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목차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Ⅱ본 론
1.자료수집
2.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3.간호과정 적용
Ⅲ결 론
1.연구결과 정리
2.느낀점
3.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Ⅱ본 론
1.자료수집
2.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3.간호과정 적용
Ⅲ결 론
1.연구결과 정리
2.느낀점
3.참고 문헌
본문내용
반좌위를 취해 안정을 취하고 있었으며 힘을 덜 쓰기위해 가급적 필요한 말만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금연교육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SpO2 수치는 90~95%사이를 유지하였으며, 호흡수도 감소하여 20~23사이를 유지하였다.
2-②. 반좌위로 체위변경을 해준다.
2-②. 반좌위는 폐가 확장되어 상소공급이 원활하게 증진된다.
2-③. 금연 교육을 실시한다.
흡연은 섬모를 파괴하여 점액제거 기전이 손상되고, 점액세포가 비대해져 점액을 다량 생산하여, 기관지벽은 두꺼워지며 탄력성은 상실되어 호흡기 질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2-④.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가능한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2-④.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2-⑤. SpO2, 호흡을 자주 관찰한다.
2-⑤. 동맥혈의 산소포화도와, 호흡을 통해 대상자의 상태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향상
#2.악성종양과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통증을 호소하는 시기에 통증사정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척도를 측정한 겨로가 7점을 가리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체온이 37.5℃로 상승하였다.
-맥박이 11회로 증가.
-호흡수 27회
-머리를 감싸쥐며 두통을 호소하는 모습을 관찰함.
<주관적자료>
“머리가 너무 아파서 괴로워요”
“가슴이 쓰시듯 아파요”
“ 너무 아픕니다. 진통제 좀 놓아주세요.
악성종양과 관련된 통증
<단기적 목표>
통증을 호소할 경우 통증을 완화시킨다.
<장기적 목표>
통증과 관련된 요인을 사정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1. 통증의 양상에 대해 파악한다.
2. 통증 호소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약물을 투여한다.
3.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 및 강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통증대처법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1-①. 통증이 발생되는 부위와 정도 및 양상을 6시간 간격으로 사정하였다.
1-②. 통증사정과 동시에 활력징후를 하루 6시간 간격으로체크하였다.
2. 통증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3-①불안이나 스트레스는 통증을 더욱 강하게 하는요인이 되므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심상요법, 전환요법 등.)
3-②. 통증 발생시 심호흡을 하도록 설명하였다.
1-①. 통증에 대한 올바른 간호수행을 위해서는 정환한 간호사정이 필요하다.
1-②. 활력징후의 변화는 통증 발생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지표가 될 수 있다.
2. 진통제는 통증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게 하다.
3-①. 불안이나 스트레스는 체내 산소소모량을 늘려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저해시켜 통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3-②. 충분한 심호흡은 체내 산소포화,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준다.
1.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파악하여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경우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2. 통증 호소시, 적절한 진통제의 투여로 인해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3. 불안과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요인을 제거시키고 심호흡 및 통증 완화법을 적절히 시행하여 환자의 통증 발생 정도가 줄어들었다.
#3.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식사 후의 구토 증세
-주어진 식사량을 항상 다 섭취하지 못함.
-입원 당시보다 체중이 4kg이 줄어듬.
(60kg->56kg)
<주관적 자료>
-“계속 속이 메스꺼워서 밥 먹기가 싫어요”
-“힘도 없고 병원 밥은 맛도 없어서 밥맛이 더 없는거 같아요”
-“계속 누워 있으니까 소화도 잘 안되는 것 같고 밥이 안넘어가요”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단기적 목표>
부족한 식사량을 채워 정해진 일일 섭취량을 섭취한다.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음식섭취에 전혀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으며 입원이전의 몸무게를 회복한다.
1. 대상자의 현재 영양 상태를 신체검진, 식사량 체크등을 통하여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영양섭취에 있어 불편하거나 자극적인 요인을 사정한 후 제거시킨다.
3.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한 후 대상자에게 알맞은 식이를 제공한다.
4. 대상자가 평소 좋아하는 음식에 대해 사정하고 오심, 구토 증상이 없을 때 섭취하게 하며, 식이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5.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오심 ,구토를 호소할 경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1-①. 매일 아침 동일한 복장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1-②. 환자의 식사섭취량을 매회 체크하여 기록하였다.
2-①. 대상자에게 필요한 진단 검사 및 치료관련 처치를 식사시간과 겹치지 않게 하였다.
2-②. 식사진적 입맛을 돋우게 하기 위하여 구강간호를 실시해 주었다.
2-③. 질병과 관련된 불안, 스트레스로 인한 식욕부진 증상이 완화되도록 격려와 칭찬을 해주고 보호자와 함께 즐겁게 식사할 수 있게 하였다.
3-①. 대상자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하였다.(2500kcal 이상)
3-②. 대상자가 음식 섭취에 있어 어려움을 느껴 식사와 함께 열량보충을 위한 음료를 제공하였다.
4-①. 대상자가 병원에서 제공하는 식이로 권장열량을 섭취하지 못해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가져오게 하여 식사시간에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4-②. 대상자에게 질병의 치료과정에 있어 영양보충의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잘먹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임을 교육하였다.
5. 대상자가 여러번 오심, 구토 증상을 호소하여 Motilium-M 을 제공하였다.
1-①. 체중측정은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상태의 여부를 가장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며 매일 같은 시간과 같은 조건에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한다.
1-②. 식사량을 정확히 체크하여 대상자의 치료에 필요한 열량섭취가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여 부족할 경우 보충식 등으로라도 정해진 열량을 섭취하게 할 수 있다.
2-①. 환자가 검사나 치료로 인한 부담이나 불안으로 식욕부진의 상태가 올 수 있다.
2-②. 구강간호를 실시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2-②. 반좌위로 체위변경을 해준다.
2-②. 반좌위는 폐가 확장되어 상소공급이 원활하게 증진된다.
2-③. 금연 교육을 실시한다.
흡연은 섬모를 파괴하여 점액제거 기전이 손상되고, 점액세포가 비대해져 점액을 다량 생산하여, 기관지벽은 두꺼워지며 탄력성은 상실되어 호흡기 질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2-④.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가능한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한다.
2-④.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소요구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2-⑤. SpO2, 호흡을 자주 관찰한다.
2-⑤. 동맥혈의 산소포화도와, 호흡을 통해 대상자의 상태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향상
#2.악성종양과 관련된 통증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통증을 호소하는 시기에 통증사정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척도를 측정한 겨로가 7점을 가리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체온이 37.5℃로 상승하였다.
-맥박이 11회로 증가.
-호흡수 27회
-머리를 감싸쥐며 두통을 호소하는 모습을 관찰함.
<주관적자료>
“머리가 너무 아파서 괴로워요”
“가슴이 쓰시듯 아파요”
“ 너무 아픕니다. 진통제 좀 놓아주세요.
악성종양과 관련된 통증
<단기적 목표>
통증을 호소할 경우 통증을 완화시킨다.
<장기적 목표>
통증과 관련된 요인을 사정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1. 통증의 양상에 대해 파악한다.
2. 통증 호소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약물을 투여한다.
3. 통증을 유발시키는 요인 및 강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통증대처법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1-①. 통증이 발생되는 부위와 정도 및 양상을 6시간 간격으로 사정하였다.
1-②. 통증사정과 동시에 활력징후를 하루 6시간 간격으로체크하였다.
2. 통증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3-①불안이나 스트레스는 통증을 더욱 강하게 하는요인이 되므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심상요법, 전환요법 등.)
3-②. 통증 발생시 심호흡을 하도록 설명하였다.
1-①. 통증에 대한 올바른 간호수행을 위해서는 정환한 간호사정이 필요하다.
1-②. 활력징후의 변화는 통증 발생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지표가 될 수 있다.
2. 진통제는 통증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게 하다.
3-①. 불안이나 스트레스는 체내 산소소모량을 늘려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저해시켜 통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3-②. 충분한 심호흡은 체내 산소포화,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준다.
1.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파악하여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경우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2. 통증 호소시, 적절한 진통제의 투여로 인해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3. 불안과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요인을 제거시키고 심호흡 및 통증 완화법을 적절히 시행하여 환자의 통증 발생 정도가 줄어들었다.
#3.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식사 후의 구토 증세
-주어진 식사량을 항상 다 섭취하지 못함.
-입원 당시보다 체중이 4kg이 줄어듬.
(60kg->56kg)
<주관적 자료>
-“계속 속이 메스꺼워서 밥 먹기가 싫어요”
-“힘도 없고 병원 밥은 맛도 없어서 밥맛이 더 없는거 같아요”
-“계속 누워 있으니까 소화도 잘 안되는 것 같고 밥이 안넘어가요”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단기적 목표>
부족한 식사량을 채워 정해진 일일 섭취량을 섭취한다.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음식섭취에 전혀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으며 입원이전의 몸무게를 회복한다.
1. 대상자의 현재 영양 상태를 신체검진, 식사량 체크등을 통하여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영양섭취에 있어 불편하거나 자극적인 요인을 사정한 후 제거시킨다.
3.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한 후 대상자에게 알맞은 식이를 제공한다.
4. 대상자가 평소 좋아하는 음식에 대해 사정하고 오심, 구토 증상이 없을 때 섭취하게 하며, 식이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5.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오심 ,구토를 호소할 경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1-①. 매일 아침 동일한 복장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1-②. 환자의 식사섭취량을 매회 체크하여 기록하였다.
2-①. 대상자에게 필요한 진단 검사 및 치료관련 처치를 식사시간과 겹치지 않게 하였다.
2-②. 식사진적 입맛을 돋우게 하기 위하여 구강간호를 실시해 주었다.
2-③. 질병과 관련된 불안, 스트레스로 인한 식욕부진 증상이 완화되도록 격려와 칭찬을 해주고 보호자와 함께 즐겁게 식사할 수 있게 하였다.
3-①. 대상자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제공하였다.(2500kcal 이상)
3-②. 대상자가 음식 섭취에 있어 어려움을 느껴 식사와 함께 열량보충을 위한 음료를 제공하였다.
4-①. 대상자가 병원에서 제공하는 식이로 권장열량을 섭취하지 못해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가져오게 하여 식사시간에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4-②. 대상자에게 질병의 치료과정에 있어 영양보충의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잘먹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임을 교육하였다.
5. 대상자가 여러번 오심, 구토 증상을 호소하여 Motilium-M 을 제공하였다.
1-①. 체중측정은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상태의 여부를 가장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지표가 되며 매일 같은 시간과 같은 조건에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한다.
1-②. 식사량을 정확히 체크하여 대상자의 치료에 필요한 열량섭취가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여 부족할 경우 보충식 등으로라도 정해진 열량을 섭취하게 할 수 있다.
2-①. 환자가 검사나 치료로 인한 부담이나 불안으로 식욕부진의 상태가 올 수 있다.
2-②. 구강간호를 실시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추천자료
만성신부전증 CRF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폐렴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호흡
<성인간호실습> 폐암 case study
당뇨병 분류, 당뇨병 환자 치료중재, 당뇨병환자 합병증과 간호, 당뇨병합병증 중 1가지 이상...
성인간호학 CSICU 사전학습 :CVP(중심 정맥관), CRRT, Ventilator(벤틸레이터), Chest tube(...
성인간호학 실습 : 정형외과, 척추전방전위증, OS, spondylolisthesis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 내과 _ 결핵성 흉막염 case study
Pneumothorax 기흉 성인간호CASE (문헌고찰 ~ 간호진단 완벽 정리본)
성인간호실습CASE [Breast cancer] A+받은 자료입니다!!
성인간호실습CASE [ICH] A+받은 자료입니다!!
성인간호실습CASE[Lumbar Fx] A+받은 자료입니다!!
성인간호학 고칼륨혈증 실습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2018> 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