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리는 맥베스의 파멸의 필연성을 저항 없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그는 너무나 우리자신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기에 악마의 앞잡이인 마녀의 예언과 맥베스 부인의 부추김으로 맥베스가 약해지면 약해질수록 그에 대한 연민의 정이나 동정이 일게 되며 그의 심정에다 우리 자신을 비춰보며 숙연해지지 않을 수 없다.
이렇듯 셰익스피어는 맥베스를 통해 우리 인간의 양면성, 그리고 허상의 유혹에 쉽게 빠지는 인간의 속성(원죄), 그리고 인간의 한계성을 무한한 신의 섭리와 뚜렷이 대비시켜, 맥베스를 통해 신의 섭리를 더욱 강하게 빛나게 한다.
-참고도서-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이 대석 지음, 한양대학교 출판부
[맥베스] 김남, 홍신 문화사
[셰익스피어 비극론] 이 대석, 한신 문화사,
naver 백과사전, 셰익스피어
이렇듯 셰익스피어는 맥베스를 통해 우리 인간의 양면성, 그리고 허상의 유혹에 쉽게 빠지는 인간의 속성(원죄), 그리고 인간의 한계성을 무한한 신의 섭리와 뚜렷이 대비시켜, 맥베스를 통해 신의 섭리를 더욱 강하게 빛나게 한다.
-참고도서-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이 대석 지음, 한양대학교 출판부
[맥베스] 김남, 홍신 문화사
[셰익스피어 비극론] 이 대석, 한신 문화사,
naver 백과사전, 셰익스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