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해결을 위한 면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해결을 위한 면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문제해결에서 해결책 구축까지
제 2장 해결책 구축: 기초원리
제 3장 알고 싶어하는 기술
제 4장 시작하기: 내담자가 원하는 것에 주목하는 방법
제 5장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확대하는 방법: 기적질문
제 6장 예외에 대한 탐구: 내담자의 강점과 성공에 기초한
해결책의 구축
제 7장 내담자를 위한 피드백의 작성
제 8장 첫 회 이후의 세션: 내담자의 강점과 성공에 기초한 해결 책의 구축
제 9장 위기상황에서의 면담
제10장 치료결과
제11장 전문적 가치와 인간의 다양성
제12장 기관, 집단과 지역사회실천
제13장 이론적 함의

부록: 해결책 구축을 위한 도구

본문내용

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 전념하였다.
스파크스는 워크숍에 참가한 결과로 슈퍼바이저들이 부하 직원의 말을 보다 더 신중하게 경청하고, 부하직원과 보다 더 편안한 방법으로 상호작용하며, 일과 관련하여 보다 폭 넓은 범위의 문제를 서로 힘을 모아 처리하게 된 것을 발견하였다.
스파크스의 작업은 해결책 구축 접근이 조직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도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일단 조직의 직원들 간에 문제기술과 분석 대신 해결책 구축을 위한 대화가 시작되면, 희망과 동기가 증가하고 활기찬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제 13장 이론적 함의
만일 당신이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다면, 인생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하고 싶어할 것이고, 그것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만일 어떠한 사건이 중요하다고 느껴지면 당신은 그것에 대해 숙고하고, 당신이 받은 인상을 언어로 구상하여,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할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인간의 가장 두드러지고도 독특한 특성인 것이다.
내담자도 다르지 않다. 그도 역시 자신들의 삶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알고 싶어한다. 문제중심적 사고를 강조하는 문화 속에 파묻혀 사는 내담자는 일반적으로 그가 왜 문제를 갖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실천가가 문제, 목표와 예외에 대해서 알고 싶어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문제의 사정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 때 내담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책을 구축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접근방법의 유용성과는 관계없이 내담자와 실천가는 자신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1. 내담자의 인식과 정의의 전환(Shifts in Client Perceptions and Definitions)
BFTC에서 상담과정을 장기간 관찰한 사람들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와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말하면서, 그 문제와 가능한 해결책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대한 그들의 인식도 어김없이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어떤 내담자는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어 어떤 것이 실제 문제이고 어떤 것이 밑에 깔려 있는 문제인지 분명치 않은 상태에서 왔으나, 상담과정을 통해 그들의 초점이 명료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종 내담자는 그의 문제의 특징들에 대해 새로운 방법으로 설명하기 시작하곤 하였다. 관찰자들은 내담자들이 일관되게 여러 세션이 진해오디는 동안, 또는 심지어는 단 한번의 세션에서도 자신의 문제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어떤 사례의 경우에는 내담자의 인식의 전환이 극적이어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de Shazer, 1991), 다른 경우에는 보다 미묘하여 식별하기 어렵다. 하지만 만일 여러분이 해결책 구축 대화 과정에서 내담자가 한 말을 면밀히 검토해 본다면, 반드시 이러한 전환의 예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Berg & De Jong, 1996). 해결책 구축을 위한 실천가로서의 여러분의 기술은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때를 알아차리는 것을 배우고, 그러한 전환이 이루어졌을 때 내담자로 하여금 그것을 탐색하게 하는 것에 달려 있다.
2.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우리는 해결책 구축과정에서 내담자의 인식과 정의가 전환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면 우리는 이러한 관찰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이러한 전환을 가장 근접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관점은 사회구성주의라고 할 수 있다(Cantwell & Holmer, 1994; Gergen, 1985; Goolishan & Anderson, 1991; Laird, 1993). 이 관점은 자신의 문제, 능력과 가능한 해결책의 성질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무엇이 실제인가(what is real)에 대한 개인의 인식은 그의 삶 속에서 경함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사회구성주의자는 내담자의 인식과 정의의 전환은 상황, 즉, 그가 속한 지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내담자가 다른 사람들과 무관하게 사적인 의미(해결책을 포함)를 생각해내는 그런 온전히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대신에 개인들은 언제나 인종, 가족, 국가, 사회경제적 그리고 종교적인 상황 속에서 살기 때문에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영향 하에 의미를 새롭게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 해결책 구축에 있어서 관계성 질문은 면접자가 내담자의 상황에 대한 인식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 가장 분명한 방법을 제공한다.
사회구성주의자는 내담자가 지역사회의 상황 속에서 개인적인 의미를 발전시킨다는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내담자가 속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다양성에 주의를 돌리게 한다. 내담자의 배경은 다양한 인종집단, 문화, 국가, 사회경제적 지위 등을 반영한다. 그리고 내담자가 개개인은 이러한 지역사회의 복합적인 현실을 반영하게 된다.
3. 패러다임의 전환(Shifting Paradigms)
내담자의 인식과 정의가 전환한다는 것, 그리고 내담자들의 현실에 대한 정의가 다양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은 과학적 사고에 기반을 두고 있는 문제중심적 접근의 기본 가정에 대해 도전을 제기한다. 만약 내담자의 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정의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협력적 상호작용 속에서 변화한다면, 그러한 문제들이 어떻게 객관적이고, 보편적이고, 과학적으로 알 수 있다는 의미에서 실제적일 수 있겠는가? 내담자의 문제도 인간의 신장이나 행성과 같이 과학자들에 의한 체계적인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우리가 일단 내담자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어떤 존재이기보다는 현재 내담자가 현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의의 작용으로 생각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내담자의 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벗어 버려야 한다. 굴리쉬안과 앤더슨(1991)을 다시 한번 인용한다면, “실천가는 이제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기술적 전문가보다는 정보를 알아내는 학습자가 되어야 한다.”
* 연구결과
BFTC의 실천가들은 기적질문에 대한 내담자의 대답들이 때로는 그들의 무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10.02.0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