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신라 유식학의 전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철학] 신라 유식학의 전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식의 의미

2. 원측의 철학

3. 진제의 유식학

4. 원측과 유식학

5. 신·구 유식의 종합

6. 의타기성 중심의 삼성설

본문내용

기성을 제8식, 원성실성을 제9식으로 본다. 그리고 원성실성의 내용을 분별성을 부정한 상무성과 의타기성을 부정한 생무성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원측은 안식·이식 등의 팔식과 그 상분 등은 연에 따라 생기하는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제8 아뢰야식을 의타기성이라 하고 안식에서 마나식까지의 7식을 분별성이라 보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무상성과 무생성은 서로 같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이 바로 원성실성으로 될 수는 없다고 비판한다. 또 그는 오염된 유루의 변계소집과 청정한 무루의 원성실성은 모두 의타기성에 포섭된다고 설명한다. 이들이 의타기성 속에 포섭되어야 전식득지의 의미가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 편, 예문서원.
  • 가격2,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01.2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