3DTV]기술개발과 CDMA, 3DTV, 기술개발과 대화형멀티미디어TV, R&D(연...
[기술개발]기술개발과 원자력기술개발, 공동기술개발, 산업기술개발, 예술영상컨텐츠기술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