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 선정 배경과 삼성전자의 경영철학, 경영이념, 주력사업의 성장률 및 향후 전망, R&D 투자현황, 디자인, 구조조정,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브랜드 마케팅, 전략적 제휴 현황, SWOT 분석, 삼성전자의 전략 경영 실체, 조직구조도, 결론 이런식으로 되어있습니다.
본문내용
l
1999년 6월
IMT-2000
어뎁트(Adept)
1998년 12월
자동화(로봇 및 제어장비 분야)
Alpha Processor,lnc.
1998년 6월
비메모리
제휴사
시 기
분 야
미쓰비시
2002년 5월
세탁기부문 상호협력
마이크로 소프트
2001년 10월
디지털 홈 구축
Sony
2001년 8월
플래시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AOL - 타임워너
2001년 7월
디지털 제품, 광고, 마케팅
로크웰
오토메이션
2001년 2월
1999년 6월
자동화산업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기
인터넷TV 네트웍스
2000년 7월
인터넷TV
마이크로소프트
2000년 6월
차세대 이동 통신
배틀탑
2000년 6월
인터넷 게임
Converge
2000년 5월
전자상거래
Yahoo!
2000년 3월
인터넷 솔루션 사업
Harris, NDS, 4DL
SkyStream
2000년 4월
쌍방향 디지털 TV
워너브라더스
2000년 3월
DVD플레이어
3com
2000년 2월
IMT-2000
코닝
2000년 2월
광(光)부품
SWOT 분석
STRENGTH (강점)
① 삼성전자의 전략적으로 다각화된 사업영역
삼성의 투자방식은 한 분야에 집중투자 하는 방식이 아니다. 삼성은 자신이 가진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하여 융합하는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화 과정에서 들어난 손실을 다른 사업영역에서 상쇄시키는 측면이 삼성이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구조 상 모든 사업영역에서 적자가 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 삼성의 제품군의 다양성으로 커버하고 있다.
②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삼 성 전 자 경 영 전 략
정부는 삼성에게 여러 가지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일단 생각해볼 때 IMT 2000이나 반도체 메모리 분야에 정부는 삼성에 많은 지원을 주고 있다. 정부정책상 IT 산업의 육성이란 정책과 맞아떨어진 이유도 있다.
③ CEO의 과감한 결단과 리더십 & 수많은 인재 삼성이 반도체 사업에 진출할 때나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 때 많은 위험을 존재했다. 하지만 삼성 CEO의 변화를 읽는 눈과 과감한 결단력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세계에서 지켜볼 수 있는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삼성의 인재 중심 운영 방식 또한 다른 기업과 비교되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최첨단 기술과 모방력
삼성의 기술력은 막대한 연구개발비용의 투자로 들 수 있다. 현재 삼성은 미국내 특허 순위 5위에 드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성의 모방능력은 다른 기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 삼성이 최초로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 때도 가장 큰 역할을 한 것도 모방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기여된 창의력인 것이다.
WEAKNESS (약점)
① 삼성의 반도체 사업의 경우 메모리 영역에 집중되었다는 사실
삼성의 약점으로 가장 먼저 드는 것이 반도체 사업이 메모리 분야에 집중되었다는 사실이다. 메모리 분야는 경쟁사도 많을 뿐 아니라 모방이 쉬운 사업이란 점에서 많은 우려를 보내고 있다. 삼성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메모리 분야에 진출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상황이 호전되지 않고 있다. 결국 메모리분야 중에서 삼성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사업을 하기로 결정하고 삼성에서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다고 신문에 공포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 투자비중의 약 0.8%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착안할 필요가 있다.
② 핵심부품의 부재
삼성이 생산하고 있고, 현재 가장 많은 수익을 내고 있는 분야인 반도체나 CDMA 휴대폰의
경우 핵심부품에 대한 로열티를 해외기업(예:
1999년 6월
IMT-2000
어뎁트(Adept)
1998년 12월
자동화(로봇 및 제어장비 분야)
Alpha Processor,lnc.
1998년 6월
비메모리
제휴사
시 기
분 야
미쓰비시
2002년 5월
세탁기부문 상호협력
마이크로 소프트
2001년 10월
디지털 홈 구축
Sony
2001년 8월
플래시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AOL - 타임워너
2001년 7월
디지털 제품, 광고, 마케팅
로크웰
오토메이션
2001년 2월
1999년 6월
자동화산업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기
인터넷TV 네트웍스
2000년 7월
인터넷TV
마이크로소프트
2000년 6월
차세대 이동 통신
배틀탑
2000년 6월
인터넷 게임
Converge
2000년 5월
전자상거래
Yahoo!
2000년 3월
인터넷 솔루션 사업
Harris, NDS, 4DL
SkyStream
2000년 4월
쌍방향 디지털 TV
워너브라더스
2000년 3월
DVD플레이어
3com
2000년 2월
IMT-2000
코닝
2000년 2월
광(光)부품
SWOT 분석
STRENGTH (강점)
① 삼성전자의 전략적으로 다각화된 사업영역
삼성의 투자방식은 한 분야에 집중투자 하는 방식이 아니다. 삼성은 자신이 가진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하여 융합하는 다각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각화 과정에서 들어난 손실을 다른 사업영역에서 상쇄시키는 측면이 삼성이 가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구조 상 모든 사업영역에서 적자가 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 삼성의 제품군의 다양성으로 커버하고 있다.
②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삼 성 전 자 경 영 전 략
정부는 삼성에게 여러 가지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일단 생각해볼 때 IMT 2000이나 반도체 메모리 분야에 정부는 삼성에 많은 지원을 주고 있다. 정부정책상 IT 산업의 육성이란 정책과 맞아떨어진 이유도 있다.
③ CEO의 과감한 결단과 리더십 & 수많은 인재 삼성이 반도체 사업에 진출할 때나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 때 많은 위험을 존재했다. 하지만 삼성 CEO의 변화를 읽는 눈과 과감한 결단력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세계에서 지켜볼 수 있는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삼성의 인재 중심 운영 방식 또한 다른 기업과 비교되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최첨단 기술과 모방력
삼성의 기술력은 막대한 연구개발비용의 투자로 들 수 있다. 현재 삼성은 미국내 특허 순위 5위에 드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성의 모방능력은 다른 기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 삼성이 최초로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 때도 가장 큰 역할을 한 것도 모방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기여된 창의력인 것이다.
WEAKNESS (약점)
① 삼성의 반도체 사업의 경우 메모리 영역에 집중되었다는 사실
삼성의 약점으로 가장 먼저 드는 것이 반도체 사업이 메모리 분야에 집중되었다는 사실이다. 메모리 분야는 경쟁사도 많을 뿐 아니라 모방이 쉬운 사업이란 점에서 많은 우려를 보내고 있다. 삼성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메모리 분야에 진출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상황이 호전되지 않고 있다. 결국 메모리분야 중에서 삼성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사업을 하기로 결정하고 삼성에서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다고 신문에 공포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 투자비중의 약 0.8%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착안할 필요가 있다.
② 핵심부품의 부재
삼성이 생산하고 있고, 현재 가장 많은 수익을 내고 있는 분야인 반도체나 CDMA 휴대폰의
경우 핵심부품에 대한 로열티를 해외기업(예:
추천자료
삼성전자 인도네시아 법인 마케팅 전략
삼성전자와 탈레스의 전략적 제휴에 대하여
중국진출 성공전략기(이마트, 삼성전자, 신라면, 쵸코파이)
삼성전자와 이마트의 유통전략 성공사례
삼성전자 인도네시아 법인 마케팅 전략 사례분석
삼성전자 와 HP의 미래 성장 전략
삼성전자 '애니콜'의 중국진출 성공전략
삼성전자 애니콜의 해외진출 전략과 중국시장진출 성공사례
삼성전자 MP3 YEPP(옙)의 마케팅전략
삼성전자 애니콜의 유럽진출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
다국적기업 삼성전자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마케팅원론] 삼성전자의 마케팅 전략 [A+레포트]
삼성전자 옙 Yepp의 마케팅 전략
[국제마케팅]삼성전자 애니콜의 해외시장 마케팅전략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