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에 대한 역사와 현대씨름, 용구,의식행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씨름에 대한 역사와 현대씨름, 용구,의식행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씨름이란?
2.씨름의 역사
삼국,고려,조선,현대
3.경기용구
4.의식행사

본문내용

바는 허리에 둘러멘다.
※샅바를 청홍으로 사용하게 된 시기
예전에는 흑.백색으로 사용해 오던 것을 민속씨름이 출범한 후 1983년 4월14일 장충 체육관에서 개최된 제1회 천하장사씨름대회부터 청.홍으로 바꿔 사용했다.
※샅바 청.홍의 의미 부여
샅바의 색상은 단순하게 팀 구분, 선수구분 및 경기도구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샅바색상을 우리민족이 애용하던 태극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일치 시킴으로서 씨름이 우리민족의 고유한 전통경기라는 것을 의미한다. (배만실 논문 : [태극문양] 1988)
3)샅바의 규격
호수
총길이

고리길이
사용범위
1
2m 37.5cm
1m 14cm
72.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2
2m 40cm
1m 14cm
7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3
2m 42.5cm
1m 14cm
77.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4
2m 45cm
1m 14cm
80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5
2m 52.5cm
1m 14cm
82.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6
2m 55cm
1m 14cm
8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7
2m 57.5cm
1m 14cm
87.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8
2m 60cm
1m 14cm
90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9
2m 72.5cm
1m 14cm
92.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10
2m 75cm
1m 14cm
9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11
2m 77.5cm
1m 14cm
97.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12
2m 80cm
1m 14cm
100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13
2m 92.5cm
1m 14cm
102.5cm 이하
허벅지둘레 + 14
4.의식행사
1)고천문
전 대회 장사가 고천문(告天文)을 낭독 함으로서 온 천지에 대회의 개막을 알린다.
\"이 백성들 흙이 되고 물이 되고 불이 되고 바람이 돼 주시는 한 아버님 이 자리 이 터전에 다시 뫼시고저 우리가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오늘도 이 백성들 몸에 살이 돋고 피가 돌고 숨결이 고르고 근력이 생기도록 하여 주시오.개울이 불고 우물이 충충하고 논, 밭, 들에 윤기 흘러 기화요초 만발하게 하여 주시오. \"
2)몸본
한국인만이 갖는 자유스런 몸짓과 사상에서 유출해낸 본질적인 호흡 과 자세가 틀을 이루고 있다. 우주오행의 사상에 바탕을 둔 몸짓에는 하늘과 땅을 상징하고 인간을 상징하는 자세가 있고, 천기(天氣)를 받고 땅의 기(氣)를 다지는 동작이 있으며, 인간 자신이 우주만물의 중심임을 자연스럽게 깨우친다는 상징적 동작이다. 이러한 몸짓은 나쁜기운을 물리치 고 번영을 기원하며 씨름판의 모래터를 정갈히 다지는 동작으로 민족과 국가를 수호한 다는 상징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3)의식무
백의 민족을 상징하듯 흰 의상을 차려입은 여자무용수가 등장, 정결한 몸짓으로 마름질하는 듯한 의식무(儀式舞)를 춘다. 우주의 두원리인 음 (陰)과 양(陽)의 성함을 유도하는 춤으로, 음기(陰氣 )를 모두어서 양기(陽氣 )를 붇돋고 양기(陽氣 ) 의 기승으로 다산(多産)함을 기원한다.
<참고 문헌>
대한씨름협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05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