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복원제의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기복원제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문헌에 나타난 도자기 보존처리 역사
1.1 산림경제(기와와 돌을 붙이는 법)
1.2 산림경제(자기 붙이는 법)
1.3 규합총서(사기그릇, 질그릇 붙이는 법)
1.4 규합총서(독그릇 붙이는 법)

* 도토기 복원 재료
1 유기물 접착제
2 무기물 접착제
3. 합성수지 접착제

본문내용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금속문화재 보존처리에만 사용되고 있다.
또한 Paraloid B-72는 1960년부터 물을 차단하기 위한 표면 처리제 및 석재의 보강제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석재표면이 변화되고 색상이 어두어지며, 처리된 표면은 공기중의 먼지를 흡수하고, 발수 효과가 짧은 등의 이유로 1985년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오래 전부터 문화재 수리복원에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수지는 순간접착제로 알려져 있는 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이다. 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소량의 물분자에 의해서도 음이온 중합이 시작되어 접착 물체에 즉시 접착된다. 그러나 이렇게 강하게 접착하지만 부서지기 쉽고 충격에 약한 것이 흠이다.
현재 아크릴 수지는 에멀젼 타입으로 단청용 접착제, 철기 경화제, 벽화 및 유적지 토층 경화용, 철기 경화제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3.5 실리콘수지
실리콘수지는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으로 상온에서 공기중 또는 석재중에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무기고분자인 폴리실록산 유도체를 생성시켜 안정된 화합물로 석재와 공존한다.
생성되는 실리콘유도체는 열적 및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물질로서 석재와 상용성도 매우 좋다. 또한 방수효과, 표면강화, 열에 대한 저항력증가 및 기계적 강도를 증가하여 준다.
3.6 초산비닐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유규 및 벽화 경화제, 도료용, 접착제로 이용되고 물, 아세톤, 알코올, 톨루엔 등이 용매로 사용된다. 유리전이온도가 약 28℃로 무르고 무정형 고분자이며 벽화보존처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3.7 우레탄수지
폴리 우레탄은 글리콜과 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의 반응으로 생긴다. 다이올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것들을 잘 선택하면 경질 포옴과 연질 포옴, 플라스틱, 탄성체 등을 만들 수 있다.
문화재 수리 복원용으로는 토양 및 목재 경화재, 유구 및 유물 수거용 등이 사용되고 있다.
* 박물관 보존과학 6집/ 도자기 보존을 위한 복원제의 특성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 도자기 복원재료 연구/양필승, 문선영/서울 역사 박물관
* 문화재 수리복원 재료의 동향-특히 합성수지 중심으로-/김사덕, 강대일
-차 례-
* 문헌에 나타난 도자기 보존처리 역사
1.1 산림경제(기와와 돌을 붙이는 법)
1.2 산림경제(자기 붙이는 법)
1.3 규합총서(사기그릇, 질그릇 붙이는 법)
1.4 규합총서(독그릇 붙이는 법)
* 도토기 복원 재료
1 유기물 접착제
2 무기물 접착제
3. 합성수지 접착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