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쌍화점을 통해서 본
속요의 궁중가요화
1. 속요란?
2. 속요의 형성과정
3. 속요와 기녀들의 관계
4. <쌍화점> 개관
5. ‘고려가요 연주단’이
연주한 <쌍화점> 듣기
or 주진모가 부른
<쌍화점> 듣기 (학생선택)
6. <쌍화점>(2연)의 형성
Ⅱ. 고려가요 여음의
종류와 특성
1. 서론
2. 본론
① 여음의 정의
② 여음의 종류
③ 왜 고려가요에만
여음이 생겼는가
(여음의 특징)
④ 여음의 기능
3. 결론
참고문헌
속요의 궁중가요화
1. 속요란?
2. 속요의 형성과정
3. 속요와 기녀들의 관계
4. <쌍화점> 개관
5. ‘고려가요 연주단’이
연주한 <쌍화점> 듣기
or 주진모가 부른
<쌍화점> 듣기 (학생선택)
6. <쌍화점>(2연)의 형성
Ⅱ. 고려가요 여음의
종류와 특성
1. 서론
2. 본론
① 여음의 정의
② 여음의 종류
③ 왜 고려가요에만
여음이 생겼는가
(여음의 특징)
④ 여음의 기능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적 자극과 충동을 주는 효과”가 있을 정도로 “궁중 술자리(연회)에서 가창된 저급의 노래”라는 평가를 받았다는 점에서 후반부는 기녀와 남성들이 합창했D한 능성이 크다. 전 4절로 된 이 노래는 퇴폐한 당시의 성윤리를 잘 나타냈으며 나아가 그것을 풍자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표현에 있어서도 유창한 운율과 아울러 봉건 시대의 금기이던 왕궁을 우물로, 제왕을 용으로 은유한 것은 뛰어난 표현이라 하겠다. 또 원 간섭기에 회회인으로 대표된 몽고인 혹은 아라비아 상인이나 수도의 중심에 세워진 큰 사찰인 ‘삼장사’의 주지를 노래 속에 적극적으로 등장시켜 몽고의 침입으로 인해 혼란스러워지고 문란해진 사회 풍조를 보여주고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쌍화점>은 조선 성종 때 음사(음탕한 노래)라 하여 가사를 약간 고쳐 \'악장가사\'에 전하고 있고, 어떤 문헌에는 \'상화점(霜花店)이라 한 곳도 있는데, ‘쌍화’는 만두를 뜻한다.
5. ※ ‘고려가요 연주단’이 연주한 <쌍화점> 듣기
or 주진모가 부른 <쌍화점> 듣기 (학생선택)
(사설 : 속요 <쌍화점>의 형성시기는 충렬왕대로 보고 있지만, 영화 쌍화점 속의 주진모의 배역은 ‘공민왕’이며 그와 동성연애를 즐긴 자도 ‘홍림’이 아니라 ‘홍륜’이며 그는 귀족의 자제였다. 또한 왕명으로 홍륜이 합궁한 왕비는 익비 한씨인데, 고려종실 덕풍군 왕의의 딸이며 성은 외가의 성을 따른 것이다. 익비는 후일 이성계에게 옹립교서(양위교서)를 내리기도 했다.)
6. <쌍화점>(2연)의 형성
고려속요가 민가에서 불리던 민요를 원가로 삼았다는 점은 여지없는 사실이다. 원가는 <삼장>이라는 노래로서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충렬왕 25년 5월에 남장별대가 연회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동왕(同王) 25년 이전부터 이 노래가 존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궁중으로 들어오게 된 민요가 궁중악에 맞게 개사 및 편사됨에 따라 단순하게는 후렴구반복구여음이 첨가되거나, 복잡하게는 뜬금없이 다른 노래의 가사가 섞이는 과정을 겪어야만 했다. 예를 들면 - <서경별곡> 2연의 구슬노래가 <정석가>의 6연에 그대로 재현되거나, <만전춘별사>의 3연과 <정과정>의 5~6행이 동일한 것도 민요를 궁중악에 맞게 개사편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난 일이다. 그래서 고려속요의 형성과정을 “가락에 알맞은 재래의 사설을 찾아 새 형태의 우리말 사설을 지어지고, 혹은 재래의 사설과 신전(新傳)의 가락이 맞지 않을 때 그 조절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원가의 수용과 전승을 문제 삼는다고 할 때 노래를 궁중으로 운반한 것은 관기나 관비, 무당이었으며 그들이 갖고 들어온 노래를 그대로 가창한 것이 아니라 교열신성의 과정을 거쳐서 ‘고저완급’의 곡조에 맞춘 노래였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고저완급이 모두 곡조에 맞았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궁중에서 부른 <쌍화점>은 기존의 가락에 알맞은 재래의 사설을 찾아 새 형태의 우리말 사설을 개사편사하는 과정을 겪은 노래였던 것이다.
Ⅱ. 고려가요 여음의 종류와 특성
1. 서론
고려가요는 향가가 쇠퇴하고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우리말 노래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의 노래라고 해서 고려가요라고 하기도 하고, 분연되어 그 형식이 길어지기도 하여 장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려속요는 평민문학이며, 구비문학이다. 한글 창제이후 정착하여 그 특징은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는 조선조 문헌에 기록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음사(淫詞),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소멸되었다. 고려 속요는 한글창제 이후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게 되고, 이밖에는 가사는 전해지지 않으나 제목과 내용만 전하는 것이 《고려사악지》에 30여 편이 소개되고 있다. 고려가요를 읽다보면 제일 눈에 띄는 것은 여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여음이 시조, 향가 등에는 들어가지 않는데 왜 고려가요에만 생겼는가, 하는 의문이 생겼다. 고려가요의 원작자는 고려시대 평민으로 대부분 미상이다. 그러나 궁중의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악곡에 조예가 깊고 시문에 밝은 신하나 군중에 등재된 관기, 여무, 악공 등이 작가 층으로 참여 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민요로 민간에서 널리 불리던 고려가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채용, 개편되면서 원래 있던 악곡의 형식에 맞추다 보니 여음이 들어가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럼, 고려가요의 일반적 특징 가운데 이 글에서는 고려속요의 여음의 종류와 기능 및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2. 본론
① 여음의 정의
여음(餘音)을 문학적으로 정의하면 구창하는 문학에서 연(聯) 단위에 본 가사의 앞뒤 가운데 있어서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을 의미한다.
즉, 여음이란 시가에 있어서 뜻의 전달보다는 조흥과 조율 및 의미 확장을 기하는 소리(구음)로서 반복에 의해 한 형식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여음의 유래에 대해 먼저, 일을 하면서 생기는 소리를 박자를 맞추어가면서 일부러 속요에 편입시켰을 것이라는 견해와 원래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의에 사용되었을 구문들이 여음으로 편입되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동물의 울부짖음이나 새의 지저귐에 대한 흉내, 바람소리 등의 자연현상에서 생기는 소리를 흉내 내거나, 단순하게 물건을 두드리는 소리 등을 흉내 내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② 여음의 종류
우선, 여음의 종류를 분류해 보자. 여음의 종류는 그 위치상에 있어 ⑴전치여음(前置餘音) ⑵중치여음(中置餘音) ⑶후치여음(後置餘音)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성분상에 있어 ⑴감탄여음(感歎餘音) ⑵의성여음(擬聲餘音) ⑶어사여음(語辭餘音)으로 나눌 수 있다.
○ 위치별 분류
(1). 전치여음
전치여음은 노래의 서두에서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고려 속요 가운데 전치여음을 가지고 있는 노래는 <상저가>뿐이다.
5. ※ ‘고려가요 연주단’이 연주한 <쌍화점> 듣기
or 주진모가 부른 <쌍화점> 듣기 (학생선택)
(사설 : 속요 <쌍화점>의 형성시기는 충렬왕대로 보고 있지만, 영화 쌍화점 속의 주진모의 배역은 ‘공민왕’이며 그와 동성연애를 즐긴 자도 ‘홍림’이 아니라 ‘홍륜’이며 그는 귀족의 자제였다. 또한 왕명으로 홍륜이 합궁한 왕비는 익비 한씨인데, 고려종실 덕풍군 왕의의 딸이며 성은 외가의 성을 따른 것이다. 익비는 후일 이성계에게 옹립교서(양위교서)를 내리기도 했다.)
6. <쌍화점>(2연)의 형성
고려속요가 민가에서 불리던 민요를 원가로 삼았다는 점은 여지없는 사실이다. 원가는 <삼장>이라는 노래로서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충렬왕 25년 5월에 남장별대가 연회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동왕(同王) 25년 이전부터 이 노래가 존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궁중으로 들어오게 된 민요가 궁중악에 맞게 개사 및 편사됨에 따라 단순하게는 후렴구반복구여음이 첨가되거나, 복잡하게는 뜬금없이 다른 노래의 가사가 섞이는 과정을 겪어야만 했다. 예를 들면 - <서경별곡> 2연의 구슬노래가 <정석가>의 6연에 그대로 재현되거나, <만전춘별사>의 3연과 <정과정>의 5~6행이 동일한 것도 민요를 궁중악에 맞게 개사편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난 일이다. 그래서 고려속요의 형성과정을 “가락에 알맞은 재래의 사설을 찾아 새 형태의 우리말 사설을 지어지고, 혹은 재래의 사설과 신전(新傳)의 가락이 맞지 않을 때 그 조절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원가의 수용과 전승을 문제 삼는다고 할 때 노래를 궁중으로 운반한 것은 관기나 관비, 무당이었으며 그들이 갖고 들어온 노래를 그대로 가창한 것이 아니라 교열신성의 과정을 거쳐서 ‘고저완급’의 곡조에 맞춘 노래였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고저완급이 모두 곡조에 맞았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궁중에서 부른 <쌍화점>은 기존의 가락에 알맞은 재래의 사설을 찾아 새 형태의 우리말 사설을 개사편사하는 과정을 겪은 노래였던 것이다.
Ⅱ. 고려가요 여음의 종류와 특성
1. 서론
고려가요는 향가가 쇠퇴하고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우리말 노래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의 노래라고 해서 고려가요라고 하기도 하고, 분연되어 그 형식이 길어지기도 하여 장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려속요는 평민문학이며, 구비문학이다. 한글 창제이후 정착하여 그 특징은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는 조선조 문헌에 기록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음사(淫詞), 사리부재(詞俚不載)라 하여 많은 작품들이 소멸되었다. 고려 속요는 한글창제 이후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게 되고, 이밖에는 가사는 전해지지 않으나 제목과 내용만 전하는 것이 《고려사악지》에 30여 편이 소개되고 있다. 고려가요를 읽다보면 제일 눈에 띄는 것은 여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여음이 시조, 향가 등에는 들어가지 않는데 왜 고려가요에만 생겼는가, 하는 의문이 생겼다. 고려가요의 원작자는 고려시대 평민으로 대부분 미상이다. 그러나 궁중의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악곡에 조예가 깊고 시문에 밝은 신하나 군중에 등재된 관기, 여무, 악공 등이 작가 층으로 참여 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민요로 민간에서 널리 불리던 고려가요가 궁중의 속악가사로 채용, 개편되면서 원래 있던 악곡의 형식에 맞추다 보니 여음이 들어가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럼, 고려가요의 일반적 특징 가운데 이 글에서는 고려속요의 여음의 종류와 기능 및 특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2. 본론
① 여음의 정의
여음(餘音)을 문학적으로 정의하면 구창하는 문학에서 연(聯) 단위에 본 가사의 앞뒤 가운데 있어서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을 의미한다.
즉, 여음이란 시가에 있어서 뜻의 전달보다는 조흥과 조율 및 의미 확장을 기하는 소리(구음)로서 반복에 의해 한 형식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여음의 유래에 대해 먼저, 일을 하면서 생기는 소리를 박자를 맞추어가면서 일부러 속요에 편입시켰을 것이라는 견해와 원래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의에 사용되었을 구문들이 여음으로 편입되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동물의 울부짖음이나 새의 지저귐에 대한 흉내, 바람소리 등의 자연현상에서 생기는 소리를 흉내 내거나, 단순하게 물건을 두드리는 소리 등을 흉내 내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② 여음의 종류
우선, 여음의 종류를 분류해 보자. 여음의 종류는 그 위치상에 있어 ⑴전치여음(前置餘音) ⑵중치여음(中置餘音) ⑶후치여음(後置餘音)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성분상에 있어 ⑴감탄여음(感歎餘音) ⑵의성여음(擬聲餘音) ⑶어사여음(語辭餘音)으로 나눌 수 있다.
○ 위치별 분류
(1). 전치여음
전치여음은 노래의 서두에서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고려 속요 가운데 전치여음을 가지고 있는 노래는 <상저가>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