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리학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의 종류
●심리학 이론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의 종류
●심리학 이론
본문내용
고, G.T.페히너가 그 업적들을 묶어 《정신물리학요론》(1860)을 저작하기에 이르자 심리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실증적 과학이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생리학을 공부하고 헬름홀츠 교수의 조수를 역임한 W.분트는 라이프치히대학의 교수가 된 뒤 1862년 ‘실험심리학’의 창시(創始)를 선언하였으며, 1879년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창설하였는데 이로써 심리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과학 이전의 상태였던 경험적 심리학은 실험법의 도입으로 본격적인 과학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분트는 심리학을 정의하여 ‘직접적인 경험의 학문’이라고 하였는데, 직접적인 경험이란 경험에서 직접 나타나는 것, 즉 의식을 말하며 그것을 당사자가 자기관찰 또는 내관(內觀)을 함으로써 의식의 특성을 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트는 의식은 감각과 감정 두 종류에 속하는 심적 요소로 조직되었다고 주장하고 요소관(要素觀)에 바탕을 둔 구성심리(構成心理)를 제창했는데 그 학설은 많은 제자를 통해 전세계에 퍼졌다.
이와 같은 의식심리학의 조류 속에서 이색적인 것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며 그는 의식을 표층(表層)과 심층(深層)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고, 심층은 표층의 의식내용이 억압되어 무의식상태가 된 관념과 욕망이 존재하는 곳이라고 했다. 이와 같은 심층심리학의 사상은 그후 심리학 속에 침투하였고 현재 임상심리학 기초이론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분트와 같은 시대 사람인 브렌타노도 경험적 입장의 심리학을 주창하였으나 그는 분트의 심리학을 자연과학 추수(追隨)의 산물이라고 비판하고 심리학의 과제는 의식과는 별도의 원리에 지배되는 ‘심적 작용’의 연구라고 하여 의식심리학과는 대립되는 입장을 주장했다.
이 작용심리학은 제자인 C.슈툼프에 의해서 발전되어 심적 작용의 특성이 연구되었으나 의식내용의 출현에 대해서는 종래의 학설을 인정하고 절충적인 관점을 취하였다. 슈툼프의 문하를 거친 M.베르트하이머, K.코프카, W.쾰러 등에 의해서 제기된 게슈탈트학설에서는 작용심리학이 의식과 심적 작용을 별종의 규제원리에 의존한다는 견해를 수정하여 의식의 내용은 어떤 경우이든 심적 작용을 통해서 구현된다고 보고 작용면과 의식면을 통일한 ‘심적과정(心的過程)’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그 뒤 역학설(力學說)과 장이론(場理論)을 도입해서 발전시켰고 K.레빈이 이에 가담함으로써 욕구행동(慾求行動)과 사회심리에 신생면을 열었으며 현대심리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서양을 사이에 둔 미국에서도 20세기 초에는 분트 심리학이 대세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분트보다 10세가 젊은 W.제임스는 프래그머티즘 사상을 근거로 한 기능주의(機能主義)심리학을 제창했는데 이 입장은 J.듀이, J.R.엔젤 등에 계승되어 미국 심리학의 전통이 되었다.
기능주의도 의식을 문제로 삼았는데 분트류의 심리학을 심적 요소의 심리학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의식의 기본적 효용을 규명하는 심리학으로서 의식이 생활상(生活上) 짊어질 기능이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 기능주의 진영에서 J.B.
생리학을 공부하고 헬름홀츠 교수의 조수를 역임한 W.분트는 라이프치히대학의 교수가 된 뒤 1862년 ‘실험심리학’의 창시(創始)를 선언하였으며, 1879년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창설하였는데 이로써 심리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과학 이전의 상태였던 경험적 심리학은 실험법의 도입으로 본격적인 과학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분트는 심리학을 정의하여 ‘직접적인 경험의 학문’이라고 하였는데, 직접적인 경험이란 경험에서 직접 나타나는 것, 즉 의식을 말하며 그것을 당사자가 자기관찰 또는 내관(內觀)을 함으로써 의식의 특성을 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트는 의식은 감각과 감정 두 종류에 속하는 심적 요소로 조직되었다고 주장하고 요소관(要素觀)에 바탕을 둔 구성심리(構成心理)를 제창했는데 그 학설은 많은 제자를 통해 전세계에 퍼졌다.
이와 같은 의식심리학의 조류 속에서 이색적인 것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며 그는 의식을 표층(表層)과 심층(深層)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고, 심층은 표층의 의식내용이 억압되어 무의식상태가 된 관념과 욕망이 존재하는 곳이라고 했다. 이와 같은 심층심리학의 사상은 그후 심리학 속에 침투하였고 현재 임상심리학 기초이론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다. 분트와 같은 시대 사람인 브렌타노도 경험적 입장의 심리학을 주창하였으나 그는 분트의 심리학을 자연과학 추수(追隨)의 산물이라고 비판하고 심리학의 과제는 의식과는 별도의 원리에 지배되는 ‘심적 작용’의 연구라고 하여 의식심리학과는 대립되는 입장을 주장했다.
이 작용심리학은 제자인 C.슈툼프에 의해서 발전되어 심적 작용의 특성이 연구되었으나 의식내용의 출현에 대해서는 종래의 학설을 인정하고 절충적인 관점을 취하였다. 슈툼프의 문하를 거친 M.베르트하이머, K.코프카, W.쾰러 등에 의해서 제기된 게슈탈트학설에서는 작용심리학이 의식과 심적 작용을 별종의 규제원리에 의존한다는 견해를 수정하여 의식의 내용은 어떤 경우이든 심적 작용을 통해서 구현된다고 보고 작용면과 의식면을 통일한 ‘심적과정(心的過程)’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그 뒤 역학설(力學說)과 장이론(場理論)을 도입해서 발전시켰고 K.레빈이 이에 가담함으로써 욕구행동(慾求行動)과 사회심리에 신생면을 열었으며 현대심리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서양을 사이에 둔 미국에서도 20세기 초에는 분트 심리학이 대세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분트보다 10세가 젊은 W.제임스는 프래그머티즘 사상을 근거로 한 기능주의(機能主義)심리학을 제창했는데 이 입장은 J.듀이, J.R.엔젤 등에 계승되어 미국 심리학의 전통이 되었다.
기능주의도 의식을 문제로 삼았는데 분트류의 심리학을 심적 요소의 심리학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의식의 기본적 효용을 규명하는 심리학으로서 의식이 생활상(生活上) 짊어질 기능이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 기능주의 진영에서 J.B.
추천자료
정신분석 심리학의 인간 이해와 상담 방법론
교육심리학의 접근방법 : 심리학에서 본 인간이행
교육 심리학의 접근 방법: 심리학에서 본 인간이해
영화 아이스 에이지를 통해 본 대인동기_인간관계의 심리학
인간 관계 심리학 - 사랑과 인간 형성관계-
프로이드의 인간발달이론(성격발달이론), 융의 인간발달이론(분석심리학적성격이론), 에릭슨...
오늘날 심리학의 5대 관점 중 하나를 택하여, 그 이론에 기반하여 최근 탐구할 만한 인간 및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행사]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생애와 개인심리학 이론.PPT...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행사] 융(Carl Gustav Jung)의 생애와 분석심리학 이론, 개념, 치료,...
사람들의 기억은 정확하지 않지만 인간은 생활 속에서 조금 더 기억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혹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는 심리학에서 매우 뜨거...
[교육심리학] 인인간발달에 대한 이론 『성격발달이론 및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프로이트(프...
[이상심리학] 이상행동을 설명하는 제 이론 - 생물의학적 모형, 정신분석학적 모형, 행동주의...
[인간 행동과 사회 환경] 에릭 에릭슨의 성격심리학이 사회복지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