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탕 설계 & 매크로 조직 관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압탕 설계 & 매크로 조직 관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명

2. 실험목적

3. 실험장비

4. 관련이론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본문내용

어느 정도 가열시켜야 하나 그런 공정 과정이 없었다.(다음 실험인 상형, 하형으로 나누어진 실험에서는 가열하였음) 이러한 일을 막기 위하여 압탕이 아닌 다른 길을 하나 만들어 가스가 방출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줌으로써 기공 발생율이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주조품에서 하나의 압탕만 존재하라는 방법이 없음으로 주조품에 따라 2개,3개 압탕을 설치하여 최소한의 응고수축이라든지 기공 발생, 주조결함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 두 번째 실험에서는 상형과 하형을 만들어 분리하는 것이였다. 위 5-1 실험방법과 같은 실험은 어느 정도 가스 발생율이 줄어들었다. 상형과 하형을 분리 하였음으로 가스토치를 이용하여 주물을 가열시키고, 또한 스치로폼을 태워버렸기 때문이다. 약1시간 응고 시킨 뒤 주물을 깨고 약12시간 밖에서 방치한 주조품을 절단하여 본 결과는 썩 그리 좋지 않았다. 응고수축을 계산하고 압탕을 설계하였는데 압탕의 1/3길이만 응고수축 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주조의 큰 단점인 주조품 이외에 다른 부분을 절단하여야 한다. 그렇게 되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도 많이 늘어나게 된다.
○ 실험이 끝난 후에 h=1.5D라는 식을 책에서 보게 되었다. 지름이 37.5mm가 되기 때문에 56.25mm가 나온다. 응고수축일 예상하고 계산한 결과값은 114mm였는데 이 결과값은 반절도 되지 않는 값이였다. 원래 10%의 급탕율에서는 114mm인데, 원래 이 만큼 응고 수축이 있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압탕계산을 잘 못 한 것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압탕 응고수축에 대한 지름은 12.5mm였고, 깊이는 42.7mm였다. 이걸 감안하여 생각하였을 때 위의 56.25mm에 대한 압탕의 길이는 정확한 것일 수 있다.
○ 마이크로 조직을 비교하여 본 결과, 똑같은 조건하에서 부식하였을 때 조직은 소실모형쪽이 흐릿하게 나왔다. 상형과 하형을 이용한 주조품에서 공기와 접하는 압탕의 윗부분(top)의 조직이 조금 조대하게 나왔고, 나머지 압탕이나 원래 얻고자 하는 주조품의 조직은 미세하게 나왔다. 매크로 조직상으론 그다지 큰 차이가 없었다.
○ 이번 실험에서 압탕의 계산이 잘 못 되긴 하였으나, 모듈러스는 체적과 그 표면적에 따라서 압탕의 크기는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모듈러스와 압탕과의 관계, 그리고 급탕률과 수축율에서 나오는 Vc와 Vr의 관계에 대해서 면밀히 따져야 압탕설계시 오류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04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