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뒤흔든 열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를 뒤흔든 열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존리드의 경험과 러시아 구체제의 모순

본론
2. 케렌스키 내각의 출범과 갈등
3. 혁명의 서곡
4. 반혁명

결론
5. 볼세비키의 권력획득

본문내용

어 버렸다.
관공서들은 파업을 계속했으며 옛공무원들은 태업을 멈추지 않았고, 정상적인 경제생활을 불가능했으며 광범하지만 조직되지 않는 대중의 의자만 스몰니를 떠받치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인민위원회는 혁명적 대중운동을 이끌었고 레닌은 유산계급의 저항을 분쇄하고 무력으로 정부기관을 접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혁명적 질서와 엄격한 규율, 엄격한 회계와 관리 파업과 태업중단을 요구했다. 이러한 혼란뒤에는 두마와 구제위원회가 있었고, 군사혁명위원회는 이를 경고했다. 그리고 11월 10일 조국과 혁명 구제위원회를 해산시켰고 페트로그라드 시 두마의 해산과 재선거를 명령했다.
시두마는 계속 저항했지만 결국에는 무력에 굴복해, 다시 선출된 두마에는 볼세비키에게 장악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크라이나와 핀란드의 공화국 처럼 반대파들의 중심지는 존재했고, 그들은 러시아의 볼세비키 정권을 전복하려 했다. 그중에 가장 두려운 존재는 칼레딘이 주도하는 운동과 두호닌 장군이 지휘하는 모길레프 참모본부였다. 두호닌 장군의 외교적 교섭에 소비에트는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고, 그리고 그는 즉각적으로 해임되었다. 모길레프 수비대는 도시를 점령하고 새로운 사령관인 크릴렐코를 환영했다. 이로써 스타프카의 반란이 끝이 났다. 1917년 2월에 칼레딘 역시 소비에트 군대를 맞아 녹아내렸다. 이로써 강력했던 칼레딘과 두호닌의 반란을 끝이 났다.
혁명은 완수되었으나 소비에트는 농민들에게 대한 지지를 얻어야 했다. 당시 러시아의 농민은 정치적으로 뒤쳐져 있었지만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그들 고유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농민들은 볼세비키보다는 사회혁명당을 전통적으로 지지하고 있었다. 11월 10일에 두마건물이인 알렉산드르 홀에서 대회가 열렸다. 볼세비키는 5분의 1을 차지했고 사회혁명당 우파는 4분의 1을 점유했다. 나머지는 옛 집행위윈회에 반대해 연합하고 있었다.
레닌은 볼세비키를 프롤레타리아 정당임을 표방하면서 소비에트의 수호자 임을 강조했고 현정부는 바로 소비에트 정부라는 것을 분명히 해두었다. 사회혁명당과 카데츠 (인민자유당)에게 이를 분명히 경고했다. 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세력들도 만만치 않았다. 토지문제에 관한 이견은 상당히 컸다. 하지만 사회혁명당 좌파와 볼세비키의 비밀회담은 계속 진행되었고 결국 합의에 이르게 되었다. 이합의는 곧장 체이카 에 올려져 토지포고령과 평화포고령 체이카가 선택한 노동자의 산업통제에 대해 승인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