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7.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8. 의학적 치료 및 경과
Ⅱ.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7.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8. 의학적 치료 및 경과
Ⅱ.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ga-3-acides ethyl esters90 1000mg
(omacor SC cap 1000mg)
1일 1g
1회복용량:1000mg
1일 복용횟수:3
SC
고지혈증 치료제, 혈소판 억제제, 베타차단제, ACE 차단제
변비, 소화불량 등 소화기계 부작용
oliclinomel N4-550 E inj 1000ml
0.16~0.35g/kg/day
0.16~0.35
g/kg/day
IV
비경구 영양제제
-
Vit.B1,B12,B2,B6, nicotinamide
(beecom-hexa inj 2ml)
1회 1앰플(2ml) IM or IV
2ml IV
비타민 B군(c를 포함)
-
isosorbide dinitrate 0.1%
(isoket inj 0.1% 10ml)
2~7mg/hr의 속도로 점적 주사
inj 0.1% 10ml
IV
협심증 치료제 : 혈관확장제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lidocaine hydrochloride
(lidocaine)
위치에 따라 다름.
침윤마치-20~200mg
2% 20mg/ml
마취제
(국소 & 전신)
신경질, 시야몽롱, 진전, 어지러움, 심근 억제, 서맥, 저혈압, 태아의 서맥
diomagnate 3.8g/17g
(diogel susp)
식후 및 통증시 1포
식후 1포
제산제, 항궤양용제
졸음, 궤양출혈, 구역,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식욕부진, 현운, 착란, 불면, 두통
diltiazem hydrochloride 30mg
(헤르벤정)
1회 30~60mg, 1일 3회
1회복용량
: 30mg
1일 복용횟수:3
PO
혈관확장제
: 협심증, 고혈압치료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코데날 tab
1회 2정
1회복용량
: 2 tab
PO
진해거담제(기침,가래)
발한, 재채기, 구토, 두통, 불면, 전신의 근육 및 관절통, 억제, 부정맥, 변비
isosorbide dinitrate 40mg
(카소딜서방 캡슐)
1일 1회 40~80mg을 아침 식후
1회복용량
: 40mg
1일 복용횟수:1
PO
혈관확장제 : 협심증, 심근경색 치료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2) 지지요법
- 산소요법
: O2 2ml/min via N-C inhalation keep함.
2) 외과적 치료 및 특수치료
- ( 2009/07/18 CAG 시행 )
: 허혈성 심장질환인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혈관의 좁아진 부위나 막힌 정도를 확인 하는 시술이다.
① 시술 전 간호
- 8시간 전부터 금식
- 담당의사에게 시술 및 지혈기구에 대한 설명 듣고 시술 승낙서 작성.
- 왼쪽 팔에 굵은 바늘로 수액을 맞게 됨
- 감염예방을 위해 서혜부 부위 면도
- 안경, 의치, 귀중품은 떼 내어 잘 보관
② 시술 후 간호
- 출혈, 감염 가능성이 높아 천자부위를 구부리지 않게 함.
- 시술 후 6시간 동안은 반듯이 누운 자세를 유지하고 거동은 다음날 아침부터 가능
- 천자부위에 따뜻한 느낌이나 흐르는 느낌이 있고, 열이 나면 즉시 알려야 함.
- 조영제의 빠른 배출을 위해 소변은 참지 않아야하고, 2L 이상의 수분 섭취 권장.
Ⅱ. 간호과정 적용
( 적용 날짜 : 09 / 07 / 21 )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이 차서 말하기가 불편해”
“가래가 안 나와서 힘들어”
\"자꾸 헛기침이 나와”
- V/S: 120/80-36-92-28, SpO2:78%,
(호흡수 증가, 산소포화도 감소)
- 1958년 Asthma Dx 받은 분으로 쌕쌕거리는 wheezing
sound 청진됨.
- 기침이 잦고 코를 벌름거리며 호흡함.
- 호흡 깊이가 얇고 빠르며 얼굴을 찡그리며 호흡함.
- 변화된 호흡양상 : 평상시 평균 R:20 이었으나,
현재 R:28회로 증가됨.
- PFT 결과, severe restrictive pattern check됨.
간호진단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An Exudate Related to Ineffective Respiratory Pattern )
기대결과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R:20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SpO2:90%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매일 사정하고 기록한다.
2. 필요시 처방된 진해거담제와 천식치료제를 투여한다.
3. 진해거담제와 천식치료제 투여 후 대상자의 반응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4. 안정된 호흡을 위해 활동을 제안하고 침상안정을 취하게 하며 정서적 지지를 해 준다.
5. 대상자가 호흡을 쉽게 하고 환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해 주고 이를 교육시킨다.
① 입술오르므기 호흡
② 횡격막호흡과 복식호흡 기술
③ 최대 환기를 위한 체위
④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1. 호흡의 횟수, 규칙성, 주기, 깊이 등을 사정함으로써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2. 진해거담제는 기침을 완화하고 가래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이며, 천식치료제는 기관지 천식을 치료하는 약으로서 주로 기관지 평활근의 경련성 수축에 의한 잦은 기침을 멎게 한다.
3. 진해거담제의 경우 ‘발한, 재채기, 구토, 두통, 불면, 전신의 근육 및 관절통, 억제, 부정맥,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고, 천식치료제의 경우 ‘기관지염, 심계항진, 현기증, 발진, 오심,’ 등의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다.
4. 지나친 활동은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호흡곤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편안한 체위와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입술오므리기 호흡 등의 호흡재교육은 호기를 길게 하고 기도 허탈을 줄여 원활한 호흡을 유지하게 한다.
① 입술을 오므리고 숨을 내쉬도록 하여 호기를 천천히하고 허탈을 예방하여 기도를 안정시킨다.
② 횡격막 호흡시는 환기증진을 위하여 횡격막에 가까운 복부 근육을 사용한다.
③ 앞으로 숙이는 자세, 머리를 밑으로 하는 자세, 앙와위를 포함하여 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자세가 많이 있다.
④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은 근육에 손상을 줄여주며 원활한 호흡을 돕는다.
1. 호흡곤란을 호소할 때마다 대상자로 하여금 그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 10점 척도로 말하게 하였으며, 호흡 양상을 사정한 결과
(omacor SC cap 1000mg)
1일 1g
1회복용량:1000mg
1일 복용횟수:3
SC
고지혈증 치료제, 혈소판 억제제, 베타차단제, ACE 차단제
변비, 소화불량 등 소화기계 부작용
oliclinomel N4-550 E inj 1000ml
0.16~0.35g/kg/day
0.16~0.35
g/kg/day
IV
비경구 영양제제
-
Vit.B1,B12,B2,B6, nicotinamide
(beecom-hexa inj 2ml)
1회 1앰플(2ml) IM or IV
2ml IV
비타민 B군(c를 포함)
-
isosorbide dinitrate 0.1%
(isoket inj 0.1% 10ml)
2~7mg/hr의 속도로 점적 주사
inj 0.1% 10ml
IV
협심증 치료제 : 혈관확장제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lidocaine hydrochloride
(lidocaine)
위치에 따라 다름.
침윤마치-20~200mg
2% 20mg/ml
마취제
(국소 & 전신)
신경질, 시야몽롱, 진전, 어지러움, 심근 억제, 서맥, 저혈압, 태아의 서맥
diomagnate 3.8g/17g
(diogel susp)
식후 및 통증시 1포
식후 1포
제산제, 항궤양용제
졸음, 궤양출혈, 구역,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식욕부진, 현운, 착란, 불면, 두통
diltiazem hydrochloride 30mg
(헤르벤정)
1회 30~60mg, 1일 3회
1회복용량
: 30mg
1일 복용횟수:3
PO
혈관확장제
: 협심증, 고혈압치료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코데날 tab
1회 2정
1회복용량
: 2 tab
PO
진해거담제(기침,가래)
발한, 재채기, 구토, 두통, 불면, 전신의 근육 및 관절통, 억제, 부정맥, 변비
isosorbide dinitrate 40mg
(카소딜서방 캡슐)
1일 1회 40~80mg을 아침 식후
1회복용량
: 40mg
1일 복용횟수:1
PO
혈관확장제 : 협심증, 심근경색 치료
안면홍조, 두통, 뇌빈혈
(2) 지지요법
- 산소요법
: O2 2ml/min via N-C inhalation keep함.
2) 외과적 치료 및 특수치료
- ( 2009/07/18 CAG 시행 )
: 허혈성 심장질환인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혈관의 좁아진 부위나 막힌 정도를 확인 하는 시술이다.
① 시술 전 간호
- 8시간 전부터 금식
- 담당의사에게 시술 및 지혈기구에 대한 설명 듣고 시술 승낙서 작성.
- 왼쪽 팔에 굵은 바늘로 수액을 맞게 됨
- 감염예방을 위해 서혜부 부위 면도
- 안경, 의치, 귀중품은 떼 내어 잘 보관
② 시술 후 간호
- 출혈, 감염 가능성이 높아 천자부위를 구부리지 않게 함.
- 시술 후 6시간 동안은 반듯이 누운 자세를 유지하고 거동은 다음날 아침부터 가능
- 천자부위에 따뜻한 느낌이나 흐르는 느낌이 있고, 열이 나면 즉시 알려야 함.
- 조영제의 빠른 배출을 위해 소변은 참지 않아야하고, 2L 이상의 수분 섭취 권장.
Ⅱ. 간호과정 적용
( 적용 날짜 : 09 / 07 / 21 )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이 차서 말하기가 불편해”
“가래가 안 나와서 힘들어”
\"자꾸 헛기침이 나와”
- V/S: 120/80-36-92-28, SpO2:78%,
(호흡수 증가, 산소포화도 감소)
- 1958년 Asthma Dx 받은 분으로 쌕쌕거리는 wheezing
sound 청진됨.
- 기침이 잦고 코를 벌름거리며 호흡함.
- 호흡 깊이가 얇고 빠르며 얼굴을 찡그리며 호흡함.
- 변화된 호흡양상 : 평상시 평균 R:20 이었으나,
현재 R:28회로 증가됨.
- PFT 결과, severe restrictive pattern check됨.
간호진단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An Exudate Related to Ineffective Respiratory Pattern )
기대결과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R:20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SpO2:90%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매일 사정하고 기록한다.
2. 필요시 처방된 진해거담제와 천식치료제를 투여한다.
3. 진해거담제와 천식치료제 투여 후 대상자의 반응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4. 안정된 호흡을 위해 활동을 제안하고 침상안정을 취하게 하며 정서적 지지를 해 준다.
5. 대상자가 호흡을 쉽게 하고 환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해 주고 이를 교육시킨다.
① 입술오르므기 호흡
② 횡격막호흡과 복식호흡 기술
③ 최대 환기를 위한 체위
④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1. 호흡의 횟수, 규칙성, 주기, 깊이 등을 사정함으로써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2. 진해거담제는 기침을 완화하고 가래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이며, 천식치료제는 기관지 천식을 치료하는 약으로서 주로 기관지 평활근의 경련성 수축에 의한 잦은 기침을 멎게 한다.
3. 진해거담제의 경우 ‘발한, 재채기, 구토, 두통, 불면, 전신의 근육 및 관절통, 억제, 부정맥,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고, 천식치료제의 경우 ‘기관지염, 심계항진, 현기증, 발진, 오심,’ 등의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다.
4. 지나친 활동은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호흡곤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편안한 체위와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입술오므리기 호흡 등의 호흡재교육은 호기를 길게 하고 기도 허탈을 줄여 원활한 호흡을 유지하게 한다.
① 입술을 오므리고 숨을 내쉬도록 하여 호기를 천천히하고 허탈을 예방하여 기도를 안정시킨다.
② 횡격막 호흡시는 환기증진을 위하여 횡격막에 가까운 복부 근육을 사용한다.
③ 앞으로 숙이는 자세, 머리를 밑으로 하는 자세, 앙와위를 포함하여 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자세가 많이 있다.
④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은 근육에 손상을 줄여주며 원활한 호흡을 돕는다.
1. 호흡곤란을 호소할 때마다 대상자로 하여금 그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 10점 척도로 말하게 하였으며, 호흡 양상을 사정한 결과
추천자료
심근경색증 완결편
심근경색증에 대한 case study(응급실)
폐렴, 전자간골절에 대한 case study (감염내과)
M&T(tymphanoplasty with mastoidectomy) 수술 케이스 스터디
심정지 case study
내과 중환자실 폐암 case 간호진단
[흉부외과case study]혈전증과 색전증
성인간호 CASE STUDY - 당뇨(DM)
COPD case
만성부비동염 케이스 스터디
당뇨 DM FOOT CASE STUDY (당뇨병성 발 궤양) A+
서울삼성병원- 대동맥판막협착증 aortic stenosis CASE A++
성인간호학 실습-AMI
척추협착증 간호과정3개완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