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배드민턴의 모든것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 배드민턴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배드민턴이란...

2.배드민턴의 역사...

3.한국의 배드민턴...

4.세계선수권대회...

5.배드민턴 용구...

6.배드민턴시설...

7.배드민턴기술...

8.경기운영 방법...

9.경기예절

본문내용

치를 올려 조절한다.
2. 백핸드 스트로크의 요령
a.손목이 콕한 상태에서 왼쪽으로 오른발을 내딛고 상체를 돌린다.
b.팔꿈치로 리드하면서 어깨에서부터 라켓을 내밀고 손등은 하늘을 향하도록 한다.
c.셔틀콕을 몸 앞쪽에서 포착하여 임팩트하고 치는 순간에 손목을 젖힌다.
d.임팩트 후에는 팔꿈치를 펴고 라켓을 휘둘러 뺀다.
(6) 클리어
1). 클리어 [ 클리어1, 클리어2, 클리어3 ]
높이에 따라 하이클리어와 드리븐클리어로 구분한다
임팩트 순간에 따라 머리보다 약간 뒤쪽은 하이클리어이며, 드리븐클리어는 그 보다 앞쪽이다.
배드민턴의 기본이 되는 것이 하이 클리어 이다.
하이클리어는 높게 타구하여 상대방의 엔드라인까지 보내야한다. 셔틀콕의 비행시간이 길어 수비시간을 벌 수 있다.
상대를 백 바운드라인에 묶음으로써 공격의 기호를 차단한다.
또한 공중에 떠있는 시간이 긴 타구이므로 자신의 수비가 흐트러질 때나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한 시간을 버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단, 상대에게도 반격할 여유를 주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백 바운드라인까지 정확히 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이 클리어는 그렇게 위력 있는 타구가 아니며, 한 타로 끝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선수의 일반적 심리상(특히 단식의 경우) 이쪽이 하이 클리어를 치면 상대도 지지 않고 되받아 치면서 끈질기게 심리전이 지속된다. 이때 계속해서 백 바운드라인구석으로 정확하게 치면 결국에는 상대가 심리적인 불안으로 실수하는 경우도 있다.
드리븐클리어는 상대의 라켓이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어느 정도의 스피드를 가지고 코트의 안쪽 깊숙이 낙하하는 플라이트를 말한다. 하이클리어에 비해 속도와 위치를 목적으로 하여 상대에게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는 공격적인 플라이트이다.
단, 이 경우에도 길이나 코스가 쉽게 눈에 보이면 상대에게 유리하게 되므로 컨트롤에 주의한다.
2) 라운드클리어 [ 라운드 ]
- 이 타법은 머리위에서호(라운드)를 그리면서 왼쪽 어깨 위의셔틀콕을 치는것이다.
- 몸은 네트를 향하고, 치는 순간 체중을 앞쪽 발로 이동시킨다.
- 라켓면의 각도에 따라 클리어, 드롭, 스매시를 할 수 있다.
3.. 백핸드 오버 헤드클리어 [ 하이백, 하이커트 ]
- 왼발을 중심으로 하여 라켓을 왼쪽 어깨쪽으로 당긴다.
- 팔꿈치는 높이 올리고 라켓을 가볍게 내려 잡는다.
- 타점은 어깨위로 되어야 하고 팔꿈치를 펴면서 스냅을 이용하여 타구한다.
- 마무리는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오른발을 당기면서 최초의 준비자세로 되돌아온다.
(7)드롭과 커트(drop & cut)
드롭과 커트는 상대편을 현혹시키기 위해서 셔틀콕을 오버헤드 스트로크로 속도와 코스에 변화를 주어 네트 근처에 떨어뜨리는 기술이다.
1.드롭과 커트의 요령
a.오른발과 오른팔을 뒤로 당기고 체중을 오 른발에 둔다.
b.중심을 오른발에서 왼발로 옮기면서 스윙 시 최대한 힘을 뺀다.
c,드롭은 셔틀콕을 만지듯이 가볍게 친다.
d.커트는 셔틀콕을 깎아 내듯 비껴 친다.
2. 드롭과 커트의 활용
상대방이 리턴한 셔틀이 높게 날아왔을 경우에 커트나 드롭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공격을 둔화시킨다.
상대방이 드라이브나 스매시 등을 가해왔을 경우에 날아오는 셔틀의 스피드를 역이용하여 드롭이나 커트로 반격하면 효과적이다.
(8) 스매싱
배드민턴의 타구 중에서 가장 공격적이고 화려한 것이 스매시이다.
치는 방법은 클리어나 커트와 비슷한데, 볼의 위치는 좀 더 앞에서 하고 속도를
싣기 위해 테이크백이나 폴로스루 등을 크게 한다. 하지만 성공률이 높은 반면 실수도 많은 것이 스매시의 특징이다. 또한 동작이 클수록 상대에게 읽히기 쉽고, 친 후에 다음 동작으로 연결하는 것이 조금 늦어져 상대에게 반격을 당할 수 있다.
“스매시는 속도로만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도 이러한 이유에 서이다. 날카로운 각도로 코너에 정확히 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스매시는 각도는 작게 거리를 길게 보고 대각스매시는 각도는 크게 거리는 짧게 본다.
1.스매시 요령
a.네트를 향하여 측면으로 서고 중심을 오른발로 이동한다.
b.오른쪽 팔꿈치와 어깨를 뒤로 당기고 라켓은 등 뒤로 한다.
c.허리 팔 손목 스냅의 힘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임팩트한다
d.마무리는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준비자세로 빨리 돌아온다.
(9). 드라이브 [ 드라이브1, 드라이브2 ]
사이드암 스트로크로 친 셔틀콕이 코트의 바닥과 평형하게 네트에 닿을 정도로 날아가 상대의 코트로 가라앉는 플라이트를 말한다.
드라이브를 칠 때는 낮은 자세에서 한발을 내디뎌 몸보다 앞쪽에서 셔틀콕을 쳐야 하고 네트를 넘어서 셔틀콕이 뜨지 않아야 한다.
복식처럼 속도가 빠른 종목에서 주로 사용한다.
잘 친 드라이브는 에이스가 되는 수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 네트 앞에 붙어서 드라이브를 응수한상대의타구를 푸시로 연결하여 공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단, 상대와의 거리가 짧고 빠르게 진행되므로 테이크백을 크게 취하면 순간적인 대응이 늦어지며, 폴로스로가 커도 다음 동작이 늦어진다.
그러므로 크게 휘두르지 않는 것이 드라이브의 요령이다.
라켓동작은 작고 날카롭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보자들의 연습용으로 드라이브가 일반적이다. 이미 면이 형성되어 있고 큰 스윙을 할 필요도 없으므로 랠리가 어느 정도는 계속된다. 이로써 셔틀콕을 치는 쾌감과 묘미를 느낄 수 있다.
(10) 헤어핀 [ 헤어핀, 네트플레이 ]
네트 가까이온 셔틀콕을 상대편 네트에 거의 닿을듯하게 받아치는 기술을 말한다.
가장 효율적인 헤어핀은 네트의 바로 가까운 거리에서 네트의 위를 넘는 순간에 코트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내려오게 하는 방법이다.
헤어핀은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타점의 높낮이, 타구의 속도, 네트와의 거리, 자세 등을 순간적으로 판단해서 쳐야 하므로 순발력이 중요하다.
셔틀콕을 튀기지 않고 속도를 줄이는 타구라 조금이라도 판단을 잘못하면 네트에 걸리거나 높이 뜨게 되어 상대에게 유리 할 수도 있다.
헤어핀 중에는 스핀 헤어핀이라고 하는 고도의 기술도 있는데, 이 기술은 국가 대표 선수들도 받아내기 어렵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2.01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9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