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Buffer 제조법(Tris, Sodium phosphate buffer 대표적)
(2) Sodium phosphate buffer
(3) 완충용액
(4) 혈액의 완충 작용
*완충제의 선택시 주의 사항
(2) Sodium phosphate buffer
(3) 완충용액
(4) 혈액의 완충 작용
*완충제의 선택시 주의 사항
본문내용
방법
① 증류수 70~80ml를 준비한다.
② 0.05M Monobasic용액 100ml에 필요한 질량을 구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③ 시료와 증류수를 비커에 넣고 magnetic bar를 넣어 stirrer에서 300RPM으로
돌려준다.
④ 용액을 pH meter에 연결하여 auto pipet을 이용하여 pH=7.0이 될 때 까지 HCl을 넣어준다.
⑤ 총 100ml를 만들어야 하므로 100-(시료 수용액 양+HCl 양)=100-(80+3.3)=16.7
즉, 이 용액에 증류수 16.7ml를 넣어주면 0.05M Sodium phosphate buffer 100ml가 된다.
2) Monobasic와 Dibasic을 섞어가면서 pH를 맞추는 방법
① 필요한 Monobasic의 양과 Dibasic의 양을 구한다.
② beaker에 증류수 100ml와 Monobasic과 Dibasic 시료를 넣은 후 magnetic bar를 넣어 stirrer에서 300RPM으로 돌려준다.
③ pH meter에 수용액의 pH를 측정한다.
Ⅳ. Result & Discussion
Buffer method
method1
method2
Tris buffer
pH=8.0
pH=8.34
Sodium phosphate buffer
pH=7.02
pH=6.61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method1과 method2의 pH의 차이는 크게 없었다.
약간의 오차가 있긴 하지만 소수점 단위의 작은 오차이고, buffer용액에서 pH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염 또는 약염기와 그 염으로 구성되는데, 약산과 약염기의 해리 특성에 의하여 완충용액의 pH는 쉽게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적당한 산이나 염기 를 그들의 염과 조합하면 일정한 pH 범위에서 완충능력을 나타내는 완충용액을 조제 할 수 있다. 완충용액의 완충능력은 완충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에 비례하는데, 완충용액의 농도는 약산(약염기)과 그 염의 농도를 합한 것이다.
생물에 있어서 완충작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혈장은 pH의 변화를 0.2 이내로 유지하는 거의 완벽하고 이상적인 완충용액이다. 즉, 혈장의 pH는 촉매인 효소의 촉매작용도 일정한 pH에서 최대가 된다. 대부분의 식품은 산성 범위에 서 완충작용을 지니고 있다.
Ⅴ. References
이근보 외 2명, 『식품화학』, 유한문화사, 2006, pp.71~74
① 증류수 70~80ml를 준비한다.
② 0.05M Monobasic용액 100ml에 필요한 질량을 구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③ 시료와 증류수를 비커에 넣고 magnetic bar를 넣어 stirrer에서 300RPM으로
돌려준다.
④ 용액을 pH meter에 연결하여 auto pipet을 이용하여 pH=7.0이 될 때 까지 HCl을 넣어준다.
⑤ 총 100ml를 만들어야 하므로 100-(시료 수용액 양+HCl 양)=100-(80+3.3)=16.7
즉, 이 용액에 증류수 16.7ml를 넣어주면 0.05M Sodium phosphate buffer 100ml가 된다.
2) Monobasic와 Dibasic을 섞어가면서 pH를 맞추는 방법
① 필요한 Monobasic의 양과 Dibasic의 양을 구한다.
② beaker에 증류수 100ml와 Monobasic과 Dibasic 시료를 넣은 후 magnetic bar를 넣어 stirrer에서 300RPM으로 돌려준다.
③ pH meter에 수용액의 pH를 측정한다.
Ⅳ. Result & Discussion
Buffer method
method1
method2
Tris buffer
pH=8.0
pH=8.34
Sodium phosphate buffer
pH=7.02
pH=6.61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method1과 method2의 pH의 차이는 크게 없었다.
약간의 오차가 있긴 하지만 소수점 단위의 작은 오차이고, buffer용액에서 pH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염 또는 약염기와 그 염으로 구성되는데, 약산과 약염기의 해리 특성에 의하여 완충용액의 pH는 쉽게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적당한 산이나 염기 를 그들의 염과 조합하면 일정한 pH 범위에서 완충능력을 나타내는 완충용액을 조제 할 수 있다. 완충용액의 완충능력은 완충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농도에 비례하는데, 완충용액의 농도는 약산(약염기)과 그 염의 농도를 합한 것이다.
생물에 있어서 완충작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혈장은 pH의 변화를 0.2 이내로 유지하는 거의 완벽하고 이상적인 완충용액이다. 즉, 혈장의 pH는 촉매인 효소의 촉매작용도 일정한 pH에서 최대가 된다. 대부분의 식품은 산성 범위에 서 완충작용을 지니고 있다.
Ⅴ. References
이근보 외 2명, 『식품화학』, 유한문화사, 2006, pp.71~74
키워드
추천자료
삼양식품 재무분석
[전략적 원가관리]서울식품 원가분석
식품위생의 총체적 분석과 식품위생대책
[웰빙][웰빙족][웰빙식품][웰빙음식]웰빙의 개념, 웰빙의 등장배경, 웰빙의 트렌드, 웰빙족의...
[단체급식관리]식품구매 관련 정보검색 사이트 별 경제적 측면의 정보에 대한 분석
[환경]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해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요소로 분류하여 기...
[경영학/금융론A+] (주)오리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국내식품시장 분석
[식품미생물학A]유전 물질 DNA의 물리화학적 구조와 미생물에 의한 이들 유전물질의 교환방법...
[부정, 부정과 부정부패, 부정과 부정감정, 부정선거, 부정식품, 회계부정, 시험부정행위]부...
동서식품 KANU 카누 vs 스타벅스 비아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카누, 비아 핵심역량분석과 SW...
【식품화학실험】 07 - 유지의 TBA값 측정
【식품화학실험】 03 - 조지방 측정 실험 Soxhlet법 (과제 탈지면, 지질정량법, 지질의 기초 ...
[식품위생학 공통] 1.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의 정의와 위해분석(HA)와 중요관리점(CCP...
식품산업 환경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