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스터 피자 소개
2. 중국시장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중국시장 진출성과
7. 향후 전략 방안
8. 최종 결론
2. 중국시장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중국시장 진출성과
7. 향후 전략 방안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2006년 전체 중국의 외식시장 시장규모는 1조 외안(약125조원)대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난해 11월까지 중국에서 새로 비준한 외자 요식업 투자항목은 820개, 7200만 달러로 동기대비 16.1% 늘었다. 廣州는 1인당 평균 외식비용이 513달러로 중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국 평균에 비해서도 5.1배가 높으며 전체 외식비용에서는 上海가 43달러로 가장 많고 다음이 廣州, 北京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은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 외식 산업 또한 이에 영향을 받는데 하루 3끼를 모두 외식을 하는 가정이 있는가 하면, 명절과 휴일에 온 가족이 외식하는 가정이 늘면서 요식업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져 경제성장에 큰 몫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레스토랑 그룹이 외식시장의 선두역할을 담당하기도 하는데 체인레스토랑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체인레스토랑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체인레스토랑은 北京 전체 외식시장의 30%, 중경 10%, 상해 10%를 차지하고 있다. 체인레스토랑의 성장배경으로는 투자의 다중 채널화(국유기업이 13%, 중외합자 31%, 외국자본 15%, 민영 20%)를 들 수 있다. 또한 메뉴 판매에 있어서는 패스트푸드가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 구조가 변화하면서 많은 젊은이들과 가족 단위, 연인들에게 콜라, 커피, 패스트푸드의 식품류가 큰 인기를 얻으며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외식산업 중 패스트푸드의 규모
중국 패스트푸드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 요식 산업의 전체적인 성장과 더불어 중국 패스트푸드 산업이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등 외국계 패스트푸드사의 체인점 개설 역시 급증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 패스트푸드 산업은 연 20%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72억 위안으로 매출액 기준으로 100대 기업의45.7%를 차지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 100대 요식업 기업에서 패스트푸드 업종은 10개사에 불과했으며, 영업액 기준으로도 30%에 머물렀던 것에 비해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 중국인들의 생활패턴이 급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패스트푸드산업의 업종 투자회수율이 높아 서양식 패스트푸드의 성장세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도 서양식 패스트푸드 기업의 단위면적(㎡)당 연평균 매출액은 3만 1천 151위안으로 중식 패스트푸드 업종의 1만 4천 400위안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업의 중국 패스트푸드 시장은 1987년 4월 미국 KFC의 중국 진출부터 시작되었다. 10여년의 짧은 기간 동안 중국 패스트푸드시장은 전통과 현대가, 중식과 서양식이 경쟁하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고, 연해지역과 내륙 주요도시, 관광도시 등지에서 해당지역 유동인구와 근로자 학생 및 주민들의 외식 활동에 빠질 수 없는 메뉴로 등장했다.
또한 최근 실시되고 있는 중국의 휴일 숫자 늘리기 정책(주 5일 근무 및 설·노동절·국경절 1주일 연휴)도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3) 패스트푸드 중 피자의 규모
현재 중국 내 진출한 프랜차이즈 업계 중 가장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은 매장 1000여개를 보유하고 있는 KFC와 맥도널드 이다. 이는 120개의 매장을 보유한 피자헛과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 판세가 피자가 아닌 햄버거류 중심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도 중국 내에서 피자는 아직까지 보편적인 사랑을 받는 패스트푸드는 아니다. 일반인들의 외식장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맥도널드, KFC, 롯데리아 등의 경우 1인당 비용이 20위안 정도이나 피자는 50위안 수준으로 아직까지 일반인들에겐 다소 고가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장조사 기관인Horizen Research 의 패스트푸드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선호도 에서도 패스트푸드 중 세트 메뉴(중식) 소비가 22%로, 햄버거가 21.5%를 차지하는 등 패스트푸드 시장 판세를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까지 피자류의 외식산업은 패스트푸드 시장 내에서 다른 종류와 비교했을 때,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중국 내 외식산업 중 패스트푸드 시장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비추어 볼 때, 급변하는 상황에 적절히 대처한다면 피자류의 성공가능성을 낙관할 수 있을 것이다.
(4) 소비자 분석과 상관습
1) 소비자 분석
중국인들은 외식을 많이 하는 편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많은 수의 중국인 부부들이 대부분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가사에 전념할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 아침풍경을 살펴보면, 출근길이나 등굣길에 식당에서 아침을 먹거나 음식을 사러오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아침식사는 대개 죽이나 만두, 훈툰, 요빙, 요티아오(꽈배기), 또우쟝(콩국), 또우푸날(연두부) 등으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저렴한 음식들이 많다.
두 번째 이유는 개방으로 인해 국영기업이 민영화되면서 인력감축과 함께 구내식당이 많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심식사를 나가서 사먹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한 민영화 전에는 기업에서 집을 제공했기 때문에 집과 직장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집에서 식사를 하고 오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집을 제공하는 경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집을 직접 구하는 경우 싼 집을 찾다보니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도 점심식사를 직장근처의 식당에 해결해야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또한 빵을 주식으로 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나이에 관계없이 패스트푸드점을 거부감 없이 찾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패스트푸드는 산아제한 정책으로 키워진 소황제들이 선호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하나뿐인 자식에게 투자하는 것이 많아진 현재의 중국 가정에서 그 수요가 상당히 높다.
중국은 예로부터 의식주 중 ‘식’을 중시하는 나라로, ‘식’에 투자하는 비용 또한 70%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특징은 유통시장 개방과 맞물려, 중국에 진출하는 해외 외식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되고 있다.
2) 중국인의 상관습 -
현재 중국은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 외식 산업 또한 이에 영향을 받는데 하루 3끼를 모두 외식을 하는 가정이 있는가 하면, 명절과 휴일에 온 가족이 외식하는 가정이 늘면서 요식업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져 경제성장에 큰 몫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레스토랑 그룹이 외식시장의 선두역할을 담당하기도 하는데 체인레스토랑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체인레스토랑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체인레스토랑은 北京 전체 외식시장의 30%, 중경 10%, 상해 10%를 차지하고 있다. 체인레스토랑의 성장배경으로는 투자의 다중 채널화(국유기업이 13%, 중외합자 31%, 외국자본 15%, 민영 20%)를 들 수 있다. 또한 메뉴 판매에 있어서는 패스트푸드가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 구조가 변화하면서 많은 젊은이들과 가족 단위, 연인들에게 콜라, 커피, 패스트푸드의 식품류가 큰 인기를 얻으며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외식산업 중 패스트푸드의 규모
중국 패스트푸드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 요식 산업의 전체적인 성장과 더불어 중국 패스트푸드 산업이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일본 등 외국계 패스트푸드사의 체인점 개설 역시 급증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 패스트푸드 산업은 연 20%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272억 위안으로 매출액 기준으로 100대 기업의45.7%를 차지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 100대 요식업 기업에서 패스트푸드 업종은 10개사에 불과했으며, 영업액 기준으로도 30%에 머물렀던 것에 비해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 속에서 중국인들의 생활패턴이 급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패스트푸드산업의 업종 투자회수율이 높아 서양식 패스트푸드의 성장세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도 서양식 패스트푸드 기업의 단위면적(㎡)당 연평균 매출액은 3만 1천 151위안으로 중식 패스트푸드 업종의 1만 4천 400위안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업의 중국 패스트푸드 시장은 1987년 4월 미국 KFC의 중국 진출부터 시작되었다. 10여년의 짧은 기간 동안 중국 패스트푸드시장은 전통과 현대가, 중식과 서양식이 경쟁하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고, 연해지역과 내륙 주요도시, 관광도시 등지에서 해당지역 유동인구와 근로자 학생 및 주민들의 외식 활동에 빠질 수 없는 메뉴로 등장했다.
또한 최근 실시되고 있는 중국의 휴일 숫자 늘리기 정책(주 5일 근무 및 설·노동절·국경절 1주일 연휴)도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3) 패스트푸드 중 피자의 규모
현재 중국 내 진출한 프랜차이즈 업계 중 가장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은 매장 1000여개를 보유하고 있는 KFC와 맥도널드 이다. 이는 120개의 매장을 보유한 피자헛과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중국의 패스트푸드 시장 판세가 피자가 아닌 햄버거류 중심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도 중국 내에서 피자는 아직까지 보편적인 사랑을 받는 패스트푸드는 아니다. 일반인들의 외식장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맥도널드, KFC, 롯데리아 등의 경우 1인당 비용이 20위안 정도이나 피자는 50위안 수준으로 아직까지 일반인들에겐 다소 고가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장조사 기관인Horizen Research 의 패스트푸드 시장에 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선호도 에서도 패스트푸드 중 세트 메뉴(중식) 소비가 22%로, 햄버거가 21.5%를 차지하는 등 패스트푸드 시장 판세를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까지 피자류의 외식산업은 패스트푸드 시장 내에서 다른 종류와 비교했을 때,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중국 내 외식산업 중 패스트푸드 시장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비추어 볼 때, 급변하는 상황에 적절히 대처한다면 피자류의 성공가능성을 낙관할 수 있을 것이다.
(4) 소비자 분석과 상관습
1) 소비자 분석
중국인들은 외식을 많이 하는 편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많은 수의 중국인 부부들이 대부분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가사에 전념할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 아침풍경을 살펴보면, 출근길이나 등굣길에 식당에서 아침을 먹거나 음식을 사러오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아침식사는 대개 죽이나 만두, 훈툰, 요빙, 요티아오(꽈배기), 또우쟝(콩국), 또우푸날(연두부) 등으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저렴한 음식들이 많다.
두 번째 이유는 개방으로 인해 국영기업이 민영화되면서 인력감축과 함께 구내식당이 많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심식사를 나가서 사먹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한 민영화 전에는 기업에서 집을 제공했기 때문에 집과 직장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집에서 식사를 하고 오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집을 제공하는 경우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집을 직접 구하는 경우 싼 집을 찾다보니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도 점심식사를 직장근처의 식당에 해결해야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또한 빵을 주식으로 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나이에 관계없이 패스트푸드점을 거부감 없이 찾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패스트푸드는 산아제한 정책으로 키워진 소황제들이 선호하는 음식이기 때문에, 하나뿐인 자식에게 투자하는 것이 많아진 현재의 중국 가정에서 그 수요가 상당히 높다.
중국은 예로부터 의식주 중 ‘식’을 중시하는 나라로, ‘식’에 투자하는 비용 또한 70%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특징은 유통시장 개방과 맞물려, 중국에 진출하는 해외 외식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되고 있다.
2) 중국인의 상관습 -
추천자료
피자헛의 마케팅전략과 경영전략
마케팅 성공사례-피자헛의 마케팅 성공 사례 및 성공요인 분석 & SWOT 분석 & 4P분석
피자헛Pizza Hut의 마케팅 분석과 광고 전략 분석
피자헛 마케팅 전략
피자헛의 마케팅 전략 분석
[마케팅] 피자헛 플러스 마케팅 완벽 조사 분석
다국적 기업 미국 대표 외식업체 피자헛(pizza hut) 성공 마케팅 조사
[분석/조사] 피자헛의 마케팅 전략 분석
[외식산업 경영 전략] 피자헛의 경영전략 선정동기, 기원, 환경분석, 경영전략, STP, 4P MIX ...
피자헛플러스 마케팅전략과 문제점분석 및 대안제시
피자헛(pizzahut) 마케팅전략/서론/자사분석/시장환경분석/고객만족경영/해외진출전략/경쟁사...
피자 프렌차이즈 창업성공사례, 성공적인 경영전략 - DaIn Pizza
소개글