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근육의 운동 원리
1. 놀랄 만큼 민첩, 강력
2. 자동차원리와 유사
Ⅱ. 근육의 특성과 분류
1. 근육의 생리적 특성
1) 수축성
2) 탄성
3) 흥분성
4) 전도성
2. 근육의 분류
1) 가로무늬근(골격근)
2) 민무늬근(평활근)
3) 심근
Ⅲ. 근육의 생리와 기능
1. Muscle of types
1) Involuntary muscle
2) Volunatry muscle
2. Joint type
3. Synovial joint의 분류
1) Non-axial jont
2) Uni-axial joint
3) Bi-axial joint
4) Tri-axial joint
4. Lovett: 항중력 검사
1) 단계판정을 위한 세 가지 요소
2) N.G test시 저항을 주는 요령
3) Fair and Good
4) 부동의 지절을 고정시키는 요인
5) 부동의 지절을 고정시키는 이유
6) 도수근력검사 한계 → 말초신경병변에 사용
Ⅳ. 상체의 근육
1. 몸통의 근육
2. 어깨의 근육
3. 위팔과 아랫팔의 근육
4. 손의 내재근육
Ⅴ. 하체의 근육
1. 슬부에 작용하는 근육
1) Knee flexion
2) Knee extension
2. 족부의 구조물
1) Talo-Crural joint = Ankle joint
2) Plantal calcaneo-navicular Ligament
3) Chopart joint
3. 족부에 작용하는 근육
1) Ankle plantal flexion
2) Foot dorsiflexion and Inversion
3) Foot Inversion
4) Foot Eversion
5) Flexion of MP joint of toes
6) Flexion of IP joint of toes
7) Extension of MP joint of toes and IP joint Hallux
8) Eversion 과 Dorsiflexion
9) MP Abduction
10) MP Adduction
11) Hallux
Ⅵ. 근육계 질환
참고문헌
1. 놀랄 만큼 민첩, 강력
2. 자동차원리와 유사
Ⅱ. 근육의 특성과 분류
1. 근육의 생리적 특성
1) 수축성
2) 탄성
3) 흥분성
4) 전도성
2. 근육의 분류
1) 가로무늬근(골격근)
2) 민무늬근(평활근)
3) 심근
Ⅲ. 근육의 생리와 기능
1. Muscle of types
1) Involuntary muscle
2) Volunatry muscle
2. Joint type
3. Synovial joint의 분류
1) Non-axial jont
2) Uni-axial joint
3) Bi-axial joint
4) Tri-axial joint
4. Lovett: 항중력 검사
1) 단계판정을 위한 세 가지 요소
2) N.G test시 저항을 주는 요령
3) Fair and Good
4) 부동의 지절을 고정시키는 요인
5) 부동의 지절을 고정시키는 이유
6) 도수근력검사 한계 → 말초신경병변에 사용
Ⅳ. 상체의 근육
1. 몸통의 근육
2. 어깨의 근육
3. 위팔과 아랫팔의 근육
4. 손의 내재근육
Ⅴ. 하체의 근육
1. 슬부에 작용하는 근육
1) Knee flexion
2) Knee extension
2. 족부의 구조물
1) Talo-Crural joint = Ankle joint
2) Plantal calcaneo-navicular Ligament
3) Chopart joint
3. 족부에 작용하는 근육
1) Ankle plantal flexion
2) Foot dorsiflexion and Inversion
3) Foot Inversion
4) Foot Eversion
5) Flexion of MP joint of toes
6) Flexion of IP joint of toes
7) Extension of MP joint of toes and IP joint Hallux
8) Eversion 과 Dorsiflexion
9) MP Abduction
10) MP Adduction
11) Hallux
Ⅵ. 근육계 질환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경원의 전각 세포로의 입력 소실이 반복적인 운동 신경원의 방사를 가져와서 심한 동통성 근수축을 일으킨다.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대한 항체가 강직인간 증후군에서 나타나며 혈장 교환으로 호전된다. 유사한 임상 증상이 strychnine 중독에서 보인다. 다이아제팜이 경련을 호전시키지만 근수축을 줄일 정도의 농도에서는 호흡부전을 초래하기도 한다.
peripheral nerve 테타니는 주로 말단 근육의 수축으로 특히 손발에 생겨 수족 경축(carpopedal spasm)이라 한다. 후두 경련이 생길 수도 있다. 테타니는 말초 신경의 흥분성이 증가되어 생긴다. 근육 수축은 초기에는 통증이 없지만, 계속되면 통증과 근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심한 테타니는 척추 근육에 생겨 후궁반장(opisthotonus)을 일으킨다. 흔히 저칼슘혈증에 의해 생기기도 하지만, 저 마그네슘혈증이나 심한 호흡성 알칼리증과 동반되기도 한다. 특발성 정상 칼슘혈성 테타니(idiopathic normocalcemic tetany), 즉 경련 체질(spasmophilia)은 선천성 및 후천성 모두 있다. 후천성 질환은 말초신경의 과흥분이 근육경련과 연축을 일으키는 Isaac 증후군(신경근 긴장증, neuromyotonia)과 유사하다. 어떤 환자는 혈장 교환수혈에 반응하며 신경 세포막의 이온 통로(ion channel)에 대한 IgG 자가 항체에 의해 매개된다.
Muscle MYOTONIA 근세포의 반복적인 탈분극은 근육의 수축을 일으켜서 근육이 뻣뻣해지고 이완이 잘 안되게 된다. 근긴장증은 보통 무통성이지만, 미세한 손운동을 방해하거나 보행을 느리게 한다. 이영양성 근긴장증(myotonic dystrophy)은 백내장과 근위축같은 질환이 더 증상을 유발하지만 근긴장증과 관련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선천성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과 선천성 이상근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은 덜 흔하지만 근긴장증이 더 심하다. 근긴장증은 종종 한랭에 의해 악화되고 반복적인 근육 활동으로 위약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선천성 근긴장증은 상염색체 우성이나 열성으로 유전되며, 근긴장증은 Cl channel의 이상으로 생긴다. 역설적 근긴장증(paradoxical myotonia)은 반복적인 활동으로 악화되며 선천성 이상근긴장증의 특징이다: 이런 환자는 또한 삽화적이며 한랭 유발성인 위약이 특징이다. 근긴장증은 종종 quinine, phenytoin, mexilitine으로 감소한다. 전기적으로 불활성이면서 근육 이완의 장애가 오는 것은 점액수종(myxedema)에서 이완이 지연되는 상태의 특징이다. 이 지연은 발목 반사를 장애시키나 본질적으로는 무증상이다.
CONTRACTURE 근구축은 근육 세포막의 탈분극과 무관한 근육의 동통성 길이감소이다. myophosphorylase 결핍 같은 대사 장애가 고에너지 phosphate 생성을 제한하는 질환에서 온다. 구축은 운동에 의해 촉진되며, 보통 강한 통증을 유발하며 근손상을 초래한다. 근구축이 넓어지면 마이오글로 빈뇨증으로 신부전을 초래한다. 구축이란 용어는 류마티스 질환, 뇌성 마비, 또는 만성 근육병에서 건이 짧아져서 관절운동에 제한을 가져오는 것과 같게 사용한다. 대사성 구축에 의한 근경직은 전신 마취시 흔히 발생하는 악성 고열증후군(malignant hyperthermia syndrome)에서 일어난다. 신경마비성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에서 근경직은 중추신경계의 과활동으로 생기며 강한 전기 활동이 근육에서 보인다.
MUSCLE PAIN, ACHING, AND TENDERNESS 근육통이 항상 근육 질환을 시사하진 않는다. 관절 및 골질환에서 흔히 근육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생긴 불용성 위축(disuse atrophy)과 중등도의 근위약(muscle weakness)으로 증상의 해부학적 부위를 정하기 어렵다. 피하 조직과 근막, 그리고 건의 질환에 의한 통증이 근육과 연관될 수 있다. 주요 말초 신경이나 그의 작은 근육내 가지의 질환은 근육통과 함께 위약을 일으킨다. 근육통은 염증성, 대사성, 내분비성, 그리고 독성 근육병의 주요 증상이다.
METABOLIC MUSCLE DISEASE 글리코겐과 지질 이용의 장애가 드물지만 근육에 의한 에너지 합성의 장애와 관련 있다. 간헐적 위약을 일으키며 근육통과 함께 근손상의 증거를 동반한다.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이효소의 결핍은 이런 조건중 하나이다. 시토크롬 산화효소 결핍과 같은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경우에 심한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과 함께 피로, 위약과 젖산 산증(lactic acidosis)이 생긴다. 근육통과 근파괴는 드물다.
반복적인 위약감은 과환기 증후군(hyperventilation syndrome)에서 올 수 있다. 그런 환자는 그러나 검사상 힘은 정상이다. 반복적인 저혈당 상태는 주관적인 위약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드문 원인이다. 중추 신경계질환이 의식의 변화 없이 전신적 위약을 일으킬 수 있다. 뇌간의 운동 경로에 혈류 공급이 감소해서 생기는 drop attacks에서 갑작스런 하지 마비나 사지 마비가 수 초간 나타날 수 있다. 수면 발작(narcolepsy) 환자에서 급 발작(cataplexy)이 생기면 근육 강도와 긴장이 갑자기 소실되는 경우가 있다. 망상체 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의 질환이 수면 발작환자가 잠이 들거나 깰 때 발생하는 수면 마비(sleep paralysis)나 이런 급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성수(1995), 운동과 건강, 재경출판사
◎ 박상갑·김종인(1997), 운동 처방론, 세종출판사
◎ 운동과 건강-운동과 단백질
◎ 이석인(1997), 보디빌딩의 과학, 21세기교육사
◎ 현대인의 체력관리, http://cafe.daum.net/healthcontrol
◎ BRIAN J. SHARKEY(2003), 체력과 건강, 대한미디어
◎ nsca(2001), 근력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대한미디어
peripheral nerve 테타니는 주로 말단 근육의 수축으로 특히 손발에 생겨 수족 경축(carpopedal spasm)이라 한다. 후두 경련이 생길 수도 있다. 테타니는 말초 신경의 흥분성이 증가되어 생긴다. 근육 수축은 초기에는 통증이 없지만, 계속되면 통증과 근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심한 테타니는 척추 근육에 생겨 후궁반장(opisthotonus)을 일으킨다. 흔히 저칼슘혈증에 의해 생기기도 하지만, 저 마그네슘혈증이나 심한 호흡성 알칼리증과 동반되기도 한다. 특발성 정상 칼슘혈성 테타니(idiopathic normocalcemic tetany), 즉 경련 체질(spasmophilia)은 선천성 및 후천성 모두 있다. 후천성 질환은 말초신경의 과흥분이 근육경련과 연축을 일으키는 Isaac 증후군(신경근 긴장증, neuromyotonia)과 유사하다. 어떤 환자는 혈장 교환수혈에 반응하며 신경 세포막의 이온 통로(ion channel)에 대한 IgG 자가 항체에 의해 매개된다.
Muscle MYOTONIA 근세포의 반복적인 탈분극은 근육의 수축을 일으켜서 근육이 뻣뻣해지고 이완이 잘 안되게 된다. 근긴장증은 보통 무통성이지만, 미세한 손운동을 방해하거나 보행을 느리게 한다. 이영양성 근긴장증(myotonic dystrophy)은 백내장과 근위축같은 질환이 더 증상을 유발하지만 근긴장증과 관련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선천성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과 선천성 이상근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은 덜 흔하지만 근긴장증이 더 심하다. 근긴장증은 종종 한랭에 의해 악화되고 반복적인 근육 활동으로 위약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선천성 근긴장증은 상염색체 우성이나 열성으로 유전되며, 근긴장증은 Cl channel의 이상으로 생긴다. 역설적 근긴장증(paradoxical myotonia)은 반복적인 활동으로 악화되며 선천성 이상근긴장증의 특징이다: 이런 환자는 또한 삽화적이며 한랭 유발성인 위약이 특징이다. 근긴장증은 종종 quinine, phenytoin, mexilitine으로 감소한다. 전기적으로 불활성이면서 근육 이완의 장애가 오는 것은 점액수종(myxedema)에서 이완이 지연되는 상태의 특징이다. 이 지연은 발목 반사를 장애시키나 본질적으로는 무증상이다.
CONTRACTURE 근구축은 근육 세포막의 탈분극과 무관한 근육의 동통성 길이감소이다. myophosphorylase 결핍 같은 대사 장애가 고에너지 phosphate 생성을 제한하는 질환에서 온다. 구축은 운동에 의해 촉진되며, 보통 강한 통증을 유발하며 근손상을 초래한다. 근구축이 넓어지면 마이오글로 빈뇨증으로 신부전을 초래한다. 구축이란 용어는 류마티스 질환, 뇌성 마비, 또는 만성 근육병에서 건이 짧아져서 관절운동에 제한을 가져오는 것과 같게 사용한다. 대사성 구축에 의한 근경직은 전신 마취시 흔히 발생하는 악성 고열증후군(malignant hyperthermia syndrome)에서 일어난다. 신경마비성 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에서 근경직은 중추신경계의 과활동으로 생기며 강한 전기 활동이 근육에서 보인다.
MUSCLE PAIN, ACHING, AND TENDERNESS 근육통이 항상 근육 질환을 시사하진 않는다. 관절 및 골질환에서 흔히 근육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생긴 불용성 위축(disuse atrophy)과 중등도의 근위약(muscle weakness)으로 증상의 해부학적 부위를 정하기 어렵다. 피하 조직과 근막, 그리고 건의 질환에 의한 통증이 근육과 연관될 수 있다. 주요 말초 신경이나 그의 작은 근육내 가지의 질환은 근육통과 함께 위약을 일으킨다. 근육통은 염증성, 대사성, 내분비성, 그리고 독성 근육병의 주요 증상이다.
METABOLIC MUSCLE DISEASE 글리코겐과 지질 이용의 장애가 드물지만 근육에 의한 에너지 합성의 장애와 관련 있다. 간헐적 위약을 일으키며 근육통과 함께 근손상의 증거를 동반한다. 카르니틴 팔미토일 전이효소의 결핍은 이런 조건중 하나이다. 시토크롬 산화효소 결핍과 같은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경우에 심한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과 함께 피로, 위약과 젖산 산증(lactic acidosis)이 생긴다. 근육통과 근파괴는 드물다.
반복적인 위약감은 과환기 증후군(hyperventilation syndrome)에서 올 수 있다. 그런 환자는 그러나 검사상 힘은 정상이다. 반복적인 저혈당 상태는 주관적인 위약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드문 원인이다. 중추 신경계질환이 의식의 변화 없이 전신적 위약을 일으킬 수 있다. 뇌간의 운동 경로에 혈류 공급이 감소해서 생기는 drop attacks에서 갑작스런 하지 마비나 사지 마비가 수 초간 나타날 수 있다. 수면 발작(narcolepsy) 환자에서 급 발작(cataplexy)이 생기면 근육 강도와 긴장이 갑자기 소실되는 경우가 있다. 망상체 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의 질환이 수면 발작환자가 잠이 들거나 깰 때 발생하는 수면 마비(sleep paralysis)나 이런 급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성수(1995), 운동과 건강, 재경출판사
◎ 박상갑·김종인(1997), 운동 처방론, 세종출판사
◎ 운동과 건강-운동과 단백질
◎ 이석인(1997), 보디빌딩의 과학, 21세기교육사
◎ 현대인의 체력관리, http://cafe.daum.net/healthcontrol
◎ BRIAN J. SHARKEY(2003), 체력과 건강, 대한미디어
◎ nsca(2001), 근력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대한미디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