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사전학습내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실사전학습내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ST 분절 상승 (발병 2주 후 점차 하강함)
. T파의 역전(날카롭고 뽀족한 좌우 대칭성의 음성파)
.비정상 Q파 (폭이 0.04초 이상, 깊이는 R파의 1/4이상)-영구적인 흔적.. non Q파 심근경색증도 가능함
-임상검사 . 적혈구 침강속도(ESR) 빨라짐
. 백혈구(wbc) 수치 증가--10000-20000/mm3 ,심근 일탈효소인 CPK, ALP,LDH 등의 혈중농도가 증가함-심장초음파검사
-운동부하검사
-CT
-핵으학 검사(심장금육의 생존상태 즉 심근의 허혈부위와 정도 평가)
-심혈관 관상동맥조영술(관상동맥의 폐색여부 직접 검출)
-심근조사(myocardial scintigram); 방사선 동위원소로 진단검사
5.치료 및 간호
<치료>
처음 증세가 나타난 이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아야 함
통증을 느낄때 바로 병원에 가면 90%이상이 생존
-약물요법
-내과적 중재술(관상동맥 조영술에 의한 관상동맥확장술, 금속망 삽입술)
-외과적 수술(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간호>
-심전도의 변화 뿐만 아니라 자각증상, 혈액검사등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병의 상태 파악에 노력한다.
-합병증 예방 및 조기 발견과 조기 대처가 생명을 좌우하기 때문에 심전도 모니터 감히 외에도 환자의 호소나 전신 소견에도 주의하면서 전신적으로 관찰한다.
-호흡, 순환기 집중 치료와 변화에 대한 즉시 대응을 적절히 이행한다.
-통증이나 치료에 의한 고통과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그 경감에 노력한다.
-죽음에 직면환 환자의 불안감을 이해하고, 불안의 경감과 생을 향한 정신적 지원에 노력한다.
-적절한 시기에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재활을 개시한다.
Sepsis
1.정의
세균이 혈액 속에 들어가 번식하면서 그 생산한 독소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에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
2.원인
-그람음성균(녹농균, 대장균, 폐렴구균), 그람양성균(포도상구균,연쇄상구균)등
-소인 : 영양실조, 면역억제, 광범위한 개방성 상처, 점막손상,위장관계 병변, 등
(특히,면역억제제 치료 중인 대상자나 감염대상자에서 증가하며, 발생 시 매우 치명적이고 사망룰도 50%이상이다.)
3.증상
-고열이 난다.
-오한과 함께 온몸이 격렬하게 떨린다.
-패혈증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엔 세균의 독소 때문에 혈관이 손상되고 혈압이 떨어지며
-조직이 광범위하게 손상되는 패혈성 쇼크가 일어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어지럼증이 생긴다.
-손발이 차갑고 창백해진다.
-불안해지거나 흥분하게 된다.
-호흡이 가빠진다.
-대부분의 경우 의식이 혼탁해지고 결국에는 의식을 잃는다.
4.진단검사
검사 소견으로는 양성 혈액 배양 검사 백혈구 연층, 또는 점상 출혈 부위의 도말 염색 검사를 통한 미생물 확인, 대사성 산증, 혈소판 감소증, 프로트롬빈 시간과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의 지연 혈청 피브리노겐 감소, 빈혈, 동맥혈내의 PaO2의 감소, 호중구의 형태 및 수의 변화 등이 있다.
5.치료 및 간호
<치료>
패혈증이나 패혈증 쇼크가 의심되면 혈액, 소변, 뇌척수액에서 세균 배양검사를 실시해야하며 삼출액, 농양 등 피부병변이 있으면 배양검사와 염색을 실시해야 한다. 또 CBC, 프로트롬빈 시간, 부분 프로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피브리노겐, 동맥혈 가스, 흉부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다.
<간호>
항생제 투여, 초적의 체온 조절 환경 제공, 도구와 환경의 청결 유지
UGI bleeding(esphageal varix bleeding)
1.정의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으로 문맥성 고혈압의 가장 위험한 결과로서, 치사율은 520%이다.
2.임상증상
-토혈(hematemesis)
-혈변(melena)
-다랑의 상부위장관 출혈
-또는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이나 문맥 전신성 뇌증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3.원인
문맥압 항진증이 생기면 복강 내 장기를 통하는 혈액들이 간으로의 이동이 힘들게 되고 식도 등 다른 부위에 혈관이 발달되면서 간 이외의 다른 부위로 혈액이 이동됩니다. 그러므로 식도에 혈관이 발달되기 시작하고 문맥압 항진증이 심해지면서 식도와 위에 혈관이 커지게 되고 혈관이 파열되면 출혈이 된다.
4.진단검사
- 식도정맥류 출혈을 진단하기 위한 내시경 검사
(내시경 검사를 이용하면 식도와 위의 점막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를 이용하면 출혈 부위를 알 수 있다.)
-간경화증을 확증하기 위한 혈청 효소, 빌리루빈, 알부민 가은 간 기능검사
-식도정맥류를 확인하기 위한 식도경 검사, 혈관조영술, 바륨검검사
5.치료 및 간호
<치료>
-약물요법
-경화요법 : 경화제(혈전생성,혈관경화를 일으켜 3-5분 이내에 지혈)varix에 주사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법(endoscopic varices ligation)
-풍선 탐폰을 이용한 압밥(Tamponade)
-위회술 방법(식도 치료의 마지막 방법)
<간호>
-신선한 전혈의 정맥 내 주입 : 신선한 혈액에는 응고인자가 더 많고 저장혈액에 포함된 구연산과 암모니아가 없어 유익하다.
-위장관계의 혈액 배출을 촉진시키고 암모니아 생성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비위관이나 Sengstaken Blakemore tube 의 비위관강으로 처방된 식엽수 하제(saline Catheric)를 투여한다. 관장으로 장 내용물을 줄이고 혈액 내 박테리아의 활동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lactulose나 neomycin을 투여해 세균을 감소시킨다.세균은 장관내의 소화된 혈액에 작용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킨다. 암모니아의 증가는 문맥-정신성 뇌질환을 유발한다.
파상풍(Tetanus)
1.정의
근긴장의 증가와 연축이 특징인 신경학적 질환
2.원인
-흑, 먼지, 물 등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피부나 점막의 상처를 통해 균이 쉽게 핌범하게 되는데 특히 돤통상이나 조직괴사를 일으킨 상처에 흔히 발생한다.
-신생아의 경우 출생 시 소독하지 않은 기구로 탯줄을 절단하거나 배꼽의 처치를 비위생적으로 한 경우
3.증상
-전구증상 : 불면증이 나타난뒤 입이 굳어져서 열기 어려워지는 개구 장애가 일어남
-안면근육 연축(쓴웃음)
-경련발작을 일으켜 몸을 활처럼 젖히고 팔다리를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0.01.2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