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개요
2. 우리나라의 전통 복식
1)우리나라 복식의 특징
2)선사시대
3)삼국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4)조선시대
5)해방~현대 (1945년~2000년)
-제1기(1945~1960)의 복식
-제2기(1960~1990)의 복식
3. 아기들의 옷
4. 느낀점
5. 참고문헌
1. 개요
2. 우리나라의 전통 복식
1)우리나라 복식의 특징
2)선사시대
3)삼국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4)조선시대
5)해방~현대 (1945년~2000년)
-제1기(1945~1960)의 복식
-제2기(1960~1990)의 복식
3. 아기들의 옷
4. 느낀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이유가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첫째, 아기 옷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돌 옷 차림은 현재까지도 이어져왔고 둘째, 명절 등 경사시에 입었던 의례복 또한 돌 옷 차림과 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그리고 서양문화의 유입, 섬유산업의 발달로 메리야스류의 신생아 옷들이 시판되면서 전통적인 배내옷, 백일 옷 등이 점차 사라졌다 * 석주선기념박물관 지음,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2
.
배냇저고리
목욕 후 처음 입히는 옷으로서 깃과 섶을 달지 않고 만든다. 고름대신 길게 실끈은 만들어 달아주며 수명장수를 기원하였다. 명주나 고움 무명 융 등 부드러운 흰색 옷감으로 겨울에는 누비로, 봄과 가을에는 얇은 누비나 겹으로 만들었다.
두렁치마
두렁이라고도 하며 남녀아기모두에게 입히는 치마로서 무명, 명주, 융 등으로 만들었다. 뒷부분이 뚫려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이유는 누워있는 아기에게 뒤가 배기지 않도록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아기에게 기저귀를 갈기에도 편리하고 하체를 덮어주는 기능적이 옷이다.(그림7)
백일 옷
백일 동안 잘 자라주었음을 축하하는 날에 입는 옷이다. 아이의 발육이 백일이라는 큰 고비를 넘겼고 이 시기의 유아 사망률이 최고로 보이는 사실에서 백일축하는 큰 의미를 갖는다. 백일 날 아기 옷은 아들, 딸 구분하지 않고 주로 흰색의 풍차바지나 저고리를 입혔다. 계절에 따라 누비옷, 솜옷, 겹옷으로 지어 주었다. 특히 백일 날 아기 옷은 백 줄을 누빈 누비저고리나 백 조각을 이어서 만든 수명장수를 기원했다고 한다.
4. 느낀점
도서관에서 책을 찾고 인터넷에서 사진자료를 찾으면서 한복에도 굉장히 종류가 많고, 특히 조선왕조의 왕실의 옷을 정말 다양하다는 것에 놀랐다. 또 사극에서 자주 접하는 조선시대의 한복들을 익숙하지만 고구려, 백제, 신라 이 삼국시대의 의복들은 잘 몰랐다. 물론 기록도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그래도 조선시대와는 또 다른 특징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즘 우리나라는 한복을 1년에 한 차례도 입지 않는 해가 많다. 집안 결혼식이나 회갑연 등 큰 행사가 있을 때가 아니고서는 명절 때도 잘 입지 않기 때문이다. 이웃나라 일본은 성년식이나 시(市)의 축제 등 즐겁거나 축하할 일이 있으면 기모노를 입는다. 또 교토 같은 옛 일본의 고풍스런 도시에 가보면 기모노 입은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우리도 이본처럼 한복을 많이 입고 다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민속학 수업에서 배웠던 통과의례나 민간신앙 등 여러 요소들이 의복에 포함되어있음을-특히 아기들 옷에서 많이 나타났다. 이 레포트에는 없지만 배꼽 주머니 등-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책과 자료들을 보면서 전통 의복에 대한 조사를 깊진 않지만 조금이나마 접해 볼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였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한국복식명품)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 판부, 2005 p.6~8
* 고부자, 『우리생활 100년·옷』, 현암사 , 2001
*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 『우리 옷 이천년』,미술문화 ,2001
* 석주선기념박물관 지음,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2
* 조효순, 『한국인의 옷』, 밀알 , 1995
* 이은창,『한국 복식 역사 (고대편) 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2000
* 백영자, 최해율, 『한국 복식의 역사』, 경춘사 , 2004
* 쓰지하라 야스오, 『문화와 역사가 담긴 옷 이야기』, 혜문서관 , 2007
*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아시아 전통복식』, 교문사 , 2004
* 네이버 이미지
.
배냇저고리
목욕 후 처음 입히는 옷으로서 깃과 섶을 달지 않고 만든다. 고름대신 길게 실끈은 만들어 달아주며 수명장수를 기원하였다. 명주나 고움 무명 융 등 부드러운 흰색 옷감으로 겨울에는 누비로, 봄과 가을에는 얇은 누비나 겹으로 만들었다.
두렁치마
두렁이라고도 하며 남녀아기모두에게 입히는 치마로서 무명, 명주, 융 등으로 만들었다. 뒷부분이 뚫려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 이유는 누워있는 아기에게 뒤가 배기지 않도록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아기에게 기저귀를 갈기에도 편리하고 하체를 덮어주는 기능적이 옷이다.(그림7)
백일 옷
백일 동안 잘 자라주었음을 축하하는 날에 입는 옷이다. 아이의 발육이 백일이라는 큰 고비를 넘겼고 이 시기의 유아 사망률이 최고로 보이는 사실에서 백일축하는 큰 의미를 갖는다. 백일 날 아기 옷은 아들, 딸 구분하지 않고 주로 흰색의 풍차바지나 저고리를 입혔다. 계절에 따라 누비옷, 솜옷, 겹옷으로 지어 주었다. 특히 백일 날 아기 옷은 백 줄을 누빈 누비저고리나 백 조각을 이어서 만든 수명장수를 기원했다고 한다.
4. 느낀점
도서관에서 책을 찾고 인터넷에서 사진자료를 찾으면서 한복에도 굉장히 종류가 많고, 특히 조선왕조의 왕실의 옷을 정말 다양하다는 것에 놀랐다. 또 사극에서 자주 접하는 조선시대의 한복들을 익숙하지만 고구려, 백제, 신라 이 삼국시대의 의복들은 잘 몰랐다. 물론 기록도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그래도 조선시대와는 또 다른 특징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즘 우리나라는 한복을 1년에 한 차례도 입지 않는 해가 많다. 집안 결혼식이나 회갑연 등 큰 행사가 있을 때가 아니고서는 명절 때도 잘 입지 않기 때문이다. 이웃나라 일본은 성년식이나 시(市)의 축제 등 즐겁거나 축하할 일이 있으면 기모노를 입는다. 또 교토 같은 옛 일본의 고풍스런 도시에 가보면 기모노 입은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우리도 이본처럼 한복을 많이 입고 다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민속학 수업에서 배웠던 통과의례나 민간신앙 등 여러 요소들이 의복에 포함되어있음을-특히 아기들 옷에서 많이 나타났다. 이 레포트에는 없지만 배꼽 주머니 등-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책과 자료들을 보면서 전통 의복에 대한 조사를 깊진 않지만 조금이나마 접해 볼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였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한국복식명품)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 판부, 2005 p.6~8
* 고부자, 『우리생활 100년·옷』, 현암사 , 2001
*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 『우리 옷 이천년』,미술문화 ,2001
* 석주선기념박물관 지음,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2
* 조효순, 『한국인의 옷』, 밀알 , 1995
* 이은창,『한국 복식 역사 (고대편) 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2000
* 백영자, 최해율, 『한국 복식의 역사』, 경춘사 , 2004
* 쓰지하라 야스오, 『문화와 역사가 담긴 옷 이야기』, 혜문서관 , 2007
*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 『아시아 전통복식』, 교문사 , 2004
* 네이버 이미지
추천자료
한국전통의식주, 한국전통춤, 한국전통악기, 한국전통음식 분석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청국장과 간장,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고추장과 된장, 한국전통식...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
한국전통공예(공예상품, 공예산업)의 정의, 한국전통공예(공예상품, 공예산업)의 흐름과 개량...
한국전통문양의 의미, 전통문양교육(한국전통문양학습)의 개념, 전통문양교육(한국전통문양학...
한국전통음악(국악) 의미, 한국전통음악(국악) 분류, 한국전통음악(국악) 특성, 한국전통음악...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필요성,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가락부호와 구음 및 ...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정의와 의의,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지도내용...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한국전통문양학습(전통문양교육)의 필요성, 한국전통문양학습(전통문양...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의 의의와 특징,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용, 한국전통음악...
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전통미술감상지도)의 개념과 가치, 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전통미술감상...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기본음과 운지법,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호흡법, 한국전...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역사,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기호와 장식음, 한국전통악...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중요성, 한국전통음악지도(국악교육)의 장단지도, 창작지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