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능장애와 체온조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능장애와 체온조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흡기능장애
1. 미숙아 무호흡(apnea of prematurity, AOP)
2.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3. 태변흡인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체온조절 (thermoregulation)
1. 보온
2. 보육기
3. 방사보온기

본문내용

감소를 위해 옷을 입히고 담요로 쌈.
- 수건이나 모자를 씌움.
- 신생아실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 침대를 찬바람이 들어오는 문이나 햇볕이나 열이 발생 하는 난방기 가까이 두지 않음.
2. 보육기
- 고위험 신생아의 체온을 유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임.
- 체온을 유지하고 열 조절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줄여줌.
- 자동 온도조절 보육기의 온도는 36~36.5°C 로 맞춤.
- 신생아의 체온과 보육기 온도를 주기적으로 비교.
- 탐지기가 복부에 부착된 경우 복위를 취할 때 체온이 높게 측정되므로, 탐지기를 등의 옆 쪽으로 붙이도록 함.
3. 방사보온기
- 개방형 상사보온기는 간호시 쉽게 접근 할 수 있으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와 극소저출 생 체중아에서는 증발로 인한 수분손실이 50~200%까지 증가하여 탈수를 촉진시키는 원 인이됨.
- 불감 수분손실과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아에게 흘라스틱 랩을 씌우기 도 함.
- 자동 온도조절장치로 보온을 유지하는데 알루미늄으로 된 체온 탐지용 커버를 우상복부 나 제대와 치골결합 사이에 부착.
- 갈색 지방이 많은 부위와 뼈가 돌출된 부위에 탐지기를 붙이면 피부 체온이 정확하게 측 정되지 않을 수 있음.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