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1 page
Ⅰ.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의 대상 및 기간
3.연구방법
- 본 론 -
∥. 문헌고찰--------------------------------------------1~7page
1. 뇌졸중
2. 뇌졸중 종류
3. 증상&징후
4. 합병증
5. 진단
6. 치료
Ⅲ. CASE STUDY
♣사례보가양식---------------------------------------7~18 page
patient profile
Ⅰ.일반정보 Ⅱ.병력 Ⅲ.신체검진 Ⅳ.간호진단&중재를 위한도구
Ⅴ.임상소견 Ⅵ.약물
Ⅶ.간호과정------------------------------------19-22 page
#1. 뇌압상승과 관련된 통증
#2.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 부동자세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결 론 - -------------------------------------------22 page
* 느낀점
* 참고문헌
Ⅰ.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의 대상 및 기간
3.연구방법
- 본 론 -
∥. 문헌고찰--------------------------------------------1~7page
1. 뇌졸중
2. 뇌졸중 종류
3. 증상&징후
4. 합병증
5. 진단
6. 치료
Ⅲ. CASE STUDY
♣사례보가양식---------------------------------------7~18 page
patient profile
Ⅰ.일반정보 Ⅱ.병력 Ⅲ.신체검진 Ⅳ.간호진단&중재를 위한도구
Ⅴ.임상소견 Ⅵ.약물
Ⅶ.간호과정------------------------------------19-22 page
#1. 뇌압상승과 관련된 통증
#2.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 부동자세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결 론 - -------------------------------------------22 page
* 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염증.
성인1일600-1200mg을2-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
린코마이신이나 클린다마이신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근육주사시 동통,식도염,구내염,두드러기,홍반, 부종,가려움, 질염.
Newfenac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강직성 척추염, 외상후 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중증의 경우에는 90mg씩 1일 2회 투여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둔부 양쪽에 번갈아 한번씩 주사.
소화성궤양 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신생아, 미숙아
쇽: 드물게 쇽증상/소화기:드물게 소화성궤양,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설사, 구갈/혈액:드물게 과립구 감소.
Perdipine
수술시 이상고혈압의 구급처치,응급성 고혈압증.
NS또는 5%포도당주상액으로희석하여,0.01-0.02%용액을 점적 정주.
두 개내출혈로서 지혈이 되지 않았따고 추정되는 환자.뇌졸중 급성기로 두 개내막이 항진되어 있는 환자.
안면홍조,전신권태감,간기능장애,크레아틴상승.
Naloxone
마약길항진통제,일산화탄소 중독성 쇽의 개선
NS또는5%dextrose 용액에 희석할 수 있으며,각 용액500ml에 염산 날록손 2mg 혼합.
본제에 과민증 또는 기왕력자
마약 등에 의한 호흡억제의 갑작스런 역전은 구역,구토,발한, 빈맥,흉부고민감,혈압증가,심정지
Fibrix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출혈 예방 및 치료, 특히 전립선 수술시, 분만시의 출혈,습진 및 각종 염증
성인:1일 10-30mg을 근육주사 또는 천천히 정맥주사하거나 수액류에 혼합하여 점적 정맥주사.
임신초기의 임부,중증 신부전 환자, 유리체 출혈 환자, 과다응고 환자.
내약성이 좋으므로 장기 사용할 수 있으나 극소수 증례에서 혈압에서 파동, 때때로 빈맥등이 주사 중 또는 즉시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구영, 구토 설사 등 나타날 수 있다.
proben
뇌혈관 및말초순환장애.
성인1회1-2앰플(2-4ml)1일3회 근육또는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중증의 고혈압 환자. 위십이지장궤양 환자.
구역,구토,심계항진,발진,수면장애.
mannitol
수술중,후 외상후의 급성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두개내압 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1회1-3g/kg을 20%액으로 점적 정맥주사한다.
급성두개내 혈종이 있는 환자. 시한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 페부종환자.
드물게 흉부압박감,협심증,빈맥, 고혈압,전해질평형실조,고칼륨혈증.
Ⅷ. 간호과정
#1. 뇌압상승과 관련된 통증 (1/7~)
간호사정
주관적: \"머리아파~ 아파~ \"
객관적: 얼굴을 찡그리시며 눈을 강하게 감고 계심.
1/7 CT-우측 외포에 생긴 뇌출혈, 양측 측뇌실 주위에 보이는 허혈성 뇌백질 변화 및 석회화된 죽상 동맥경화증
사정도구
통증정도:심하다. 통증이 얼굴에 나타나는가?: 예
통증부위: 두부 통증형태:간헐적
1/8 9am-BP 185/80
간호목표
장기목표: 15일까지 환자의 통증호소가 없다
단기목표:12일까지 환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1. 1시간마다 v/s check (SBP<140)
2. 신체선열을 취하도록 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SBP 140↑시perdipine 투여 )
4.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1.활력징후를 관찰하면서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2.머리를 상승시키므로써 뇌압을 감소시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3..진통제는 대상자의 통증지각을 감소시키고 불편함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4.조용한 환경은 환자의 불안한 심리를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1. 1시간 마다 v/s check.
2.머리를 30도 정도 상승시키며 2시간마다 right lateral position, supine position, left lateral position번갈아 가면서 position change를 시행하였다.
3.1/8 9am 에 SBP>140 되자 perdipine 3mg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시간
1/8 9am
9:15am
9:30am
BP
185/90
170/60
120/60
1/7 headache complaine으로 D-patch 25mcg/h apply
(durogesic patch 25mcg/h- 패치.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만성통증)
proben 2mL 1ⓐ, cerebrain 0.5mgⓐ (q12hr)마다 투여하는것 관찰함.
4.환자 주변환경을 조용하게 하였고 면회시간에 보호자가 환자 옆에 있으면서 환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12일 편안한 표정으로 잠자는 것을 관찰하였다.
BP stable인 것을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1/12~)
간호사정
1/12
PaO2
58.1mmHg
객관적: ABGA 검사
숨쉴때 \'쌕쌕\'거리는 소리 들림
V/S-1pm 140/70 RR:19 SpO2:93% (NP-2L중)
간호목표
장기목표: 15일까지 ABGA 검사시 PaO2가 90mmHg이상 된다
단기목표:12일까지 SpO2:97~100%된다
간호계획
1.적절한 O2를 공급한다.
2.Nebulizer를 통해 atrvent을 투여한다.
3.2시간마다 position change를 해준다.
4.깊을 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격려한다.
이론적근거
1.적절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PaO2의 수치를 증가시킴.
2.atrvent는 기관지확장제로 호흡을 격려함.
3..체위의 잦은 변경은 호흡을 용이하게한다.
간호수행
1. 2pm-NP 2L→5L로 공급. 150/74 RR:24 SpO2:94%
날짜
12일
13일
14일
15일
호흡수
18
22
20
20
주관적사정
힘들다
힘들다
조금편해짐
조금편해짐
3pm-mask 로 바꾸며 8L공급. 140/80 RR:24 SpO2:99%
2.5pm Nebulizer 하는것 관찰함
3.2시간마다 right lateral position, supine position, left lateral position번갈아 가면서 position change를 시행하였다.
4.환자분 옆에서 깊은 호흡하도록 옆에서 \"환자분 깊이 천천히 숨쉬세요\"라고 말함.
간호평가
12일 3pm SpO2:99% 관찰함을 통해 단기목표 달성됨.
\'쌕
성인1일600-1200mg을2-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
린코마이신이나 클린다마이신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근육주사시 동통,식도염,구내염,두드러기,홍반, 부종,가려움, 질염.
Newfenac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강직성 척추염, 외상후 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중증의 경우에는 90mg씩 1일 2회 투여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둔부 양쪽에 번갈아 한번씩 주사.
소화성궤양 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신생아, 미숙아
쇽: 드물게 쇽증상/소화기:드물게 소화성궤양,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설사, 구갈/혈액:드물게 과립구 감소.
Perdipine
수술시 이상고혈압의 구급처치,응급성 고혈압증.
NS또는 5%포도당주상액으로희석하여,0.01-0.02%용액을 점적 정주.
두 개내출혈로서 지혈이 되지 않았따고 추정되는 환자.뇌졸중 급성기로 두 개내막이 항진되어 있는 환자.
안면홍조,전신권태감,간기능장애,크레아틴상승.
Naloxone
마약길항진통제,일산화탄소 중독성 쇽의 개선
NS또는5%dextrose 용액에 희석할 수 있으며,각 용액500ml에 염산 날록손 2mg 혼합.
본제에 과민증 또는 기왕력자
마약 등에 의한 호흡억제의 갑작스런 역전은 구역,구토,발한, 빈맥,흉부고민감,혈압증가,심정지
Fibrix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출혈 예방 및 치료, 특히 전립선 수술시, 분만시의 출혈,습진 및 각종 염증
성인:1일 10-30mg을 근육주사 또는 천천히 정맥주사하거나 수액류에 혼합하여 점적 정맥주사.
임신초기의 임부,중증 신부전 환자, 유리체 출혈 환자, 과다응고 환자.
내약성이 좋으므로 장기 사용할 수 있으나 극소수 증례에서 혈압에서 파동, 때때로 빈맥등이 주사 중 또는 즉시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구영, 구토 설사 등 나타날 수 있다.
proben
뇌혈관 및말초순환장애.
성인1회1-2앰플(2-4ml)1일3회 근육또는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중증의 고혈압 환자. 위십이지장궤양 환자.
구역,구토,심계항진,발진,수면장애.
mannitol
수술중,후 외상후의 급성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두개내압 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1회1-3g/kg을 20%액으로 점적 정맥주사한다.
급성두개내 혈종이 있는 환자. 시한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 페부종환자.
드물게 흉부압박감,협심증,빈맥, 고혈압,전해질평형실조,고칼륨혈증.
Ⅷ. 간호과정
#1. 뇌압상승과 관련된 통증 (1/7~)
간호사정
주관적: \"머리아파~ 아파~ \"
객관적: 얼굴을 찡그리시며 눈을 강하게 감고 계심.
1/7 CT-우측 외포에 생긴 뇌출혈, 양측 측뇌실 주위에 보이는 허혈성 뇌백질 변화 및 석회화된 죽상 동맥경화증
사정도구
통증정도:심하다. 통증이 얼굴에 나타나는가?: 예
통증부위: 두부 통증형태:간헐적
1/8 9am-BP 185/80
간호목표
장기목표: 15일까지 환자의 통증호소가 없다
단기목표:12일까지 환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1. 1시간마다 v/s check (SBP<140)
2. 신체선열을 취하도록 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SBP 140↑시perdipine 투여 )
4.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1.활력징후를 관찰하면서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2.머리를 상승시키므로써 뇌압을 감소시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3..진통제는 대상자의 통증지각을 감소시키고 불편함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4.조용한 환경은 환자의 불안한 심리를 감소시킨다.
간호수행
1. 1시간 마다 v/s check.
2.머리를 30도 정도 상승시키며 2시간마다 right lateral position, supine position, left lateral position번갈아 가면서 position change를 시행하였다.
3.1/8 9am 에 SBP>140 되자 perdipine 3mg 투여하는 것을 관찰함.
시간
1/8 9am
9:15am
9:30am
BP
185/90
170/60
120/60
1/7 headache complaine으로 D-patch 25mcg/h apply
(durogesic patch 25mcg/h- 패치.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만성통증)
proben 2mL 1ⓐ, cerebrain 0.5mgⓐ (q12hr)마다 투여하는것 관찰함.
4.환자 주변환경을 조용하게 하였고 면회시간에 보호자가 환자 옆에 있으면서 환자를 정서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12일 편안한 표정으로 잠자는 것을 관찰하였다.
BP stable인 것을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1/12~)
간호사정
1/12
PaO2
58.1mmHg
객관적: ABGA 검사
숨쉴때 \'쌕쌕\'거리는 소리 들림
V/S-1pm 140/70 RR:19 SpO2:93% (NP-2L중)
간호목표
장기목표: 15일까지 ABGA 검사시 PaO2가 90mmHg이상 된다
단기목표:12일까지 SpO2:97~100%된다
간호계획
1.적절한 O2를 공급한다.
2.Nebulizer를 통해 atrvent을 투여한다.
3.2시간마다 position change를 해준다.
4.깊을 호흡을 하도록 옆에서 격려한다.
이론적근거
1.적절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PaO2의 수치를 증가시킴.
2.atrvent는 기관지확장제로 호흡을 격려함.
3..체위의 잦은 변경은 호흡을 용이하게한다.
간호수행
1. 2pm-NP 2L→5L로 공급. 150/74 RR:24 SpO2:94%
날짜
12일
13일
14일
15일
호흡수
18
22
20
20
주관적사정
힘들다
힘들다
조금편해짐
조금편해짐
3pm-mask 로 바꾸며 8L공급. 140/80 RR:24 SpO2:99%
2.5pm Nebulizer 하는것 관찰함
3.2시간마다 right lateral position, supine position, left lateral position번갈아 가면서 position change를 시행하였다.
4.환자분 옆에서 깊은 호흡하도록 옆에서 \"환자분 깊이 천천히 숨쉬세요\"라고 말함.
간호평가
12일 3pm SpO2:99% 관찰함을 통해 단기목표 달성됨.
\'쌕
추천자료
중환자실 케이스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응급실ER케이스스터디]뇌수종.뇌출혈케이스스터디
뇌출혈 문헌고찰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case study
뇌출혈 환자 case study
뇌내출혈(ICH : Intra Cerebral Hemorrhage)환자 간호사례연구
ich, 뇌내출혈 케이스
뇌내출혈 [의학논문]
뇌졸중 중 뇌출혈 A+ 받은 케이스입니다.
의학 - 뇌출혈에 모든것
기본간호 실습레포트이며 뇌내출혈에 관한 간호과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뇌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
뇌출혈 Case Study / ICH(Intracerebral hemorrhage) Case Study / 응급실 Case Study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