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마 역사서술의 시작
1) 개관
2) 초기 로마 사학사
3) 大 카토(Marcus Porcius Cato)
4) 大 카토 이후의 공화정의 역사가들
2. 율리우스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B.C. 100.7.12~B.C. 44.3.15)
1) 생애
2) 저서
3) 카이사르의 역사서술 방법
3. 티투스 리비우스 (Titus Livius B.C. 59~A.D. 17)
1) 생애
2) 로마사 Ab Urbe Condjta
3)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
4) 리비우스의 문체
5) 후대의 비판
4. 타키투스(Publius(Gaius) Cornelius Tacitus A.D. 55?~A.D. 117?)
1) 생애
2) 업적
3) 타키투스의 역사서술
5. 그 외의 로마 역사가들
1) 공화정 시기의 역사가들
2) 제정시기의 역사가들
6. 총집
1) 로마 역사학의 특징
2) 결론
<참고문헌>
1) 개관
2) 초기 로마 사학사
3) 大 카토(Marcus Porcius Cato)
4) 大 카토 이후의 공화정의 역사가들
2. 율리우스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B.C. 100.7.12~B.C. 44.3.15)
1) 생애
2) 저서
3) 카이사르의 역사서술 방법
3. 티투스 리비우스 (Titus Livius B.C. 59~A.D. 17)
1) 생애
2) 로마사 Ab Urbe Condjta
3)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
4) 리비우스의 문체
5) 후대의 비판
4. 타키투스(Publius(Gaius) Cornelius Tacitus A.D. 55?~A.D. 117?)
1) 생애
2) 업적
3) 타키투스의 역사서술
5. 그 외의 로마 역사가들
1) 공화정 시기의 역사가들
2) 제정시기의 역사가들
6. 총집
1) 로마 역사학의 특징
2)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마 시대 역사학
1. 로마 역사서술의 시작
1) 개관
2) 초기 로마 사학사
3) 大 카토(Marcus Porcius Cato)
4) 大 카토 이후의 공화정의 역사가들
2. 율리우스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B.C. 100.7.12~B.C. 44.3.15)
1) 생애
2) 저서
3) 카이사르의 역사서술 방법
3. 티투스 리비우스 (Titus Livius B.C. 59~A.D. 17)
1) 생애
2) 로마사 Ab Urbe Condjta
3)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
4) 리비우스의 문체
5) 후대의 비판
4. 타키투스(Publius(Gaius) Cornelius Tacitus A.D. 55?~A.D. 117?)
1) 생애
2) 업적
3) 타키투스의 역사서술
5. 그 외의 로마 역사가들
1) 공화정 시기의 역사가들
2) 제정시기의 역사가들
6. 총집
1) 로마 역사학의 특징
2) 결론
<참고문헌>
1. 로마 역사서술의 시작
1) 개관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에 비해 꽤나 늦게 발달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로마는 건국 후 공화정의 성립이라든지 이탈리아 반도의 정복 그리고 숙적 카르타고와의 대결로 인하여 어떠한 문화가 발달하기에는 정세가 너무 혼란했을 뿐 더러 지중해 세계의 통일이라는 사업에 전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 초기에는 문화의 발전이 힘들었고 또한 역사를 저술할 언어인 라틴어 역시 언어로서의 완성도가 부족해서 역사학이 꽃필 풍토가 조성되지 못하였다. 그래서 로마인들의 역사는 로마인이 먼저 저술한 것이라 아니라 아그리젠툼의 필리누스(Philinus of Agrigentum) 1차 포에니 전쟁 때 살았고 1차 포에니전쟁에 관한 책을 써 폴리비오스에게 인용되었다.
, 소실루스(Sosylus) 2차 포에니 전쟁을 언급하였고 한니발군의 총병이었는 듯하다.
,이오클레스(Iocles)와 같은 그리스 역사가들이 먼저 관심을 가지고 저술을 하였다.
그리스의 역사가들이 로마史를 먼저 저술했다는 사실은 초기의 로마 역사가들이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저술하게 된 사실을 설명해준다. 또한 로마가 정복활동과 동시에 大그리스 이탈리아 남부,
및 시칠리아에서 그리스문화를 접하게 되자 그리스문화는 급속히 로마인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그리스 문화의 영향으로 로마인들은 비로소 역사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태생부터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의 영향을 농후하게 받았는데 이러한 그리스의 영향은 너무나 커서 결국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의 역사학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그리스인들이 세워놓은 모범을 착실히 따라가게 된다.
비록 로마의 역사서술은 독창적인 역사서술의 방법론도 창안해내지는 못하였고 그리스 역사학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으나 키케로에 이르러 라틴어가 문학적으로 완성되고 역사학이 성장하자 리비우스나 타키투스와 같은 로마의 역사가들이 문학적으로는 그리스의 역사가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만한 저작을 남겨주었다.
2) 초기 로마 사학사
최초의 로마 역사가라고 칭할 수 있는 사람은 픽토르(Fabius Pictor)였다. 그는 명문 파비우스 家의 출신으로 원로원의원이자 군인으로 상류계급에 속하였다. 그래서 그는 그리스의 문화에 대한 접근이 용이했고 그리스어도 능통했다. 이러한 그리스문화의 영향과 가문의 전공을 칭송하기 위하여 그는 전쟁터에서 영웅적인 행동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졌다. 이런 그의 작품 활동 범위는 아이네아스(Aeneas) 트로이의 왕족 안키세스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사이의 아들로 트로이 전쟁에서 헥토르와 파리스의 사후 총사령관이 되었고 트로이 함락 직전 어머니인 아프로디테의 권고를 따라 트로이에서 도망쳐 여행 끝에 이탈리아 라티움에 상륙하여 그곳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티니아와 결혼하여 라비니움을 건설하였고 로마제국의 시조로 언급된다. 아이네아스의 원정은 베르길리우스의 작품 <<아이네아스>>에 잘 표현되어 있다.
로부터 동시대에까지 이른다. 그가 차용한 아이네아스 신화는 본래 엔니우스(Ennius)가 창안한 것으로 픽토르가 로마인들의 조상이 트로이 전쟁까지 연결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한 뒤로는 후의 로마의 역사가들에게 영향을 끼쳐 리비우스에게 이르기까지 유행하였다. 또한 그는 유명한 로마건국설화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의 설화를 창안하여 로마인들의 조상이 마르스 신이라는 걸 강조함으로써 로마인의 조상의 혈통의 고귀함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두 이야기는 후의 역사가들에게도 차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에 대한 로마인들의 관심을 보여준다.
픽토르 이후에는 연대기 작가들이 등장하였다. 친치우스 알리멘투스(L.Cincius Alimentus),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A.Postmius Albinius)가 바로 그들이다. 친치우스는 평민출신이었으나 법무관(praetor) 로마의 관직 중 하나로 집정관 다음 가는 고위관직이었다. 명칭대로 법적 판결권을 가지고 있고 공화정 시기에는 군단지휘권도 주어질 정도로 실세관직이었다.
으로 선출된 적이 있는 로마의 상류층에 속하였다. 그는 철학자 고르기아스 시칠리아 출신으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피스트였다. 엠페도클레스의 제자가 되었지만 제논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의 전기를
1. 로마 역사서술의 시작
1) 개관
2) 초기 로마 사학사
3) 大 카토(Marcus Porcius Cato)
4) 大 카토 이후의 공화정의 역사가들
2. 율리우스 카이사르 (Gaius Julius Caesar, B.C. 100.7.12~B.C. 44.3.15)
1) 생애
2) 저서
3) 카이사르의 역사서술 방법
3. 티투스 리비우스 (Titus Livius B.C. 59~A.D. 17)
1) 생애
2) 로마사 Ab Urbe Condjta
3)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
4) 리비우스의 문체
5) 후대의 비판
4. 타키투스(Publius(Gaius) Cornelius Tacitus A.D. 55?~A.D. 117?)
1) 생애
2) 업적
3) 타키투스의 역사서술
5. 그 외의 로마 역사가들
1) 공화정 시기의 역사가들
2) 제정시기의 역사가들
6. 총집
1) 로마 역사학의 특징
2) 결론
<참고문헌>
1. 로마 역사서술의 시작
1) 개관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에 비해 꽤나 늦게 발달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로마는 건국 후 공화정의 성립이라든지 이탈리아 반도의 정복 그리고 숙적 카르타고와의 대결로 인하여 어떠한 문화가 발달하기에는 정세가 너무 혼란했을 뿐 더러 지중해 세계의 통일이라는 사업에 전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 초기에는 문화의 발전이 힘들었고 또한 역사를 저술할 언어인 라틴어 역시 언어로서의 완성도가 부족해서 역사학이 꽃필 풍토가 조성되지 못하였다. 그래서 로마인들의 역사는 로마인이 먼저 저술한 것이라 아니라 아그리젠툼의 필리누스(Philinus of Agrigentum) 1차 포에니 전쟁 때 살았고 1차 포에니전쟁에 관한 책을 써 폴리비오스에게 인용되었다.
, 소실루스(Sosylus) 2차 포에니 전쟁을 언급하였고 한니발군의 총병이었는 듯하다.
,이오클레스(Iocles)와 같은 그리스 역사가들이 먼저 관심을 가지고 저술을 하였다.
그리스의 역사가들이 로마史를 먼저 저술했다는 사실은 초기의 로마 역사가들이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저술하게 된 사실을 설명해준다. 또한 로마가 정복활동과 동시에 大그리스 이탈리아 남부,
및 시칠리아에서 그리스문화를 접하게 되자 그리스문화는 급속히 로마인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그리스 문화의 영향으로 로마인들은 비로소 역사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태생부터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의 영향을 농후하게 받았는데 이러한 그리스의 영향은 너무나 커서 결국 로마의 역사학은 그리스의 역사학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그리스인들이 세워놓은 모범을 착실히 따라가게 된다.
비록 로마의 역사서술은 독창적인 역사서술의 방법론도 창안해내지는 못하였고 그리스 역사학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으나 키케로에 이르러 라틴어가 문학적으로 완성되고 역사학이 성장하자 리비우스나 타키투스와 같은 로마의 역사가들이 문학적으로는 그리스의 역사가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만한 저작을 남겨주었다.
2) 초기 로마 사학사
최초의 로마 역사가라고 칭할 수 있는 사람은 픽토르(Fabius Pictor)였다. 그는 명문 파비우스 家의 출신으로 원로원의원이자 군인으로 상류계급에 속하였다. 그래서 그는 그리스의 문화에 대한 접근이 용이했고 그리스어도 능통했다. 이러한 그리스문화의 영향과 가문의 전공을 칭송하기 위하여 그는 전쟁터에서 영웅적인 행동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졌다. 이런 그의 작품 활동 범위는 아이네아스(Aeneas) 트로이의 왕족 안키세스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사이의 아들로 트로이 전쟁에서 헥토르와 파리스의 사후 총사령관이 되었고 트로이 함락 직전 어머니인 아프로디테의 권고를 따라 트로이에서 도망쳐 여행 끝에 이탈리아 라티움에 상륙하여 그곳의 왕 라티누스의 딸 라티니아와 결혼하여 라비니움을 건설하였고 로마제국의 시조로 언급된다. 아이네아스의 원정은 베르길리우스의 작품 <<아이네아스>>에 잘 표현되어 있다.
로부터 동시대에까지 이른다. 그가 차용한 아이네아스 신화는 본래 엔니우스(Ennius)가 창안한 것으로 픽토르가 로마인들의 조상이 트로이 전쟁까지 연결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한 뒤로는 후의 로마의 역사가들에게 영향을 끼쳐 리비우스에게 이르기까지 유행하였다. 또한 그는 유명한 로마건국설화인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의 설화를 창안하여 로마인들의 조상이 마르스 신이라는 걸 강조함으로써 로마인의 조상의 혈통의 고귀함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두 이야기는 후의 역사가들에게도 차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에 대한 로마인들의 관심을 보여준다.
픽토르 이후에는 연대기 작가들이 등장하였다. 친치우스 알리멘투스(L.Cincius Alimentus),포스투미우스 알비누스(A.Postmius Albinius)가 바로 그들이다. 친치우스는 평민출신이었으나 법무관(praetor) 로마의 관직 중 하나로 집정관 다음 가는 고위관직이었다. 명칭대로 법적 판결권을 가지고 있고 공화정 시기에는 군단지휘권도 주어질 정도로 실세관직이었다.
으로 선출된 적이 있는 로마의 상류층에 속하였다. 그는 철학자 고르기아스 시칠리아 출신으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피스트였다. 엠페도클레스의 제자가 되었지만 제논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의 전기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