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선덕여왕 궁금증 해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덕여왕]선덕여왕 궁금증 해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왕위에 오른 배경
2. 왕의 자질
3. 선덕여왕의 통치와 불교

Ⅲ. 결 론

본문내용

왕대에 만들어진 첨성대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일연의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 시대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에는 첨성대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이 특이할 만하다. 이는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썼을 때 일연이 보았던 신라의 자료를 보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첨성대는 별을 관측하는 건물이라고 불렸다. 이 명칭 때문에 고려 말이나 조선 초에도 첨성대가 천문 관측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선덕여왕 2년(63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고, 조선 말기에 편찬된 증보문헌비고는 선덕여왕 16년(647년)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나와 있다.
첨성대는 높이 9.108미터, 밑지름이 4.93미터, 윗지름이 2.85미터이며 밑에서 4.16미터 되는 곳에 정남쪽으로 한 변의 길이가 1미터인 정사각형의 창문을 낸 병 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선덕여왕(신라 제27대 왕)을 상징하는 27단으로 쌓았고, 이 27단과 정상부의 정자석까지 합하면 모두 28단이 되는데, 이 28수는 기본 별자리를 의미한다. 여기에 맨 밑의 기단까지 합하면 29개가 되는데 이것은 음력 한 달의 날수에 해당된다. 또 중앙의 창문까지가 12단이고 다시 창문에서 윗부분까지도 역시 12단인데, 이것은 일 년 열두 달과 24절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첨성대를 쌓은 돌은 거의 365개 정도인데 이것은 일 년의 길이를 염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단석은 동서남북 4 방위에 맞추고 있으며 맨 위의 정자석은 그 중앙을 갈라 8 방위에 맞추고 있다. 창문이 정남향으로 나 있는 이유는 태양이 비칠 때 춘분, 하지, 추분, 동지를 측정하기 위해서였다.
선덕여왕은 관측 건물을 만들어 자연재해를 미리 예측하려고 했던 것이다. 선덕여왕이 예지력을 갖추고 있고, 약간의 신기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에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다.
Ⅲ. 결 론
한반도의 고대사회에 여왕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고 의미를 부여할 만한 일이다. 특히, 신라에서만 여왕이 나왔다는 것은 더욱 흥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인 골품제도와 가장 연관이 깊고, 파벌 싸움에 있어 여성의 지위가 신분의 지위 이하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철저한 계급제 사회에서 여성이란 신분도 명분이 있고, 세력이 있으면 여왕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마지막 여왕이었던 진성여왕 때에는 전에부터 계속되어 왔던 신분제를 앞세운 약탈과 착취로 인해 신라의 막바지 길에 도달하기는 했어도 이것이 모두 여왕의 잘못만 탓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오히려 선덕여왕은 인과 덕을 가지고 예지력을 갖추고, 조상을 섬기면서도 정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다 한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측근들을 모으는 것과 불교를 장려한 일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선덕여왕의 사례를 본받아 인과 덕으로 사람들을 보살피는 여성들이 정치와 경제 등 사회 각 분야에 늘어나야 한다. 단순히 남녀의 차별을 넘어 남들에게 모범을 보이는 여성 지도자들이 계속 나오길 희망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1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