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축일기]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계축일기]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본론
1) 원문발췌
* 발췌원문 해독
2) 「계축일기」 내용
* 계축일기에서 묘사된 광해군의 모습을 간단히 정리
3) 「계축일기」 분석
4) 「계축일기」의 문학적 특징
5) 「계축일기」의 가치

3. 결론

- 작품 감상 -

※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 500년의 역사에서 연산군과 광해군은 폭군으로 기억되고 있는 왕이다. 하지만 나는 연산군이 천륜을 어기고 정치를 도외시한 왕이라고 한다면 광해군은 국가를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한 현군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말해서 광해군 만큼 현명하고 훌륭한 군주도 없었다고 생각한다. 광해군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에 전후복구사업과 군사력을 키우는 전력을 다했으며, 당대 최고의 명의라고 할 수가 있는 허준으로 하여금 <동의보감>을 편찬하게 하여 백성들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힘썼으며, 대동수미법 실시로 소작농으로 일하는 백성들의 부담을 최대한으로 줄이고, 도성을 한양에서 파주로 옮기려는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대외적으로는 명과 후금사이에서 중립을 지켜서 조선이 전란에 휘말리지 않게 하였고, 명과 후금이 전쟁을 하는 틈을 타서 조선이 중국과 대등한 지위를 갖는 국가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 왕이다.
이렇게 광해군을 성군으로 보는 나의 생각과는 반대로 광해군을 폭군으로 보는 역사서를 연구하기 위해서 그중의 하나인 계축일기를 연구하고자 한다.
2. 본론
일변으로, 대군(大君) 뫼온 내인(內人)들이 대군 아기시 달래되,
“사나흘만 피접 피졉 : 병 등으로 자리를 옮겨 요양함.
낫다가 올 거시니, 보션 신고 웃옷 닙고 날조차 나가사이다.”
니 니시되,
“죄인이라 하고 죄인 나드 문으로 내여 가라 니, 죄인이 보션 신고 웃옷 닙어 데 업다.”
셔,
“뉘셔 그리 니더니잇가?”
대답시되,
“이 닐너 알가? 내 다 아랏네. 쇼셔문(小西門) 쇼셔문 : 서소문. 이 문 밖에 있어서 죄인이 나가는 문.
은 죄인 나드 문이니, 나도 죄인이라 고 그 문 밧긔다 가두려 다.”
고,
“나과 누으님조차 가면 가려니와, 내 혼자 못 갈노라.”
시니, 우흔 더옥 텬지(天地) 망극히 우오시더라.
어셔 내라 재촉며,
“아니 내여 주거든 내인을 다 잡아 내라.”
: 자꾸만
사람 브리더라.
대군 뫼온 김 샹궁(金尙宮)을 겟내인이 잡아 내여,
“더욱 울고 아니 뫼셔 내니, 하옥(下獄)라 신다.”
니,
“아모리 달내여 ‘나가사이다.’ 이대도록 데, 뎌리 우시고 죄인 나드 쇼셔문으로 나가랴 하시니, 아모리 아기시인들 이러 거든 엇디 이리 핍박(逼迫)야 보채고? 내 뫼셔 나갈 거시니, 져근덧 져근덧 : 잠깐동안
믈너서라.”
날은 느저 가고 민망여, 힐(詰)우다가 힐(詰)우다가 : 힐난하다가, 트집을 잡아 거북할 만큼 따지고 들다가
못 여 우흔 뎡 샹궁(商宮)이 업고, 공쥬 아기시 쥬 샹궁이 업고, 대군 아기시 김샹궁이 업와시니, 대군이 되,
“웃뎐과 누으님과 몬져 셔시고, 나 뒤헤 셔디라.\"
셔늘,
\"엇디 그리 셔라 시고?\"
니,
“내 몬져 셔면 날만 내고 다 아니 나오실 거시니, 나 보 데셔 가사이다.”
시더라.
우흔 짓의데예 짓의데예 : 깃의대. 표백안한 무명 상복. \'의대\'는 옷의 궁중어
짓보 짓보 : 깃무명으로 만든 보자기
덥삽고, 두 아기시는 남보 덥사와 각각 업사와 자비문(備門)에 다다라더니, 내관(內官) 이 십여 인이나 업데여,
“어셔 내쇼셔.”
야더니, 우히 내관려 니오시되,
“너희도 션왕 녹을 오래 먹고 사라시니, 현마 어이 참측(慘惻) 이 업랴. 십여 년을 졍위(正位)예 식을 못 보아 겨오시다가, 병오년(丙午年)의 처음으로 대군을 보오시고, 깃브고 랑오시미 이 업오시나, 당시 강보(襁褓)의 인 거 므 을 두어 겨시리? 갓, 일흠만 듯고져 오시다가 귀텬(歸天)오시니, 내 기시(基時)예 제궁(梓宮)을 조차 죽던들 오날 이 셜운 일을 보랴. 이거시 내 죽디 아니코 사랏던 죄라. 어린 아해 동셔(東西)도 아디 못 것슬 자 잡아 내니, 도뎡(朝廷)이나, 대간(臺諫)이나, 션왕(先王)을 생각오면 이리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1.2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