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조영술 전후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상동맥조영술 전후간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관상동맥

2. 관상 동맥 조영술

3. 관상동맥질환의 진단 및 검사

4. 관상동맥 조영술의 적응증

5. 관상동맥 조영술의 금기

6. 검사 전 간호

7. 검사 방법

8. 검사 후 간호

9. 합병증과 부작용

10. 퇴원 시 주의 사향

11. 식사요법

12. 일상생활시 주의 사항

본문내용

조사한다.
- 조영제에 대해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조영제로 인하여 다른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⑧ 필요시 카테터 삽입부위를 씻고 면도한다.
-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⑨ 검사 전 투약 : demerol, diazepam(Valium)같은 진정제, 항생제 등을 주사
- 환자의 긴장감을 이완시키고 불편감을 완화하고 검사 시 감염 위험을 예방
⑩ 정맥주입로 확보 : 18G needle을 사용하고 fluid를 keep 한다.
⑪ 소변을 본 후 검사실에서 연락이 오면 보호자와 함께 휠체어를 타고 갑니다.
7. 검사 방법
1) 대상자를 앙와위로 X선 촬영대에 눕히고 검사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2)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를 위해 심전도 장치를 연결한다.
3) 검사부위는 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청결하게 소독하고 소독포로 덮는다.
4) 카테터 삽입 부위에 국소 마취를 시키고, 20G angio needle로 puncture 한다.
5) 천자 부위에 유도용 철사(guidewire)를 삽입하고, 유도용 철사가 관상동맥의 적절한 위 치에 놓이게 되면 천자용 주사바늘만 제거한다.
6) 형광 투시 하에 안내 철사를 따라 카테터를 혈관 안에 삽입한다.
7) 카테터 삽입 후 안내 철사는 제거하고 헤파린을 묻힌 생리식염수로 씻어낸다.
- 카테터 안 정체된 혈액을 없애기 위하여
8) 만일 우측 심장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카테터를 우심방, 우심실, 폐동맥까지 삽입하고, 좌측 심장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대동맥, 관상동맥까지 카테터를 삽입한다.
9) 조영제를 주입하고 방사선 촬영을 한다.
- 주로 사용되는 조영제 : amipaquae sodium, diatrizoate sodium 또는 diatrizoate methylglu-camine (cardio grafin)과 같은 요오드 물질이 사용됨.
10) 검사동안 일정 간격으로 심전도와 혈압을 측정한다.
11) 검사가 끝나면 카테터를 제거하고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지혈대로 손목을 압박한 후
병실로 보낸다.
8. 검사 후 간호
① V/S을 15분마다 4회, 이후 안정될 때까지 1시간 마다 측정한다.
- 맥박과 혈압은 출혈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고, 감염이 있을 경우 체온
이 올라간다.
< 손목의 요골동맥으로 시술한 경우 >
① 합병증 징후를(출혈의 위험성) 관찰하기 위해 검사 후 6시간 동안 침상안정을 합니다.
② 검사 후 당일에는 출혈예방을 위해 검사한 팔을 움직이지 않습니다.
- 손을 집거나 힘을 주어서는 안 되며 3일 정도는 무거운 것을 들지 않습니다.
③ 검사한 팔은 심장보다 높이 올리고 있으면 불편감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④ 손목에 지혈대를 감고 있어 통증, 부종, 저림이 나타날 수 있으나 지혈대는 절대로 손대지 마십시오.
지혈대는 검사 당일 또는 다음날 담당의사가 확인 후 풀어드립니다.
⑤ 출혈을 발견했거나 천공한 자리에서 축축하고 따뜻한 느낌이 있으면 손으로 지혈대를 누르고 바로 간호사에게 연락해 주십시오.
⑥ 조영제의 배설촉진을 위해 검사를 시행한 당일에는 물을 충분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대퇴동맥으로 시술한 경우 >
① 합병증 징후를(출혈의 위험성) 관찰하기 위해 검사 후 8~12시간 동안 침상안정을 해야 합니다.
② 검사 후 천자부위에 모래주머니를 6~8시간 올려놓습니다.
③ 침상머리를 30°로 올리고, 시술한 쪽 다리는 곧게 펴도록 합니다.
④ 식사, 대소변은 누워서 해결해야 합니다.
⑤ 조영제의 배설촉진을 위해 검사를 시행한 당일에는 물을 충분히 드십시오.
9. 합병증 & 부작용
1) 마취제나 조영제에 대한 알러지 반응 : 빈맥, 호흡곤란, 과호흡, 소양감(두드러기, 발진)
→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투여.
2) 심장 압전 : 불규칙한 맥박, 불안, 빈호흡, 심잡음, 경정맥의 정체 등.
→ 심장약을 투여하고 심전도를 통해 활력징후와 심장활동을 감시함.
3) 혈전, 색전, 동맥류, 출혈과 같은 말초동맥 합병증
4) 죽상 경화성 반점이나 혈전의 이동 때문에 발생하는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증
5) 카테터 삽입부위의 감염 : 통증, 종창 또는 배액을 관찰하고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함.
10. 퇴원 후 주의 사항
- 퇴원 후 3 일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오랜 시간 운전, 성행위 등을 가능한 금하고 활동을 하는데 불편은 없지만 격렬한 운동을 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담당 의사의 상의 한다..
- 혈관 검사한 부위가 빨갛게 달아 오르거나 팔이나 다리가 차가워지고 파랗게 변하거나 하면 병원을 방문 한다.
- 직장으로 복귀는 대개 퇴원 다음날부터 가능하나 2~3일이면 일상으로 복귀 할 수 있다.
-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 하시고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 삽입술을 한 환자는 재발 확인을 위해 6개월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촬영 한다.
11. 식사요법
심장, 뇌혈관에 기름찌꺼기가 생기는 동맥경화증의 주원인은 혈중에 있는 콜레스테롤이 간, 말초조직에서 적절히 처리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나쁜 콜레스테롤(LDL Cholesterol)의 산화작용에 의한 혈관내벽의 염증이기 때문에 식사요법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적인 측면도(동맥경화증에 의한 병변의 크기감소)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식사방향도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 도정이 된 곡물(흰쌀, 흰 밀가루)보다는 도정이 덜 된, 또는 안된 곡물음식(현미, 잡곡, 호밀, 메밀)이 좋음.
- 설탕을 피해야 한다.
- 싱겁게 음식을 조리해야 한다.
- 생선의 단백질과 지방은 육류의 그것과는 달리 심혈관 질환에 아주 좋다.
12. 일상생활시 주의할 사항
- 술은 심장에 부담이 되므로 일일 소주 한잔정도의 반주가 좋다..
- 담배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심장을 불규칙하게 뛰게 만드는 부정맥을 유발하므로 꼭
끊어야한다.
- 운동은 달리기나 ,수영, 테니스등을 땀이 약간 날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등산을 하실 때는 혀밑에 넣는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아이소켓등을 꼭 지니고 무리한 산행은 피해야한다.
- 성생활은 심근경색증 환자의 경우 심장이 완전히 회복되는데 약 2개월이 걸립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성생활은 2개월 이후 하시고 2개월 전이라도 무리하지 않는 편한 방법의 성생활은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2.04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0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