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 농공단지 문제와 해결방안 및 개발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원군 농공단지 문제와 해결방안 및 개발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철원군 현황
1) 위치와 행정구역
2) 면적
3) 인구
4) 인구예측

2. 문제점 인식
1) 농공단지 조성 및 현황
2) 강원도 내, 철원 농공단지 실태
3) 문제 인식

3. 문제점 분석
1) 농공단지 투입 예산 분석
2) 농공단지 경제성•사업성 추이 분석
3) 고용현황 추이
4) 주변환경 실태
5) 지역갈등 문제

4. 문제 해결 대안
1) 경제적•사업적 측면 해결 방안
2) 고용측면 해결 방안
3) 성공사례 도입 방안
4) 전략적 해결 방안

5.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철원군 현황
1) 위치와 행정구역
철원군은 태백산맥의 금강산부터 경기도 쪽으로 뻗어 내린 광주산맥을 등받이처럼 동쪽에 대고, 서울에서 원산에 이르는 추가령열곡을 기준으로 서쪽을 바라보는 한반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다.
- 북위 38도, 동경 127도
- 4개 읍, 3개 면
2) 면적
금학산, 명성산, 대성산 등의 명산과 절경이 곳곳에 자리 잡은 아름다운 천혜의 땅 철원군의 면적은 899.㎢(전국의0.83%)으로 그 중 농경지가 282.5㎢(31.4%)이고 농가 호당 평균 1.8㏊의 농경지를 보유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사의 고장이다.
3) 인구
- 10년간 인구 추이 -
연 별
인 구 2)
총 수
한국인
외국인
Year
Total
Korean
Foreigner
1998
54,601
54,601
-
1999
54,040
54,040
-
2000
53,329
53,190
139
2001
52,224
52,072
152
2002
50,682
50,532
150
2003
50,450
50,212
238
2004
49,908
49,650
258
2005
49,167
48,933
234
2006
48,260
48,024
236
2007
47,719
47,420
299
인구증가율 (%)
65세이상
(고령자)
인구밀도
Population
Person 65 years
Population
increase rate
old and over
density
0.6
4,845
60.7
-1.0
4,898
60.1
-1.3
5,082
59.3
-2.1
5,250
58.1
-3.0
5,455
56.4
-0.5
5,669
56.1
-1.1
5,960
55.5
-1.5
6,287
54.7
-1.8
6,572
53.7
-1.1
6,970
53.1
4) 인구예측
- Plotting
지난 10년간 인구 동향을 그래프로 작성하고 살펴본 결과, 인구변화추이는 선형에 가까운 동태를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이 그래프의 형태를 로지스틱의 모형에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였고, 회귀 식에 의한 인구예측에 더욱 적합한 동태라고 파악하여 최소자승법 1차식에 의해 인구예측을 진행하였다.
- 향후 10 년간의 인구 예측 -
연 도
인구예측
 
a= 54594
2008
46,692
b= -790.23
2009
45,901
Y = 54594 - 790.23X
2010
45,111
08년을 기준으로 향후 10년간의 인구예측을 해본 결과,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위의 10년간 인구추이 표에서 보면 외국인의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존 거주자들은 유출하는 실정이다.
기존의 사업시설에서 거주자들의 고용에 주력하지 않고 인건비가 싼 외국인노동자들을 고용하는 추세를 잠정적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2011
44,321
2012
43,531
2013
42,741
2014
41,950
2015
41,160
2016
40,370
2017
39,580
전체적인 지역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로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과 기존 인프라시설과 기존 산업의 고용에
유휴화가 염려되는 실정이다.
2. 문제점 인식
1) 농공단지조성 및 현황
- 농공단지 : 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역 주민이 지금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와 농어촌의 격차를 줄여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려고 조성한 공업단지이다. 따라서 이곳에 입주한 업체에 대해서는 금융과 기술 지원을 해주고 세금을 감면해주는 등 다른 공단보다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 농공단지 현황 : 2006년 12월 기준, 서울, 인천, 대전을 제외한 전국 121개 시·군에 330개가 지정되었고, 분양률은 95.9%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농공단지가 지정되지 않은 곳은 각종 산업단지가 입지한 공업지역 5개 시(광양시, 경산시, 포항시, 거제시, 창원시)와 교통여건이 불리하거가 도서지역인 5개 군(인제군, 양구군, 신안군, 영양군, 울릉군)이다. IMF 이후에는 농공단지 지정이 감소하여 1998년에는 3개, 1999년에는 1개, 2000년에는 지정된 곳이 없다. 이는 농촌지역의 노동력부족과 임금상승 및 지가상승 등과 국민경제의 침체와 수도권 공장입지규제완화로 분석된다.
- 철원군 농공단지
철원군 김화 농공단지
명칭: 철원 김화 농공단지
위치: 철원군 김화읍 청양리 2870번지 일원
면적: 148,760
철원군 갈말농공단지
명칭 : 철원 갈말농공단지
위치 :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505번지 일원
면적 : 124,830
2) 강원도 내(內), 철원군 농공단지 실태
a. 경제적 측면
- 90년대 초반 경쟁적으로 조성됨
- 수십억원의 막대한 조성예산 투입
대부분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
- 철원군 갈말, 김화 농공단지 입주 시 세제혜택, 보조금 지원
조성 후 사업적 도움이 이루어 지지않고 있음
- 도에서 집계한 도내 16개 시.군 23곳의 농공단지 가동률은 93%
실제 조사결과 10%가 낮은 83%로 집계
- 철원군 김화, 갈말 농공단지 활성화 되지 않고 부도 업체들이 속출
- 인근 업체들이 중국, 수도권으로 이전을 추진 중에 있음
b. 행정적 측면
- 한명의 공무원이 5개의 농공단지 관리
농공단지의 정확한 실태 파악과 관리가 힘든 실정
대부분의 군이 소수인력으로 단지를 관리하는 상황
- 영세업체의 잦은 휴 폐업과 입주 반복
소수인력으로 업체 가동률 파악,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함
c. 고용의 측면
- 김화 갈말 농공단지 입주 기업중 상당수가 관급자재공급에 관심
- 인력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사례가 대부분
철원군으로부터 혜택만 받고 지역주민을 외면하는 식
농공단지 설립 취지에 어긋남
d. 새로운 농공단지의 조성
- 2008년 2월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1.04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1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