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엘니뇨와 라니냐의 삼림에의 영향
Ⅰ. 서 론
Ⅱ. 본 론
1. 엘니뇨 (El Nino)
1-1. ‘엘니뇨’의 정의
1-2. 엘니뇨의 발생 원인과 기작
1-3. 엘니뇨의 영향
1-4. '남방진동'이란?
2. 라니냐 (La Nina)
2-1. ‘라니냐’의 정의
2-2. 라니냐의 발생 원인과 기작
2-3. 라니냐의 영향
3. 엘니뇨․라니냐가 삼림에 미치는 영향
3-1. 아마존 열대우림 엘니뇨땐 온난화 촉진
3-2. 폭설 폭우 산불 토네이도… 이재민 속출/각국 엘니뇨피해 실태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Ⅴ. 참고 인터넷 주소
Ⅰ. 서 론
Ⅱ. 본 론
1. 엘니뇨 (El Nino)
1-1. ‘엘니뇨’의 정의
1-2. 엘니뇨의 발생 원인과 기작
1-3. 엘니뇨의 영향
1-4. '남방진동'이란?
2. 라니냐 (La Nina)
2-1. ‘라니냐’의 정의
2-2. 라니냐의 발생 원인과 기작
2-3. 라니냐의 영향
3. 엘니뇨․라니냐가 삼림에 미치는 영향
3-1. 아마존 열대우림 엘니뇨땐 온난화 촉진
3-2. 폭설 폭우 산불 토네이도… 이재민 속출/각국 엘니뇨피해 실태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Ⅴ. 참고 인터넷 주소
본문내용
되고 이른 여름이 찾아와 5월 초에 전북 정읍이 최고 33.2도까지 올라가는 이상고온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늦여름에 접어들면서 소멸상태를 보이기 시작한 엘니뇨는 한반도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막판 위력을 발휘,절기상 찬 이슬이 내린다는 백로(白露)가 이미 지난 9월 중순에도 서울의 낮기온이 9월 기온으로는 50년만에 최고로 더운 32.6도를 기록하기도 했다.
태풍도 엘니뇨 때문에 1904년 국내에서 태풍관측이 시작된 이래가장 늦은 7월8일에야 첫 태풍이 나타났는가 하면 통상 태풍이 힘을 잃을 시기인 9월말 강력한 태풍 얘니가 상륙,수확기 농작물에 상당한 피해를 주기도 했다. <최현수> - 한겨레신문 981218 12면 (외신) 뉴스
Ⅲ. 결 론
많은 사람들이 엘니뇨나 라니냐 현상이 해수온도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것까지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문에서 살펴보았듯이 두 현상은 국지적인 변화만 일으키는 것이아니라 지구규모의 큰 변화를 유도하며 이 변화 때문에 폭설이나 폭우, 토네이도 등이 생겨나기도 하며 또한, 비정상적인 건기를 일으켜서 삼림이 바짝 말리기도 한다.
뿐만아니라 지구의 허파라 불리우는 아마존의 열대우림이 많은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게 하여 지구온난화 현상을 유도한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현상이 있겠지만 엘니뇨·라니냐에 의한 기온의 비정상적인 변화는 그 적응력이 약한 많은 삼림을 파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삼림은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터전이므로 삼림의 파괴는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엘니뇨·라니냐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피해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Frederick K. Lutgens, and Edward J. Tarbuck, 1995 : the Atmosphere, pp174-178
2. 한국 지구과학 편저, 지구환경과학Ⅱ, 1994,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pp67-77
3. 한겨레신문 98/12/18 12면 (외신) 뉴스, 최현수
4. 과학동아 98년 5월호, 임주훈 / 임업연구원 산불연구실
Ⅴ. 참고 인터넷 주소
1. http://kma.go.kr (기상청)
2. http://eosat.snu.ac.kr(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3. http://climate.snu.ac.kr/research/enso/enso.html (서울대 대기과학과)
4. http://climate.snu.ac.kr/research/enso/korea/korea.html (서울대 대기과학과)
5. http://nic.fb4.noaa.gov (Climate Prediction Center)
6. http://www.cdc.noaa.gov (The Climate Diagnostics Center)
7. http://www.pmel.noaa.gov/toga-tao/el-nino/nino-home.html (El nino Theme Pages)
8. http://www.crseo.ucsb.edu/geos/1351.html (Earth Space Research Group)
태풍도 엘니뇨 때문에 1904년 국내에서 태풍관측이 시작된 이래가장 늦은 7월8일에야 첫 태풍이 나타났는가 하면 통상 태풍이 힘을 잃을 시기인 9월말 강력한 태풍 얘니가 상륙,수확기 농작물에 상당한 피해를 주기도 했다. <최현수> - 한겨레신문 981218 12면 (외신) 뉴스
Ⅲ. 결 론
많은 사람들이 엘니뇨나 라니냐 현상이 해수온도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것까지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문에서 살펴보았듯이 두 현상은 국지적인 변화만 일으키는 것이아니라 지구규모의 큰 변화를 유도하며 이 변화 때문에 폭설이나 폭우, 토네이도 등이 생겨나기도 하며 또한, 비정상적인 건기를 일으켜서 삼림이 바짝 말리기도 한다.
뿐만아니라 지구의 허파라 불리우는 아마존의 열대우림이 많은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게 하여 지구온난화 현상을 유도한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현상이 있겠지만 엘니뇨·라니냐에 의한 기온의 비정상적인 변화는 그 적응력이 약한 많은 삼림을 파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삼림은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터전이므로 삼림의 파괴는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엘니뇨·라니냐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피해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Frederick K. Lutgens, and Edward J. Tarbuck, 1995 : the Atmosphere, pp174-178
2. 한국 지구과학 편저, 지구환경과학Ⅱ, 1994,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pp67-77
3. 한겨레신문 98/12/18 12면 (외신) 뉴스, 최현수
4. 과학동아 98년 5월호, 임주훈 / 임업연구원 산불연구실
Ⅴ. 참고 인터넷 주소
1. http://kma.go.kr (기상청)
2. http://eosat.snu.ac.kr(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3. http://climate.snu.ac.kr/research/enso/enso.html (서울대 대기과학과)
4. http://climate.snu.ac.kr/research/enso/korea/korea.html (서울대 대기과학과)
5. http://nic.fb4.noaa.gov (Climate Prediction Center)
6. http://www.cdc.noaa.gov (The Climate Diagnostics Center)
7. http://www.pmel.noaa.gov/toga-tao/el-nino/nino-home.html (El nino Theme Pages)
8. http://www.crseo.ucsb.edu/geos/1351.html (Earth Space Research Grou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