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공동생활
II. 남과 함께 사는 하루
III. 홀로 있는 날
IV. 섬 김
V. 죄의 고백과 성만찬
II. 남과 함께 사는 하루
III. 홀로 있는 날
IV. 섬 김
V. 죄의 고백과 성만찬
본문내용
목 차
Ⅰ.공동생활
II. 남과 함께 사는 하루
III. 홀로 있는 날
IV. 섬 김
V. 죄의 고백과 성만찬
신도의 공동생활
Ⅰ. 공동생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예수 그리스도를 사이에 두고 사귀는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귀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그 이상일 수도 없고 그 이하일 수도 없습니다. 한 번만 잠깐 만나는 것이든, 날마다 자주 만나는 사귐이든 간에,그리스도인은 그렇게 사귈 뿐입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사이에 두고 그리고 그의 안에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무슨 말입니까? 첫째로,그리스도인으 누구나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둘째로,그리스도인은 누구나 예수그리스도를 통해서만 다른 사람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셋째로,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영원 전에 택함을 받았고,시간 안에서 용납되고,영원히 하나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상이 아니라, 하나님께 속한 현실
우리가 우리의 모든 사귐의 터와 힘과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있는 것을 분명히 깨달으면 깨달을수록 우리는 우리의 사귐을 그만큼 더 고요히 생각할 수 있고 위해서 기도하고 희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영적인 현실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예수 그리스도만을 터로 삼기 때문에 심리적인 현실이 아니고 영적인 현실입니다. 이 점에서 우리의 사귐은 다른 모든 사귐과는 아주 구별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에, 에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주’요‘구주’로서 주시는 성령만이 이룩하시는 것,그것을 성서는 ‘영적’(pneumatisch)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성서는 자연적인 충동과 힘과 인간 정신의 바탕을 가리켜 심리적-‘정신적’이라고 합니다. 모든 영적인 현실의 터는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나타난 똑똑하고도 분명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그리고 모든 심리적인 현실의 터는 어두컴컴한 인간
Ⅰ.공동생활
II. 남과 함께 사는 하루
III. 홀로 있는 날
IV. 섬 김
V. 죄의 고백과 성만찬
신도의 공동생활
Ⅰ. 공동생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예수 그리스도를 사이에 두고 사귀는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귀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그 이상일 수도 없고 그 이하일 수도 없습니다. 한 번만 잠깐 만나는 것이든, 날마다 자주 만나는 사귐이든 간에,그리스도인은 그렇게 사귈 뿐입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사이에 두고 그리고 그의 안에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무슨 말입니까? 첫째로,그리스도인으 누구나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다른 사람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둘째로,그리스도인은 누구나 예수그리스도를 통해서만 다른 사람과 가까워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셋째로,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영원 전에 택함을 받았고,시간 안에서 용납되고,영원히 하나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상이 아니라, 하나님께 속한 현실
우리가 우리의 모든 사귐의 터와 힘과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있는 것을 분명히 깨달으면 깨달을수록 우리는 우리의 사귐을 그만큼 더 고요히 생각할 수 있고 위해서 기도하고 희망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영적인 현실
그리스도인의 사귐은 예수 그리스도만을 터로 삼기 때문에 심리적인 현실이 아니고 영적인 현실입니다. 이 점에서 우리의 사귐은 다른 모든 사귐과는 아주 구별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에, 에수 그리스도를 우리의 ‘주’요‘구주’로서 주시는 성령만이 이룩하시는 것,그것을 성서는 ‘영적’(pneumatisch)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성서는 자연적인 충동과 힘과 인간 정신의 바탕을 가리켜 심리적-‘정신적’이라고 합니다. 모든 영적인 현실의 터는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나타난 똑똑하고도 분명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그리고 모든 심리적인 현실의 터는 어두컴컴한 인간
추천자료
[가상공동체][가상공동체의 미래][미국과 한국의 가상공동체 사례]가상공동체의 발전, 가상공...
지역공동체로서 아파트공동체운동과 과제
[남북협력][남북한협력][남북한공동협력][남북공동협력][북한]남북한의 공동 보훈협력, 남북...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개인주의][공동체주의][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올바른 이해][개인][공동체]개인주의의 정의,...
[공동체][공동체의 특징][공동체의 기능][공동체의 내실화 전략]공동체의 현대적 정의, 공동...
[공동주택][공동주택의 확산기][공동주택의 단지계획][공동주택의 노후화][공동주택의 하자]...
[공동주택][공동주택관리령 개정][리모델링][스톡현황]공동주택의 종류, 공동주택의 공동주택...
[육아][공동육아][유태인육아방식][공동육아 이론][공동육아와 자연]육아와 도시환경, 육아의...
[공동육아] 공동육아의 개념, 형태 및 역할
[권역별 공동제작, 권역별 공동제작 태동, 권역별 공동제작 현황, 공동제작 문제점, 권역별 ...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 공동체 -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와 시민(주민)참여...
[공동체가족] 공동체가족의 개념과 유형 공동체가족의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