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궁중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궁중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궁중문학과 『한중록(閑中錄)』
1. 궁중문학
1-1. 궁중문학
1-2. 궁중문학의 발생 배경 2. 『한중록(閑中錄)』
2-2. 『한중록』
3. 그 밖의 궁중문학
3-1. 『계축일기(癸丑日記)』(『서궁일기(西宮日記)』)
3-2.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
3-3. 그 외의 궁중문학

Ⅲ. 나오며

본문내용

계축일기』는 3대 궁중문학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가까이 모시고 있던 어느 궁녀의 수기로 추측된다. 세밀한 관찰과 섬세한 서술은 여성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으며 표현기법도 뛰어나다. 밖에서는 알 수 없는 궁중 비사가 세세히 기록되어 당시 궁중 생활의 이면을 이해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되고, 처음부터 끝까지 순수한 우리말, 궁중어를 구사하여 인물과 사건을 애절하고 간절한 문맥으로 표현하고, 구구절절 인정이 넘친다. 이 『계축일기』도 이본이 많은데, 특히 그 당시를 적고 있는 기록이 많아 『계축일기』와 서로 상반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작품들도 많다는 것을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
3-2.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
『인현왕후전』의 배경은 숙종 시절이다. 『인현왕후전』도 『계축일기』와 마찬가지로 어느 궁녀가 쓴 것이라 추정되고 있는데 장희빈은 전형적인 악인으로, 인현왕후는 전형적인 선인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계축일기』와 『한중록』이 수필 양식인 것과는 달리 인물들의 성격이나 사건의 형상화가 비교적 완벽하게 되어 있는 소설 양식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면을 보여준다. 인현왕후와 장희빈 사이에서 갈등하는 숙종의 모습은, 한 나라의 왕이라기보다는 그저 한 사람의 사내로 보인다. 물론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위치가 변화하긴 하지만, 『인현왕후전』만을 가지고 본다면 한 편의 소설로서도 크게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인현왕후전』 역시도 이본이 많으며, 김만중의 『사씨남정기』가 비슷한 시대를 다루고 있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비슷한 점이 많다는 데서 두 작품이 비교되는 일도 많다.
3-3. 그 외의 궁중문학
실상 왕실 출신의 여성들이 남긴 작품들은 대체로 서간문에 집중되어 있다. 그 중에서 명온(明溫)공주가 지은 시가 남아 있는데, 이 시는 명온공주가 익조에게 쓴 한글 서간에서 자신이 지은 글을 보아달라고 적고, 익조가 몇 구절 고쳐 보낸다고 답서를 쓴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명온공주는 “낫것 잡오시고 안녕이 디내오시니잇가”로 시작되는 이 서찰에 시를 적어 보냈고, 그에 대해 익조는 “져두요샹향은 날을 각미인가 그윽기 감노라”라 답하고 있다. 이가원, 『조선문학사 하』, 태학사, p.1344.
구츄샹야당 / 구츄서리 밤이 기러시니 九秋霜夜長
독대등화경 / 홀로 등잔 가배야음을 대엿도다 獨對燈花輕
저두요샹향 / 져두야 먼니 행을 각고 低頭遙想鄕
격챵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