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뼈(골격)의 개념
Ⅲ. 뼈(골격)의 구조
1. 극과 극-인체에서 가장 작은 뼈와 가장 큰 뼈
1) 최소
2) 최대
2. 뼈의 성장에 관여하는 요인
Ⅳ. 골수검사
1. 정의
2. 진단목적
3. 진단절차
4. 검사 전 간호
5. 검사 후 간호
6. 합병증
Ⅴ. 골수염
1. 병태생리
1) 외인성 골수염
2) 혈행성 골수염
3) 골수염을 초래하는 다른 요인
2. 진단평가
1) 급성 혈행성 골수염
2) 아급성 혈행성 골수염: 증상이 오래 지속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여 임상증상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다
3. 치료관리
4. 간호
Ⅵ. 골수 백혈병세포의 CD4 분자 발현
참고문헌
Ⅱ. 뼈(골격)의 개념
Ⅲ. 뼈(골격)의 구조
1. 극과 극-인체에서 가장 작은 뼈와 가장 큰 뼈
1) 최소
2) 최대
2. 뼈의 성장에 관여하는 요인
Ⅳ. 골수검사
1. 정의
2. 진단목적
3. 진단절차
4. 검사 전 간호
5. 검사 후 간호
6. 합병증
Ⅴ. 골수염
1. 병태생리
1) 외인성 골수염
2) 혈행성 골수염
3) 골수염을 초래하는 다른 요인
2. 진단평가
1) 급성 혈행성 골수염
2) 아급성 혈행성 골수염: 증상이 오래 지속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여 임상증상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다
3. 치료관리
4. 간호
Ⅵ. 골수 백혈병세포의 CD4 분자 발현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위환경 등이다.
2. 진단평가
1) 급성 혈행성 골수염
징후와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하며 일주일 이내에 최대 강도로 나타난다. 백혈구의 현저한 증가와 적혈구 침강률의 증가 현상이 나타난다.
2) 아급성 혈행성 골수염: 증상이 오래 지속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여 임상증상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다
3. 치료관리
정맥 내 항생제 치료가 3~4주 동안 지속된다. 침상 안정을 하여 감염의 확산을 막고 뼈 조각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사지를 부동한다. 농양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부골적출술과 수술적 배농을 한다.
4. 간호
감염된 사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다. 최소화하기 위해 진통제나 진정제를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개방된 상처는 접촉을 피하게 격리를 해둔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 기록하고 상처부위 배농의 특성을 기록한다. 석고붕대 고정 시 사지의 감각, 순환, 통증 등을 검사하고 염증부위는 개방해둔다. 고칼로리의 액체음식을 격려한다. 치료가 될 때까지 감염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허용하지 않는다.
Ⅵ. 골수 백혈병세포의 CD4 분자 발현
CD4 분자는 55kD의 당단백으로 흉선세포, 성숙 T 세포, 단핵구 및 호산구에 발현된다. 이 항원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서 주된 역할을 하며 후천성면역결핍증에서 골수 기능 이상은 잘 알려져 있으나 골수 세포내 CD4 항원의 발현은 생쥐에서만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체 골수 세포에서 CD4 항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백혈병 세포주를 항 CD4 항체로 염색하여 유세포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 전골수구계의 HL60과 단핵구계의 THP-1, 조직구계의 U937에 양성이었으나 급성 골수계의 백혈병 세포주인 KG1과 적혈구계의 K562는 음성이었다. 인체 골수는 척추질환으로 인한 골이식 환자의 정상골수를 채취하여 항 CD5 항체와 항 CD14 항체로 성숙 T 세포 및 단핵구를 제거하고 발달 계열에 특이적인 항체(항 CD34, 항 CD33, 항 CD7)와 항 CD4 항체로 이중염색하였다. 유세포 측정기로 측정시 CD34+ 세포와 CD33+ 세포의 각각 75%(전체 골수 세포중 4.5%에 해당함)와 63%(전체 골수 세포중 20.3%에 해당함)에서 CD4 양성이었으며 CD34-CD4+ 혹은 CD33-CD4+인 세포도 전체 골수 세포중 각각 26.7%와 10.6%를 차지하였다. 또한 골수 세포와 종양 세포주를 용해시켜 Western blotting으로 골수 세포, HL60, THP-1 및 U937 세포주에서 CD4 단백을 증명하였다.
참고문헌
안희경 외(1997) / 인체해부학, 고문사
지제근(2006) / 의학용어사전, 아카데미아
지제근(2005) / 알기 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3판, 고려의학
최월봉 외(2002) / 조직학 제4판, 고문사
최명애 외 7명(2001) / 인체구조와기능, 계축문화사
Donald A. Neumann /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정담 미디어
http://members.tripod.lycos.co.kr http://dragon.yonsei.ac.kr
2. 진단평가
1) 급성 혈행성 골수염
징후와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하며 일주일 이내에 최대 강도로 나타난다. 백혈구의 현저한 증가와 적혈구 침강률의 증가 현상이 나타난다.
2) 아급성 혈행성 골수염: 증상이 오래 지속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여 임상증상을 변화시킨 경우가 있다
3. 치료관리
정맥 내 항생제 치료가 3~4주 동안 지속된다. 침상 안정을 하여 감염의 확산을 막고 뼈 조각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사지를 부동한다. 농양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부골적출술과 수술적 배농을 한다.
4. 간호
감염된 사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다. 최소화하기 위해 진통제나 진정제를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개방된 상처는 접촉을 피하게 격리를 해둔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 기록하고 상처부위 배농의 특성을 기록한다. 석고붕대 고정 시 사지의 감각, 순환, 통증 등을 검사하고 염증부위는 개방해둔다. 고칼로리의 액체음식을 격려한다. 치료가 될 때까지 감염된 사지에 체중부하를 허용하지 않는다.
Ⅵ. 골수 백혈병세포의 CD4 분자 발현
CD4 분자는 55kD의 당단백으로 흉선세포, 성숙 T 세포, 단핵구 및 호산구에 발현된다. 이 항원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서 주된 역할을 하며 후천성면역결핍증에서 골수 기능 이상은 잘 알려져 있으나 골수 세포내 CD4 항원의 발현은 생쥐에서만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체 골수 세포에서 CD4 항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백혈병 세포주를 항 CD4 항체로 염색하여 유세포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 전골수구계의 HL60과 단핵구계의 THP-1, 조직구계의 U937에 양성이었으나 급성 골수계의 백혈병 세포주인 KG1과 적혈구계의 K562는 음성이었다. 인체 골수는 척추질환으로 인한 골이식 환자의 정상골수를 채취하여 항 CD5 항체와 항 CD14 항체로 성숙 T 세포 및 단핵구를 제거하고 발달 계열에 특이적인 항체(항 CD34, 항 CD33, 항 CD7)와 항 CD4 항체로 이중염색하였다. 유세포 측정기로 측정시 CD34+ 세포와 CD33+ 세포의 각각 75%(전체 골수 세포중 4.5%에 해당함)와 63%(전체 골수 세포중 20.3%에 해당함)에서 CD4 양성이었으며 CD34-CD4+ 혹은 CD33-CD4+인 세포도 전체 골수 세포중 각각 26.7%와 10.6%를 차지하였다. 또한 골수 세포와 종양 세포주를 용해시켜 Western blotting으로 골수 세포, HL60, THP-1 및 U937 세포주에서 CD4 단백을 증명하였다.
참고문헌
안희경 외(1997) / 인체해부학, 고문사
지제근(2006) / 의학용어사전, 아카데미아
지제근(2005) / 알기 쉬운 의학용어 풀이집 제3판, 고려의학
최월봉 외(2002) / 조직학 제4판, 고문사
최명애 외 7명(2001) / 인체구조와기능, 계축문화사
Donald A. Neumann /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정담 미디어
http://members.tripod.lycos.co.kr http://dragon.yonsei.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