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의 정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성황후의 정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성황후 연대표

2. 명성황후의 일생
1) 명성황후의 출생과 왕비간택
2) 흥선 대원군과의 관계
3) 조선을 둘러싼 세계열강들의 정황
4) 당시 조선의 정황과 조선정부의 정책

3. 왜 명성황후는 시해되었는가 ?

4. 명성황후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한뒤 흉도들은 황후의 시체를 능욕하는듯한 기만행위도 서슴지 않았
으며, 곧 황후의 시신을 석유로 태워 옥호루 근처에 뭍었다고 한다 .
명성황후에 대한평가(개인의견)
1. 부정적 측면
※ 서구열강들의 정보가 부족했던 명성황후의 인가거청, 인아거일 정책
당시 조선은 청국의 간섭과, 일본의 무제한 침투, 서구열강들의 제국주의 정책에 힘없는 약소국에 불과했다. 러시아를 이용해 청과, 일본을 견제한다는 생각은 어디까지나 서구열강들에대한 정보가 결여된 눈앞에 놓인 문제만을 해결하기 위한 근시안적인 해결책에 불과했다 .
만약 러시아를 이용해 일본을 몰아내었다고 가정해 봤을 때 , 과연 제국주의의 영국과 더불어 대표나라 였던 러시아가 아무런 대가없이 조선땅에서 물러났을리는 만무했을거라
생각되어진다 . 더군다나, 러시아 철도가 완공된다면, 일본이 아닌 러시아의 식민통치 역시 추측해볼만한 경황이라 생각되어진다 .
※ 무엇을 위한 외교정책이였는가 ?
일본은 1860대 후반에 이르러 메이지 유신을 성취하고, 근대화 국가를 건국하는등,
세계정세에 맞는 국가로 거듭나게 되었다 .
그당시 조선은 서구열강들에 배척한 쇄국사상에 일관하였고, 대원군과 황후의 권력싸움
으로 조정이 어지러웠다 . 국력을 키울기회를 잃어 린 것이다
강화도 조약이후 서구열강들에 차례로 문호를 개방하였지만, 아무런 준비없이 무력앞에
개방한 결과, 서구 열강들의 먹잇감이 되기에 충분하였다 .
더군다나 갑신정변, 갑오개혁을 거치면서,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피폐해져만 같다 .
지속되는 양반들의 가렴주구와, 일본의 급진적인 개혁에 백성들의 삶이 어려워져 결국
동학농민 운동과 같은 의병운동이 조선 각지에서 발발하게 되었다 .
백성들의 목소리를 듣지않고 사건을 악화시킨 조선정부(민씨정부와, 고종)는 이를
탄압하기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서 과연 청나라와, 일본을 몰아냄은 무엇을 위한 외교정책이였는지 새삼 다시 돌아보게 만든다 .
※ 끝임없는 세력싸움
황후와 대원군은 임오군란, 갑신정변, 일본군의 경복궁 침입등과 함께 끝임없이 대립하여
이들의 악화된 관계는 서양 열강들의 좋은 이용물로 전락하게 된다 .
정치적 이념과, 서로에대한 개인적인 갈등이 주 원인이였다 . 이과정에서, 조선의 안위도
제대로 해결할수 없는 상황에서 이 둘의 당파싸움은 결국 끝임없는 사건(임오군란, 대원군의 3차집권) 등으로 국정을 어지럽히고, 백성들을 제대로 돌보지 못함은 분명 지탄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2. 긍정적 측면
※ 적극적인 외교수용 정책
흥선대원군의 집권시절 쇄국정책으로 일관했던 거에 비해 황후의 해외 정책은
보다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이였다고 한다 .
강화도 조약이 체결됨으로써 문호를 개방하게 됨을 이를 무조건 적대하지 않고 , 세력내의 온건개화파 와 급진개화파의 적절한 의견을 통해 당시 상황에 맞는 정책을 펴내려 하였다 . 또 개화를 목적으로 한 일본의 수신사를 소집하여, 김홍집과같은 개화파 인물을
일본과 서구 열강들에 파견함으로써, 세계정황을 파악하려 했던 노력은 조선의 근대화를
이끌어내, 보다 강한 나라를 만들어보고자 했던 노력이었던거 같다 .
결과적으로 황후가 친일적인 급진개화파와 수구적 척사파의 양면에서 비판을 받고,
일본 고나변측의 미움을 받았다는 사실은 황후의 정책 노선인 진보와 보수사이에서, 휘둘리지 않고, 적절한 균형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자주적이였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한영우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P 35
※ 세계 각국의 인사들의 명성황후에 대한 평가
영국의 여행가 이사벨라 버드 비숍 여사
“ 호리호리한 몸매에 까만 머리칼과 흰 피부가 인상적이고 날카롭고 재기에 번쩍이는 눈은 지성적이었으며, 미소를 머금은 창백한 얼굴에는 애수가 깃들인 듯했다 ”
미국의 언더우드 부인
“ 창백한 얼굴에 날카로운 용모였으며, 두 눈에는 위력과 지성과 개성을 읽을수 있었다 . 순박하면서도 뛰어난 기지와 매력을 지닌 분으로, 서양의 기준에서 볼 때도 완벽한 귀부인이였다 . ”
“ 자기나라를 위한 최선의 이익에 헌신하였으며, 어떤 동양의 여왕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것보다도 훨씬 더 큰, 국민의 복지를 추구하였다 ”
미국 공사관 서기 윌리암 프랭클린 샌드 의 기록
“ 황후는 여러모로 뛰어난 여성이었다. 지성적이고 학문이 높았다. 게다가 개성이 강하고
굽힐줄 모르는 강한 여성이였으며, 그 시대를 훨씬 앞서고 있는 여성을 초월한 정치가였다.
또한 어떤 외국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고 끊임없이 일했다. 게다가 그분은 외국에 반대한 것은 아니며, 자기나라가 살아남아서 서방제국과 평화롭게 지내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는 여성이였다\"
서울주재 런던 데일리 신문 특파원 맥켄지
“ 황후는 친구들에게는 친절하며 적에게는 타협을 모르는 분이였다. 일본인들과 때로는 결탁
하고 때로는 반대하면서 자기 권력을 증가시켰다. (1895년) 여름이 지나갈 무렵에 이르러서,
황후는 일본으 이익에 쐐기를 박는 방향에서 직접 작용하는 것이 뚜렷이 나타났다 . 최문형 <<명성황후의 시해의 진실을 밝힌다 >> PP 55 ~ 57 박현정 <명성황후 인식의 변화와 평가 > PP55 ~ 59 재인용
조선 내한공사 였던 이노우에
“ 명성황후는 아름다운 성품과 탁월한 능력을 가지 귀부인이였다
위의 황후에 대한 평가를 보면서 느낀점은 황후에 대한 평가는 한결같이 총명하였으며,
조선의 안위를 걱정하고 조선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라는 것이다 .
또 황후는 입궁을 하고나서 독서로 연일 소일하였는데, 읽은 책들이 유교적 사회분위기
속에서 아녀자들이 읽어야했던 예절, 기본 교양서 보다는 <춘추>, <춘추 좌씨전> 최문형 <<위와 동일책>> PP 51~52
등의 패권 투쟁사에 관한 책을 읽음으로써 나약하고 우유부단했던 고종이 다른 위협세력
들에 휘둘리지 않게 하기위해 노력했다고 기록에 남아있다 .
모두가 말하는 황후의 조건을 모두 갖춘 총명한 명성황후가 시대를 타고난 배경이 지금의 인물로써 부각되었지만, 만약 다른시대의 왕비로써 보다좋은 환경에서 능력을 발휘했다면
“야심가” “해외정세에 제거된 인물” 이아니라 다른 모델로써 기록되진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1.07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